DOI QR코드

DOI QR Code

주요국 정책을 통한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방향 모색

The Study on Improvem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through Foreign Countries

  • 투고 : 2022.11.25
  • 심사 : 2022.12.21
  • 발행 : 2022.12.31

초록

본 연구는 주요국 정책을 토대로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환은 비대면 경제 및 디지털 기술에 대한 요구가 부상하면서 산업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이에 주요국들은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을 추진중에 있으며, 우리나라도 한국형 뉴딜 정책을 시행중에 있다. 다만, 한편, 우리나라는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정책 전략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어 우리의 강점 활용 및 단점 보완을 할 수 있는 한국형 모델이 결핍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의 독자적인 표준화 작업이 시급히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존에는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 즉 양적 정책에 초점이 맞춰서 진행되었다면, 앞으로는 데이터의 활용 및 성과창출을 지향할 수 있는 질적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스마트공장 지원정책의 고도화 정책을 통하여 질적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사업의 유기적인 연계와 효율적 지원을 위하여 기관별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업의 유기적인 연계와 효율적 지원을 위하여 기관별로 추진 중인 정책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 수준을 제고하고 중장기적으로 기술 및 솔루션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책은 중소기업의 질적 수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함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foreign countries are promoting smart manufacturing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as a priority task early on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a polic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by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corporate sector to meet the global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Manufacturing powerhouses such as Germany and Japan see manufacturing as a key sector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are leading related policies, while emerging countries such as China are also promoting manufacturing innovation strategies such as building digital infrastructure and creating a digital innovation ecosystem. Korea is promoting the 'Korean-style smart factory dissemination and expansion strategy' by transforming Germany's manufacturing innovation strategy for smart factory supply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However, the policy to supply smart factories so far has been conducted with support from individual companie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and most of the smart factories are at the basic level, and it is evaluat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manpower to operate smart factories. In addition, while the current policy focuses on expanding the supply of smart factories in SM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mart manufacturing system through linkages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in order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establishing a smart manufacturing syst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from the standpoi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ho are consumers of smart factories, it can be said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can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only when appropriate incentives are provided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in a situation where management resources such as funds,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are lacking.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the uncertainty of the performance of digital investment always exists, and as long as large and small companies are maintained as an ecosystem of delivery and subcontracting, there is very little incentive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to voluntarily invest in or advance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future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seek ways to attract SMEs' digital-related voluntary inves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곤, 나승권, 장종문, 이성희, 노수연(2016), "디지털경제의 진전고가 산업혁신정책의 과제: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대회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6-15, 1-355.
  2. 경제정보리뷰(2021), "스마트팩토리 편 해외동향", KDI 경제정보센터.
  3. 심우종, 김종기(2022), "한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월간 KIET 산업경제 281, 23-36.
  4. 이상현, 고대영, 이동희, 이순학(2019),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국내 제조혁신역량 분석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912, 1-209.
  5. 임재현(2015), "다시 시작하는 인더스트리 4.0",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경영연구원.
  6. 오윤환, 김문선, 김선우, 김은아, 구윤모(2021), "독일의 시마트제조현식 정책 분석: 주요 현황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68.
  7. 우천식, 채단비, 김호균, 윤기영, 이명호, 이성호, 임정근, 정재호, 최윤희, 하원규, 황기돈(2021), "디지털화에 따른 경제사회 변화와 대응전략(II): 해외 주요국 사례연구, 한국개발연구원, 1-292.
  8. 조군현, 안정인, 윤환희(2022), "경기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은행 경기본부 공동연구.
  9. 한상영(2019), "일본의 산업 디지털 전환 정책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