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블로그 마이닝을 활용한 행복주택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on Happy Housing Using Blog Mining Technique

  • 황지현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투고 : 2021.11.01
  • 심사 : 2021.11.29
  • 발행 : 2022.02.28

초록

본 연구는 주거정책 분야에서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블로그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주택'을 키워드로 관련 게시글을 수집하고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 분석과 단어 군집 분석을 통해 대중들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행복주택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산된 2013년 5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블로그 게시글 137,002개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주요 정책과 자료 수집량을 고려하여 수집 기간을 3단계로 나누어 도출된 단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워드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행복주택의 위치, 세대수, 단지 및 주택 규모, 입주 가능 조건 등과 관련된 단어의 중요도가 높았다. 1단계에서는 정부 정책 시행, 2단계에서는 행복주택 신청 절차, 3단계에서는 모집공고, 입주 자격, 임대조건에 중요도가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분석에서는 모든 단계에서 사업 진행, 신청 절차, 사업지역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특히, 1단계에서는 정책 시행 및 추진방안, 2단계는 입주 자격 및 금융 지원, 3단계에서는 정책 시행 및 입주 자격이 주요한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블로그를 통해 정책 관련 정보 공유 및 사회적 이슈 반영, 정책 전달 여부 평가, 대중의 정책 참여도 유추가 가능하며, 블로그를 여론 수렴 방법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log mining to collect public opinion in the field of housing policy, thus, it collected blog posts with the keyword 'Happy Housing', extracted the main keywords from them, and analyzed the public's perception through keyword and word cluster analysis. 137,002 blog pos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rom May 2013, when social discussion about happy housing spread, to August 2021, and the words derived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stages in consideration of major housing policies and data collec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keyword analysis, overall, the importance of words related to the location, the number, the size, and the conditions for occupancy of Happy Housing is high. In the first stage, government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application process for Happy Housing, and in the third stage, recruitment notices, occupancy qualifications, and rental conditions are found to be highly important. In cluster analysis, project progress, application process, and project area were drawn as main themes at all stages. In particular, policy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plan in the first stage, occupancy qualification and financial support in the second stage, and policy implementation and occupancy qualification in the third stage were drawn as main themes. These results 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blog mining as a method of collecting public opinion by shar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reflecting social issues, evaluating whether policies are delivered, and inferring the public's participation in policies.

키워드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000년대 이후 1, 2인 가구의 증가, 노인인구의 증가 등 인구구조의 변화와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되었다. 정부는 2013년 행복주택을 주요 주거정책으로 내세웠으며, 행복주택은 주거 불안을 겪고 있는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대학생 등 청년층의 주거안정 및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도심지 내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이다[1]. 행복주택의 목적은 공급물량의 80%는 청년 계층에 우선 공급하여 젊고 활력 넘치는 주거 단지를 조성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여 노후 된 도심을 정비하며, 소통ㆍ문화ㆍ복지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2]. 이를 위해 행복주택은 단지 내 주민공동시설의 이용대상을 입주민만이 아니고 인근 지역 주민까지 확장하였다. 도심 내 부족한 공공 편의시설을 행복주택에 설치하여 지역 주민과 상생하고 지역 주민이 환영하는 주거복지 환경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일부 언론에서 입주 경쟁률과 입주자 만족도가 높으며[3][4], 최근에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는 행복주택의 긍정적인 평가를 다루고 있다[5]. 그러나 아직까지행복주택과 관련하여 언론에서는 지역주민과 지자체 반발로 부정적 인식이 거론되고 있다[6][7]. 또한 행복주택의 인식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사업지 인근 주민들의 의견 분석에 초점을 두고 연구 대상자에 따라 일치하지 않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8][9]. 따라서 행복주택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 전반을 살펴보는 연구가 미비하다.

