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think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Ondol Heating System at Hoeamsa Monastery Site

회암사지 온돌의 조성시기에 관한 연구

  • 임준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영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1.12.12
  • Accepted : 2022.02.14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ondo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at Hoeamsa Temple Site is known as Joseon. The main reason is that a large number of remains in the Joseon era were excavated from the ondol floor with an all-around ondol method. This article partially accepts the theory of the creation of Ondol at Hoeamsa Temple Sit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suggests a new argument that some Ondol remains were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ground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building sites consistent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heonbosan Hoeamsa Sujogi (天寶山檜巖寺修造記, Record of Repair and Construction of Hoeamsa at Cheonbosan Mountai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ndol remains as a basic floor was maintain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in Goryeo. Second, the all-around ondol method of the Monastery Site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since the Goryeo Dynasty. Third, some ondol remains consist of "Mingaejari" and "Dunbeonggaejari," which were the methods of the gaejari (which dug deeper and stayed in the smoke) in the pre-Joseon Dynasty. Based on the above evidence, this study argues that the building sites such as Dongbangjangji, Seobangjangji, Ipsilyoji, Sijaeyoji, Susewaryoji, Seogiyoji, Seoseungdangji, Jijangryoji, and Hyanghwaryoji were construct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선, 「기록으로 본 회암사지 건축」, 「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V -회암사의 건축」, 양주회암사지박물관, 2017
  2. 경기도박물관.경기문화재연구원, 「고달사지 II: 3-5차시 발굴조사 보고서」, 2007
  3. 경기도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회암사 II: 7.8단지 발굴조사보고서」, 2003
  4. 경기도박물관.경기문화재연구원, 「회암사 III: 5.6단지 발굴조사 보고서」, 2009
  5. 경기도박물관.경기문화재연구원, 「회암사 IV: 1~4단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3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원, 「학술연구총서 제13집 -미륵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II (도판편)」, 1996
  7.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울산광역시, 「운흥사지 발굴조사보고서」, 2003,
  8. 김낙중,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백제문화」, 57집, 2017
  9. 김남응, 「(문헌과 유적으로 본) 구들이야기 온돌이야기」,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10. 김영재, 「동아시아 선종사원에서 회암사의 의미와 가치」, 「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V -회암사의 건축」, 양주회암사지박물관, 2017
  11. 김영재, 「동아시아 선종사원에서 회암사의 의미와 가치」,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7
  12. 김홍식, 「양주 회암사지의 전각배치에 대한 연구」, 문화재, 24집, 1991
  13. 문화재청,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2020
  14. 송기호, 「한국온돌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15. 심준용.윤용현, 「회암사지 온돌의 가치」, 「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VI -회암사의 건축」, 양주회암사지박물관, 2018
  16. 울산발전연구원,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학술연구총서 제67집: 울주 연자도 유적 보고서」,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2012
  17. 이승연, 「회암사지 유구를 통해 본 조선전기 전면온돌의 구축방법」,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7
  18. 이승연, 「회암사지 온돌을 통해 본 조선전기 전면온돌 구축방법의 변천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보 Vol.113, 2019
  19. 전봉희.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20. 정연상, 「회암사지 건축물의 바닥 구조에 관한 연구」, 「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V -회암사의 건축」, 양주회암사지박물관, 2017
  21. 조원창, 「회암사지 전 영당지의 건축고고학적 검토와 그 성격」, 「지방사와 지방문화」, 19집 2호, 2016
  22.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