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terpene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금불초 지상부의 Diterpene 배당체 성분

  • 김대근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 김준형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Received : 2022.03.18
  • Accepted : 2022.03.25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Five ent-kaurane type diterpene glycosides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Composit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16β-H-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1), 16β-hydroxy-17-acetoxy-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2), 16β,17-dihydroxy-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3), 16α,17-dihydroxy-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4) and 17-O-β-D-glucopyranosyl-16β-H-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5), respectively, by spectroscopic analysis. Among these compounds, 1-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Keywords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는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높이 20-60 cm까지 자라는 다년 초로 전국의 산기슭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가 5-10cm이며, 너비는 1-3 cm로 자루가 없고 기부는 어느 정도 줄기를 감싼다. 꽃은 7-9월에지름 3-4 cm의 크기로 줄기 상부에 노란색 두상화로 핀다. 수과는 길이 1 mm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약 5 mm 정도의 연한 회갈색이다.1) Inula속 식물에 대한 연구로는 sesquiterpene, diterpene, triterpene, steroid, polysaccharide 및 flavonoid 화합물들이 보고되어 있다.2-5) 금불초를 비롯한 Inula속 식물의 두상화는 예로부터 선복화(旋覆花)라하여 기침, 천식, 가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6) 금불초의 약리학적 연구는 금불초 물추출물의 과산화수소로 유도된산화적 스트레스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에 대한 신경치료 효과, 7) 본 식물에서 분리한 sesquiterpene lactone의 세포독성 및 암세포에 대한 apoptosis 효과, 8, 9) 등이 발표되어있다. 본 연구는 금불초의 고극성 부분의 식물화학적 성분연구의 일환으로 진행하였으며, m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및 butanol 가용분획에서 몇 가지 반복적인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단리하고, 이들 화합물의 spectral data로부터 그 구조를 확인·동정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 본 실험에 사용한 금불초의 지상부는 2019년 9월에 전북 정읍군에서 채취하였으며, 연구자가 정확히 감정한 후에 음건한 후 세절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WSU-19- 010).

시약 및 기기 −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분석을 위해 Jeol JMN-EX 400 spectrometer(Japan)를 이용하여 NMR 자료를 확보하였다. 추출 및 분획용 시약과 TLC 및 column용 시약은 1급 용매를 재증류하여 사용하거나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용 silica gel은 Kiesel gel 60(Art. 1.07734, 230-400 mesh, Merck)을, molecular sieve column chromatography용 packing material은 Sephadex LH-20(GE Healthcare, Sweden)을 사용하였다. TLC plate는 Kiesel gel 60 F254(Art. 1.07752, Merck, USA), low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LPLC)용 column은 Lobar-A Lichroprep Si 60(Merck, USA) column을, prep-HPLC용 column은 JAI GS-310 column(Tokyo, Japan)을 사용하였다. 발색시약은 10% H2SO4(in EtOH) 시액을 사용하였으며, UV의 검색은 254와 365 nm를 병행하였다.

추출 및 분리 − 지상부를 채집하여 음건 세절한 금불초 약 500g을 methanol로 가끔 진탕하면서 5시간씩 50oC에서 3회 온침 추출하였다. 그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감압 농축하여 methanol 엑스 약 95g을 얻었으며, 이 methanol 엑스에 증류수 500 ml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상법에 따라 동량의 n- hexane(11g), methylene chloride(6g), ethyl acetate(3.5g) 및 n-butanol(8g)의 순으로 용매 분획하였다. TLC를 이용한 각 분획의 양상을 254 nm의 UV와 10% H2SO4으로 발 색 시켜 관찰한 결과 뚜렷한 반점을 나타낸 ethyl acetate 및 butanol 가용분획을 대상으로, Sephadex LH-20을 사용한 molecular sieve column chromatography와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Lobar-A Lichroprep Si 60 column을 사용한 low pressure liquid column chromatography 등을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먼저 ethyl acetate 가용분획을 methanol을 이동상으로 Sephadex LH-20 column을 통과시켜 7개의 분 획(E1-E7)으로 나누었다. 그 중 E1분획을 CHCl3-MeOH-H2O(60:10:1)을 유출 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7개의 소 분획(E11-E17)을 얻었다. 소분획 E13을 n-hexane-EtOAc- MeOH(3:2:1)을 유출용매로 Lobar-A Lichroprep Si 6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화합물 1(15 mg)과 2(12 mg)를확보하였다. 또한, 소분획 E16을 n-hexane-EtOAc-MeOH(3:2:1) 을 유출용매로 Lobar-A Lichroprep Si 60 column chromatography 로 정제하여 화합물 3(7 mg)과 4(12 mg)를 각각 얻었다.