정책이 정책 수혜자들의 현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면 정책은 현실과 겉돌게 되므로 대중들의 인식을 점검하는 일은 필수적이다[10]. 이에 최근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사, 블로그, 트위터, 카페 등 소셜미디어의 글에서 사회적 이슈 및 여론을 분석한 후,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10-12]. 특히 블로그에서 사회적 이슈에 대한 비판 여론이 언론보다 빠르게 형성되는 것이 입증되었다[13]. 그러나 지금까지 블로그에서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정책 연구로 확장한 연구는 미비하므로, 본 연구는 블로그를 대상으로 행복주택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관련 정책과 비교 분석하여 여론을 수렴하기 위한 블로그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본 연구는 행복주택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주요 주거정책에 따라 블로그에서 주목받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행복주택 개요, 주요 정책에 따른 행복주택의 주요 이슈, 행복주택 인식 연구, 블로그 마이닝에 관해 알아본다. 둘째, 블로그에서 ‘행복주택’을 키워드로 관련 게시글을 수집하고 주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셋째, 연결 중심성을 기반으로 주요 키워드의 중요도를 분석한다. 넷째, 키워드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유사 단어 군집 분석을 통해 군집별 주제를 도출하여 대중들의 주요 인식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블로그 게시글에서 나타나고 있는 행복주택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관련 정책과 비교 분석하였다. 따라서 향후 주거정책 수립에서 대중들의 인식을 반영하기 위한 의견 수렴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행복주택 개요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3 호에서는 행복주택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의 주거 안정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행복주택은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공공임대주택과는 차별점이 있으며, 직주근접이가능한 도심지 내에 주변시세보다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4-16]. 이를 위해 정부는 도심재생사업과 연계하여 행복주택을 도심지 내 철도 부지나 국․공유지에 건립하며,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 교류 활성화, 주민의 문화 활동 지원을 위한 상업 기능, 공공기능, 문화예술 등이 결합한 친환경 복합주거단지로 계획하였다[16-18].

2. 주거정책에 따른 행복주택의 주요 이슈

행복주택은 2012년 국민들의 내 집 마련에 대한 꿈을 실현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인‘집 걱정 덜기 종합 대책’의 일환으로 새로운 방식의 임대주택 공급정책인 ‘행복주택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19]. 정부는 2013년 2월 ‘행복주택 프로젝트’를 주요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2013년 행복주택 정책을 구체화하여 ‘4.1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2013년 5월 서울, 경기지역 7개의 시범지구에서 1만 호를 공급할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지역주민들과 지자체의 반대에 부딪혀 오류‧가좌지구만 사업지구로 지정되었다[18]. 따라서 ‘12.3부동산 활성화 대책’에서 행복주택 공급량을 14만 호로 조정하고, 대상 부지를 공공용지, 도시재생용지, 공기업 보유 토지 등으로 확대하였다[16].

행복주택 사업 추진이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한 이유는 주택시장 혼란 및 주거환경 악화 우려로 주민과 지자체의 반대, 사업성 떨어짐, 사업 주체 간 협업의 어려움 등이다[17]. 이에 따라 정부는 행복주택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행복주택이 지역경제 활성화, 소통⋅화합의 공간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젊은 계층 위주로 행복주택을 공급하고, 지자체가 선호하는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활력증진사업 등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하여 지역맞춤형으로 공급하며, 정부 관계부처와 함께 편의시설을 설치하여 지역주민과의 연계 프로그램을 강화하였다[18]. 또한 주민공청회 개최, 주민 공람 기간 연장, 반발 지구의 행복주택 공급물량 축소 등 정책적 노력을 진행하였다[16]. 이와 같이 갈등 요인을 줄여나가면서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6년 주거종합계획에서 행복주택의 공급물량 확대를 위해, 행복주택 리츠, 공공시설과 복합개발,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연계, 신축주택 등 매입방식도입, 오피스텔형 행복주택 도입, 창업 지원주택 도입, 뉴스테이 활성화 등 공급방식을 다양화하였다[1][14].

정부는 2017년 11월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생애 단계별 ‧소득수준별 (통합적) 수요자 맞춤형 지원을 목표로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여 청년, 신혼, 고령가구에 지원을 집중, 신혼희망타운 등의 공공주택 확대, 공공 임대/공공분양주택 공급 확대, 민간임대주택 공급, 중앙-지방- 민간 협력 강화가 주요 내용이었다[1]. 주거복지 로드맵설명서(2017)을 살펴보면, 행복주택은 소득 활동이 없는 청년도 입주가 가능하도록 확대하고, 셰어하우스, 소호형 주거클러스터, 산단형 주택, 여성안심주택 등 공급 형태를 다양화하였다. 이에 2019년에는 주거시설이 부족한 국가‧지방산단 인근에 공급되는 산업단지형 행복주택 및 청년 창업인의 창업활동을 지원하는 창업 지원주택이 추가되었고, 2018년에는 대학의 캠퍼스내 유휴부지 및 도심 내 대학 소유 부지를 활용하는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이 추진되었다.

