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리산권 중재실형 정자의 건축특성 및 지역성

A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Joongjaesil-type pavilion in the Jirisan Mountain area

  • 손희경 (부산대 대학원 건축학과) ;
  • 이호열 (부산대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투고 : 2021.12.30
  • 심사 : 2022.02.15
  • 발행 : 2022.02.28

초록

The remaining Joongjaesil(中齋室)-type pavilions in the eastern part of the Jirisan Mountain area showed more complex characteristics than those in the western part. The front number of kan(間) had two, three, and four kan (間) types, but the number of kan on the side was consistent with two regardless of the number of kan on the front. The pavillion is classified into 'central type', 'towards the backward type', and 'expanded by backwards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Joongjaesil. Joongjaesil's size, which characterizes the characteristics of Joongjaesil-type Pavilion, is related to the building's front number of kan. Front number of kan. When this space was increased by one space to four spaces, Joongjaesil must have two spaces. The pavilion with four bays in fron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concentrated in Sancheong and Jinju, the eastern part of the Jirisan Mountain area. In the eastern region, many high pavilions remain,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pavilion was insignificant, but the flat shape and public construction showed strong locality.

키워드

과제정보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정동오, 「전통적인 정자원림에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986
  2. 김동욱, 「담양 면앙정의 건축형태」-호남지역 건축의 지역성 형성에 대한 소고-, 「건축사연구」9권3호, 2000
  3. 홍영기, '지리산권 문화' 연구의 방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학술대회, 2009
  4. 이현우 외3명, 「매천별업 퇴수정원림의 의미경관론적 해석」, 2011
  5. 이호열, 손희경, 중실형 정자건축의 분포지역과 지역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6. 손희경, 「조선후기 중실형 정자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경남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016
  7. 순천대 지리산문화권연구원, 지리산권 서원자료선집.2, 2010
  8. 김창순.이전, 촌락가옥의 유형과 특성, 대한지리학회지,52권, 2호, 2017
  9. 김찬영외, 「상주지역 누정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32권11호」,2016.11.
  10. 이호열, 경북지방 근대한옥의 유형과 성격, 건축역사연구 6권 3호,19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