Butanol 가용분획은 methanol을 이동상으로 Sephadex LH-20 column을 통과시켜 6개의 분획(B1-B6)으로 나누었으며, 그 중 B1분획을 CHCl3-MeOH-H2O(40:10:1)을 유출 용매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7개의 소 분획(B11-B17)을 얻었다. 소분획 B15를 CHCl3-MeOH- H2O(30:20:1)을 유출용매로 Lobar-A Lichroprep Si 60 column chromatography와 JAI GS-310 column을 이용한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5(25 mg)를 확보하였다.

화합물 1− A amorphous powder, 1H-NMR (400 MHz, CD3OD) 1.20 (3H, s, H-18), 0.89 (3H, s, H-20), 5.40 (1H, d, J=7.6 Hz, H-1’), 3.83 (1H, dd, J=12.4 Hz, 1.6, H-6’a), 3.68 (1H, dd, J=12.4, 4.0 Hz, H-6’b), FAB-MS m/z 505 [M+Na]+, 13C-NMR (100 MHz, CD3OD) see Table I.

Table I. 13C-NMR spectral data of compounds 1-5

Recorded at 100 MHz in CD3OD

화합물 2− A amorphous powder, 1H-NMR (400 MHz, CD3OD) 4.15 (1H, d, J=11.2 Hz, H-17a), 4.25 (1H, d, J=11.2 Hz, H-17b), 1.21 (3H, s, H-18), 0.83 (3H, s, H-20), 5.40 (1H, d, J=8.2 Hz, H-1’), 3.69 (1H, dd, J=12.0, 7.2 Hz, H-6’a), 3.82 (1H, dd, J=12.0, 2.5 Hz, H-6’b), 2.06 (3H, s, H-COMe). FAB-MS m/z 563 [M+Na]+, 13C-NMR (100 MHz, CD3OD) see Table I.

화합물 3− needls, 1H-NMR (400 MHz, CD3OD) 1.20 (3H, s, H-18), 0.85 (3H, s, H-20), 5.40 (1H, d, J=8.0 Hz, H-1’), 3.52 (1H, dd, J=12.4, 7.4 Hz, H-6’a), 3.82 (1H, dd, J=12.4, 2.5 Hz, H-6’b), FAB-MS m/z 521 [M+Na]+, 13C-NMR (100 MHz, CD3OD) see Table I.

화합물 4− A amorphous powder, 1H-NMR (400 MHz, CD3OD) 1.15 (3H, s, H-18), 0.90 (3H, s, H-20), 5.35 (1H, d, J=8.0 Hz, H-1’), FAB-MS m/z 521 [M+Na]+, 13C-NMR (100 MHz, CD3OD) see Table I.

화합물 5− needls, 1H-NMR (400 MHz, CD3OD) 1.20 (3H, s, H-18), 0.95 (3H, s, H-20), 5.40 (1H, d, J=7.6 Hz, H-1’), 4.22 (1H, d, J=8.0 Hz, H-1”), FAB-MS m/z 667 [M+Na]+, 13C-NMR (100 MHz, CD3OD) see Table I.