2020년 3월 주거복지로드맵 2.0에서는 선진국 수준의 주거안전망 완성을 목표로 하였다. 공공임대주택 유형을 통합하고 공급량 확대하며, 생애 주기별 맞춤형 주거 지원정책, 주거권 보장, 지역상생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행복주택은 실수요자에 대한 주거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입주자격이 확대되었다.

3. 행복주택의 인식 연구

여러 논문에서 행복주택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행복주택 입지 주변 지역주민들이 주택가격하락 우려로 부정적 인식을 하고 있으며, 주거 만족도, 소득 만족도, 자녀 교육비가 높을수록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8]. 가족생애 주기별 행복주택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식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가족 진입기 및 가족 형성기는 자녀교육기나 가족 축소기보다는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났고, 전 생애주기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이나 임대료가 높은 뉴스테이보다 행복주택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9]. 또한 서울시 행복주택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행복주택의 사업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연구에서, 주민 중 66%는 주변 상권의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하는 반면, 나머지 44%는 주택가격 하락과 동네 이미지 저하에 대한 우려로 부정적인 인식을 표현하였다[20]. 행복주택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지역과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입주자 선정기준에 대해 불만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청년과 신혼부부 세대의 소득 기준도 본인과 부모의 자산을 모두 고려하여 현실성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으며, 주택임대료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별 물가수준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14]. 또한 몇몇 선행연구에서 행복주택의 부정적인 인식의 주요인인 인근 주택가격 하락 우려와 관련하여 실제 행복주택이 인접 주택의 가치를 하락하는 데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행복주택건설로 주변 지역의 주택가격이 하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행복주택 사업을 통한 노후 시설 개선의 기대감으로 사업 인근지역의 주택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거나[21], 전반적으로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는 연구대상이 한정적이고, 조사 지역이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특히 행복주택 공급지역 및 예정지 주민의 반대 의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연구대상과 연구 방법 등에 따라 다소 일치되지 않는 연구 결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대중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블로그 마이닝

소셜네트워크 분석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집한 후,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종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다[23]. 소셜네트워크 분석은 여러 종류의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텍스트 마이닝은 블로그나 카페의 글이나 댓글 등의 비정형 형태의 데이터에서 사회적 이슈나 대중의 선호도, 인식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법이다[24]. 특히 텍스트에서 감성을 파악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는 오피니언 마이닝[25-27], 블로그를 대상으로 하는 블로그 마이닝이 있으며[28][29], 이러한 마이닝 기법은 소셜네트워크의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대중의 인식을 자유롭게 분석할 수 있다[30].

블로그(blog)는 web과 log의 줄임말로 정보 공유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일반 대중이 올리는 글을 모아 게시하는 웹사이트의 일종이다. 최근 블로그는 개인의 관점과 의견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로 진화해 왔다[28]. 따라서 블로그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블로그의 글은 사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28][31]. 사람들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직접 인터뷰를 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인터뷰 조사내용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블로그를 활용한다면 실시간으로 많은 사람의 의견 및 감정에 대한 정보를 쉽게 탐색할 수 있다[28]. 이에 기업은 블로그 검색을 통해 잠재적 문제를 빨리 파악하고 시의적절하게 문제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대중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트렌드나 사용자 인식을 분석하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블로그 게시글이 분석에 활용하였다 [32-35]. 사회적 이슈와 관련해서 블로그를 포함한 온라인 게시글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관한 대중의 역할, 행동 및 인식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불매운동의 특징과 사회적 의의를 도출하였다[36]. 또한 블로그에 표현된 대중의 정치적 견해가 실제 정치 상황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는 연구도 진행되었으며[37][27], 나아가 실제 선거의 결과를 예측하는 도구로서 블로그를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38]. 또한 정책이슈와 관련하여 블로그 게시글 중 반값 등록금과 관련한 내용을 분석하여, 블로그가 정책 이슈를 사회적으로 단시간에 파급할 수 있어 정치적 이슈 및 사회적 문제에 대중의 참여를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12]. 이처럼 블로그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텍스트를 통해 여론형성, 사회적 이슈 파급 등에서 영향력이 있는 소셜 미디어로 대중의 일반적인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하지만 블로그 정보는 신문이나 잡지 텍스트만큼 잘 편집되지 않고 불완전한 문장과 구문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그 글을 분석하기 위해 특정 단어, 구, 문장의 출현 빈도를 파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하는데 이는 관련 주제에 관한 관심의 척도로 이용된다. 그러나 출현 빈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개체 또는 이벤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닌데, 블로그에는 광고를 포함하거나 제휴 사이트를 홍보하기 위해 동일한 페이지에 여러 개의 게시물이 있는 광고성 블로그인 "스플로그(splogs)"라고도 하는 스팸 블로그가 있기 때문이다[29][39]. 스플로그는 독자가 광고를 클릭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여러 검색어가 포함되어 있으면서 필요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은데, 블로그의 50% 이상이 스플로그인 것으로 추정된다[39]. 이에 따라 블로그 마이닝에서는 스플로그를 걸러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전처리

