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나윤, 하지수. (2018). 하위문화 관점에서 바라본 소수 패션 취향 공동체의 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2(1), 14-25. https://doi.org/10.5850/JKSCT.2018.42.1.14
- 김선영. (2016). Vetements 패션컬렉션 분석과 내적 의미-2014 F/W-2016F/W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3), 67-80.
- 김성은, 하지수. (2016). 신-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4), 129-150.
- 김세진. (2019). 구찌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뉴미디어 패션콘텐츠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9(1), 147-164.
- 김진형. (2015).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소형, 임은혁. (2018).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따른 패션 내러티브 분석-루이비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6(6), 994-1014. https://doi.org/10.29049/rjcc.2018.26.6.994
- 박세린. (2018). 버질 아블로의 크리에이터 활동에 나타난 Z세대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현주. (2018). 신-하위문화 패션의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정현, 배수정. (2019).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교체를 통한 구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혁신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1), 185-198.
- 백효연, 이지현. (2017). 현대 하위문화 패션의 조형 특성과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을 통한 의미 해석. 복식, 67(8), 80-99. https://doi.org/10.7233/jksc.2017.67.8.080
- 소셜미디어 시대의 브랜딩. (2016. 3).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자료검색일 2019. 2. 4, 자료출처 https://www.hbrkorea.com
- 신지형. (2019).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미디어 이용. 정보통신연구원, KISDI STAT report, 19(04), 1-6.
- 안효선, 박민정. (2019). 패션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변화에 따른 디자인 연관 이슈 비교-구찌 컬렉션에 대한 소셜미디어 게시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3), 277-287. https://doi.org/10.5805/sfti.2019.21.3.277
- 이서형. (2018).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의 패션.메이크업.헤어스타일 표현 특성 연구.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 펑크룩을 중심으로. 복식, 53(2), 71-85.
- 임지아. (2018). 럭셔리 개념 확장에 관한 고찰- 뒤샹의 「개념미술」과 뎀나 바질리아의 「쇼킹 피스」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35, 421- 431.
- 조은애. (2016).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특성.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취향-경험을 탐닉하는 파워 신인류 Z세대만의 코드를 이해하라; 밀레니얼 vs Z 세대. (2019. 1). 동아비즈니스리뷰, No. 269. p.63-79.
- 허유선, 전재훈. (2017).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교체된 패션브랜드의 잡지광고 분석-생로랑, 루이비통, 구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5), 547-558. https://doi.org/10.5805/SFTI.2017.19.5.547
- 허은주. (2019). B급지향적 하위문화 패션의 특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유정. (2018). 구찌 컬렉션에 나타난 미적 특성크리에이티브 디렉터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ennett, A. (1999). Subcultures or neo- tribes?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tyle and musical taste. Sociology, 33(3), 599-617. https://doi.org/10.1177/s0038038599000371
-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Bruin, S. (2011). Something for everyone? Changes and choices in the ethno-party scene in urban nightlife; Chapter 1. Subculture and post-subcultural research. Amsterdam: Vossiuspers UvA-Amsterdam University Press.
- D'Arpizio, C., & Levato, F. (2019. 6. 1). How the market readies itself for the next generation of luxury. Bain Luxury Goods Worldwide Market Study.
- Hebdige, D. (1979).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Methuen & Co. Ltd.
- Holt, D. B. (2004). How brands become icons: The principles of cultural branding. Boston: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 Jasman, A. (2019. 6. 10). Five things to know about Virgil Abloh's first men's fashion jewellery collection for Louis Vuitton. 자료검색일 2020. 1. 4, 자료출처 https://www.esquiresg.com/
- Maffesoli, M. (2017). 부족의 시대: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인주의의 쇠퇴(박정호.신지은 역). 서울: 문학동네. (원저 1988)
- Muggleton, D. (2000). Inside subculture : The postmodern meaning of style. Bloomsbury: Bloomsbury publishing.
- Redhead, S. (1997). Subculture to clubcultures: An introduction to popular cultural studies. Oxford and Cambridge: Wiley-Blackwell publishing.
- Thornton, S. (1996). Club cultures: music, media, and subcultural capital. Connecticut: Wesleya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