결과 및 고찰

금불초로부터 얻은 methanol 엑스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용매 분획하여 n-hexane, methylene chlororide, ethyl acetate 및 n-butanol엑스를 제조하였다. 이 중 ethyl acetate 가용분획과 butanol 가용분획을 Sephadex LH-20 column을 비롯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고 Lobar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5종의 화합물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화합물 5는 바늘모양의 분말로 얻어졌으며, FABMS에서 m/z 667 에서 [M+Na]+ ion peak가 관찰되었다. 1H-NMR spectrum에서 δ 1.20 (3H, s, H-18), 0.95 (3H, s, H-20)에서 methyl peak 가 관찰되었으며, δ 5.40 (1H, d, J=7.6, H-1’)와 4.22 (1H, d, J=8.0, H-1”)에서 당의 anomer proton으로 추정되는 2개의 peak가 관찰되었다. 화합물 5의 13C-NMR spectrum에서는 carbonyl carbon으로 보이는 signal이 δ 178.3에서 관찰되었으며, 당의 anomer carbon으로 추정되는 2개의 peak가 δ 104.6과 95.6에서 확인되었다. 그 외에 glucose의 signal로 귀착되는 10개의 signal(δ 75.6, 78.2, 71.7, 77.9, 62.8, 74.1, 78.7, 71.1, 78.7, 62.4)이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총 32개의 carbon signal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의 금불초에서 보고된 물질의 자료와 본 화합물의 기기분석 값과 비교해 본 결과 화합물 5는 금불초에서 이미 보고된 17-O-β-D-glucopyranosyl-16β-H-ent-kauran-19-oic acid- 19-O-β-D-glucopyranoside로 구조를 확인·동정하였다.10)

화합물 1은 무정형 분말로 얻어졌으며, FABMS에서 m/z 505에서 [M+Na]+ ion peak가 관찰되었고, 1H-NMR spectrum 에서 δ 1.20 (3H, s, H-18)와, 0.89 (3H, s, H-20)에서 methyl peak가 관찰되었으며, δ 5.40 (1H, d, J=7.6, H-1’)에서 당의 anomer proton으로 추정되는 peak가 관찰되었다. 13C-NMR spectrum에서는 carbonyl carbon으로 보이는 signal이 δ 178.3에서 관찰되었으며, 당의 anomer carbon으로 추정되는 peak가 δ 95.6에서 확인되었다. 그 외에 glucose의 signal로 귀착되는 5개의 signal(δ 78.7, 78.6, 74.1, 71.1, 62.4)이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1개의 glucosyl peak를 제외하고 화합물 5와 거의 비슷한 chemical shift값을 나타냈으며, 총 26 개의 carbon signal이 확인되었다. 화합물 1과 화합물 5의 가장 큰 차이점은 glucosyl 부분이 없어지면서 17번 carbon의 chemical shift값이 δ 75.1에서 67.7로 up field로 이동된 것으로 추정되는 signal이었다. 화합물 1과 기본골격은 같으나 19번에 glucosyl ester가 없고 17번에 glucosyl이 붙어 있는 기존의 화합물과 당의 anomer carbon의 값이 큰 차이를 나타내어 glucose가 19번에 ester로 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10) 이상의 자료를 종합하여 화합물 1의 구조는 16β-H- 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로 확정하였다.