행복주택에 관한 인식 변화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행복주택 시범지구가 선정되어 행복주택에 대한 사회적 논의 및 관심이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2013 년 5월 1일부터 최근 2021년 8월 31일까지 블로그를 중심으로 작성된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국내 최대의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의 블로그를 대상으로 하였고, 데이터 검색을 위한 키워드는 ‘행복주택’으로 설정하였다. 온라인데이터 수집 및 정제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툴인 텍스 톰(Textom) 1을 이용하였으며, 채널 및 월별 수집량은 [그림 1]의 그래프와 같다.

CCTHCV_2022_v22n2_21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채널별/월별 자료수집량

행복주택에 관한 블로그 자료수집량 및 주요 정책을 고려한 결과, 분석 기간을 1단계(2013년 5월~2017년 11월), 2단계(2017년 12월~2020년 3월), 3단계(2020 년 4월~2021년 8월), 총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단계별 자료 수집된 블로그 게시글은 총 137, 002개이며, 1단계에서 총 64, 478개(다음 45, 289개, 네이버 18, 189개), 2단계에서 총 44, 042개(다음 23, 609개, 네이버 20, 433개), 3단계에서 총 28, 482개(다음 14, 499 개, 네이버 13, 983개)이다.

수집된 자료는 비정형화된 구조이므로 분석하기 쉬운 정형화된 구조로 만들기 위해 텍스트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35][41][42], 본 논문은 토큰화2 및 정제과정을 거쳐서 텍스트를 추출하였다. 우선, 같은 내용의 블로그 게시글이 중복으로 분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이 같은 문서는 제거하였고, 행복주택과 관련 없는 광고성 글을 필터링하기 위해 ‘행복주택’을 포함한 문서만 추출하였다. 중복제거 및 키워드 필터링 된 문서는 Espresso K3을 활용하여 체언의 품사 태깅과 동사 및 형용사의 어근 추출을 통해 형태소 단위로 토큰화하고 외국어, 숫자 등을 제외하여 최종 185, 205개의 단어를 [표 1]과 같이 추출하였다.

표 1. 단계별 분석자료 단위:개

CCTHCV_2022_v22n2_211_t0001.png 이미지

본 연구에서는 유의어, 제외어, 지정어를 포함하는 [표 2]의 시소러스 사전을 만들어 단어를 정제하였다. 이형 동의어 및 유사어는 뜻이 비슷한 말을 통일해주고, 지정어는 분석을 위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단어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추출해주며, 제외어로 의미 파악이 어려운 한 음절 단어와 일상적인 인사, 광고성 문구 등의 단어를 제거해준다[11][42]. 이러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단어 중 상위 100개 빈도의 단어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표 2. 주요 시소러스 사전

CCTHCV_2022_v22n2_211_t0002.png 이미지

2. 분석방법

언어네트워크 분석은 텍스트에서 추출한 단어 간의 연결 관계 구조를 파악하여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추출된 단어의 구조적 위치를 통해 언어 네트워크상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단어 간의 연결 관계를 통해 의미론적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다[43].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행복주택에 관한 대중의 인식을 주거정책을 고려한 맥락적 의미와 의미의 연결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1 연결중심성