화합물 2는 무정형 분말로 얻어졌으며, FABMS에서 m/z 563에서 [M+Na]+ ion peak가 관찰되었다. 1H-NMR spectrum 에서 δ 1.21 (3H, s, H-18), 0.85 (3H, s, H-20)에서 methyl peak가 관찰되었으며, δ 5.40 (1H, d, J=8.2, H-1’)에서 당의 anomer proton으로 추정되는 1개의 peak가 관찰되었다. 화합물 2의 13C-NMR spectrum에서는 carbonyl carbon으로 보이는 2개의 signal이 δ 178.2와 173.2에서 관찰되었으며, 당의 anomer carbon으로 추정되는 1개의 peak가 δ 95.6에서 확인되었다. 그 외에 glucose의 signal로 귀착되는 5개의 signal(δ 74.0, 78.7, 71.1, 78.7, 62.4)이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화합물 1과 비슷한 양상의 chemical shift값을 나타냈으며 총 28개의 carbon signal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16번 carbon의 chemical shift값이 δ 80.9로 down field로 이동된 것으로 추정되는 signal이었다. 따라서 화합물 2는 기본골격이 ent-kaurane 골격의 화합물로 추정되었으며, 기존에 발표된 ent-kaurane 화합물 중에 16번 carbon에 산소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로 추정하였다. 화합물 1보다 더 확인된 peak로 carbonyl 1개와 methyl기 1개는 acetyl기로 추정하였으며, 이상의 자료값을 바탕으로 화합물 2는 glucose 1개와 acetyl기 1개가 결합되어 있는 ent-kaurane diterpene 화합물로 추정하였으며 기존의 자료와 본 화합물의 기기분석 값을 비교해 본 결과 화합물 2는 Aster ageratoides 에서 이미 보고된 16β-hydroxy-17-acetoxy-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로 구조를 확인·동정하였다.11)

화합물 3은 바늘모양으로 얻어졌으며, FABMS에서 m/z 521에서 [M+Na]+ ion peak가 관찰되었다. 1H-NMR spectrum 에서 δ 1.20 (3H, s, H-18), 0.85 (3H, s, H-20)에서 methyl peak가 관찰되었으며, δ 5.40 (1H, d, J=8.0, H-1’)에서 당의 anomer proton으로 추정되는 1개의 peak가 관찰되었다. 화합물 3의 13C-NMR spectrum에서는 carbonyl carbon으로 보이는 1개의 signal이 δ 178.3에서 관찰되었으며, 당의 anomer carbon으로 추정되는 1개의 peak가 δ 95.6에서 확인되었다. 그 외에 glucose의 signal로 귀착되는 5개의 signal(δ 74.1, 78.7, 71.1, 78.7, 62.4)이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화합물 2와 매우 비슷한 양상의 chemical shift값을 나타냈으며 총 26개의 carbon signal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2과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acetyl group의 signal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화합물 3은 화합물 2에서 acetyl group이 없는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자료값을 바탕으로 기존의 자료와 기기분석 값을 비교해 본 결과 화합물 3은 Aster ageratoides에서 분리 보고된 16β, 17-dihydroxy-ent-kauran-19-oic acid-19-O- β-D-glucopyranoside로 구조를 확인·동정하였다.11)

화합물 4는 무정형의 물질로 얻어졌으며, FABMS에서 m/z 521에서 [M+Na]+ ion peak가 관찰되었다. 1H-NMR spectrum 에서 δ 1.15 (3H, s, H-18), 0.90 (3H, s, H-20)에서 methyl peak가 관찰되었으며, δ 5.35 (1H, d, J=8.0, H-1’)에서 당의 anomer proton으로 추정되는 1개의 peak가 관찰되었다. 화합물 4의 13C-NMR spectrum에서는 carbonyl carbon으로 보이는 1개의 signal이 δ 178.2에서 관찰되었으며, 당의 anomer carbon으로 추정되는 1개의 peak가 δ 95.5에서 확인되었다. 그 외에 glucose의 signal로 귀착되는 5개의 signal(δ 73.9, 78.6, 71.0, 78.6, 62.3)이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화합물 3과 매우 비슷한 양상의 chemical shift값을 나타내었고 총 26개의 carbon signal이 확인되었다. 화합물 3과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16번과 17번의 chemical shift값이 각각 δ 80.6 에서 82.9로, δ 70.6에서 66.8로 이동되어 부분구조이성체로추정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4는 화합물 3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16번 위치 입체구조만 다른 부분구조이성체 화합물로 추정하였다. 이상의 자료값을 바탕으로 기존의 자료와 기기분석 값을 비교해 본 결과 화합물 4는 Cussonia bojeri 에서 분리 보고된 16α, 17-dihydroxy-ent-kauran-19-oic acid- 19-O-β-D-glucopyranoside로 구조를 확인·동정하였다.12)

Fig. 1. Structures of compounds 1-5.

결론

금불초의 methanol 추출물 중 ethyl acetate와 butanol 가용분획에서 5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이들의 spectral data로부터 구조를 확인한 결과 16β-H-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1), 16β-hydroxy-17-acetoxy- 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2), 16β, 17- dihydroxy-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3), 16α, 17-dihydroxy-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4) and 17-O-β-D-glucopyranosyl-16β-H-ent-kauran-19-oic acid-19-O-β-D-glucopyranoside (5)로 각각 확인·동정하였다. 화합물 1-4는 금불초로부터 처음 보고되는 화합물로 식물화학적 성분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동정된 화합물 및 본 식물에 대한 활성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II, 277,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2. Zhou, B.-N., Bai, N.-S., Lin, L.-Z. and Cordell, G. A. (1993) Sesquiterpene lactones from Inula britannica. Phytochemistry 34: 249-252. https://doi.org/10.1016/S0031-9422(00)90813-6
  3. Yan, L., Cheng, X. R., Zeng, Q., Qin, J. J., Zhang, W. D. and Jin, H. Z. (2011) Phytane and neoclerodane diterpenes from the aerial parts of Inula nervosa Wall. Biochem. Syst. Ecol. 39: 700-703. https://doi.org/10.1016/j.bse.2011.06.001
  4. Yang, L., Wang, X., Hou, A., Zhang, J., Wang, S., Man, W., Yu, H., Zheng, S., Wang, Q., Jiang, H. and Kuang, H. (2021) A review of the botany,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the Flos Inulae. J. Ethnopharmacol. 276: 114125. https://doi.org/10.1016/j.jep.2021.114125
  5. Je, K. H., Han, A. R., Lee, H. T., Mar, W. and Seo, E. K. (2004) The inhibitory principle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from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Arch. Pharm. Res. 27: 83-85. https://doi.org/10.1007/BF02980051
  6. Sung, C. K., Kimura, T., But, P. P. H. and Guo, J.-X. (1998)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Vol. 3, 568-569, World Scintific, Singapore.
  7. Hong, J. Y., Kim, H., Lee, J., Jeon, W. J., Baek, S. H. and Ha, I. H. (2021) Neurotherapeutic effect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cortical neurons. Antioxidants (Basel). 10: 375. https://doi.org/10.3390/antiox10030375
  8. Bai, N,. Lai, C. S., He, K., Zhou, Z., Zhang, L., Quan, Z., Zhu, N., Zheng, Q. Y., Pan, M. H. and Ho, C. T. (2006) Sesquiterpene lactones from Inula britannica and their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n human cancer cell lines. J. Nat. Prod. 69: 531-535. https://doi.org/10.1021/np050437q
  9. Fischedick, J. T., Pesic, M., Podolsi-Renic, A., Bankovic, J., de Vos, R. C. H., Peric, M., Todorovic, S. and Tanic, N. (2013) Cytotoxic activity of sesquiterpene lactones from Inula britannica on human cancer cell lines. Phytochemistry Lett. 6: 246-252. https://doi.org/10.1016/j.phytol.2013.02.006
  10. Shao, Y., Bai, N.-S. and Zhou, B.-N. (1996) Kaurane glycosides from Inula britannica. Phytochemistry 42: 783-786. https://doi.org/10.1016/0031-9422(95)00878-0
  11. Cheng, D.-L., Cao, X.-P., Wei, H.-X. and He, L. (1993) Kaurane diterpenoids from Aster ageratoides. Phytochemistry 33: 1181-1183. https://doi.org/10.1016/0031-9422(93)85045-S
  12. Harinantenaina, L., Kasai, R. and Yamasaki, K (2002) A new ent-kaurane diterpenoid glycoside from the leaves of Cussonia bojeri, a malagasy endemic plant. Chem. Pharm. Bull. 50: 1122-1123. https://doi.org/10.1248/cpb.5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