중심성은 단어의 구조적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43], 각 단어가 중심구조에 위치하는 정도를 표현한다 [42]. 중심성 분석방법은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 있는데, 연결중심성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웃 단어 개수의 합을 나타낸다[43]. 연결중심성 수치가 높을수록 서로 연결된 이웃 단어 수가 많은 것을 의미하므로, 연결중심성을 활용하여 구조적 중심에 있는 단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행복주택을 키워드로 한 블로그 글에서 추출한 단어의 연결중심 성을 분석하여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2.2 CONCOR분석

군집분석은 단어를 동질적인 집단(cluster)으로 묶어주는 통계기법으로[44],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는 상관관계를 토대로 단어 간의 관계에 따라 군집화하는 분석 방법이다[43]. CONCOR분석은 연결중심성을 바탕으로 언어 네트워크 상의 단어 간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도출하고, 연관성이 높은 단어들을 하나의 군집으로 구분한다 [45][46].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에서 추출한 단어들을 유사 그룹으로 나누고, 행복주택의 하위 주제들을 도출하기 위해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톰에서 단어 매트릭스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어 간 연결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UCINET 6프로그램을활용하였다. UCINET 6의 넷드로(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 간의 연결중심성을 파악하며, 중심성 결과를 바탕으로 CONCOR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CONCOR분석을 위해 군집 개수를 나누는 분류기준을 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그림 2] 와같이 단어들을 계층적으로 군집화하는 덴드로그램 (Dendrogram)을 생성하여 군집을 이루지 못하는 단어가 없는 계층을 확인하고 군집 간 거리인 level을 분류기준으로 정하여 군집을 나누었다.

CCTHCV_2022_v22n2_21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3단계 (2020.04.~2021.08) 의덴드로그램(Dendrogram)

Ⅳ. 연구결과

1. 행복주택에 대한 블로그 키워드 분석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단어 중 연결 중심성을 기준으로 비중이 큰 상위 100개의 단어를 [표 3] 과 같이 정리하였다. 행복주택을 직접 지칭하는 단어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모든 단계에서 ‘공급’, ‘모집’, ‘예정’, ‘세대’, ‘가구’, ‘입주’, ‘가능’, ‘단지’, ‘위치’, ‘호’, ‘형’ 등 행복주택의 위치, 세대수, 단지 및 주택규모과 관련된 단어 연결중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혼부부’, ‘청년’, ‘대학’, ‘입주자’와 같은 단어의 비중이 높은데, 이러한 행복주택 입주 계층 관련 단어보다는 상대적으로 사업의 주체인 ‘국토교통부’, ‘서울’, ‘경기도’ 등은 연결중심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신청’, ‘당첨’, ‘청약’, ‘확인’, ‘모집공고’와 같은 행복주택 신청 절차와 관련한 단어들의 비중이 높았으며, 이는 3단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인다. 이와 함께 3단계에서는 ‘입주’, ‘모집’, ‘모집공고’, ‘지원’, ‘조건’, ‘임대료’, ‘보증금’과 같은 행복주택 모집공고, 입주 자격, 임대조건과 관련된 단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단계별 연결중심성 상위 100개 단어

CCTHCV_2022_v22n2_211_t0003.png 이미지

1단계에서는 2, 3단계보다 ‘정부’, ‘추진’, ‘정책’, ‘확대’, ‘지원’ 등 정부 정책 시행과 관련된 단어들의 연결중심 도가 높고, 행복주택 공급방식과 연관된 ‘뉴스테이’, ‘신축빌라’, ‘오피스텔’, ‘다양’이 비중이 높다. 또한 1단계에서만 출현한 ‘목동’, ‘주민’ 등의 단어는 행복주택 초기 사업 예정지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정책변화에 따른 단어 군집분석

단어 출현 빈도를 참고하여 단어들의 유사 군집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대중들의 인식에서 주요 이슈를 파악하고자 CONCOR분석을 진행하였다. 덴드로그램을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7~8개 군집을 분류하였다[그림 3].

CCTHCV_2022_v22n2_21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CONCOR분석

해석이 명확하지 않은 군집은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 1단계 7개, 2단계 7개, 3단계 6개 군집으로 정리하고 각 군집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모든 단계에서 ‘사업 진행’, ‘신청절차’, ‘사업지역’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고, 1단계에서는 ‘정책시행 및 추진방안’, 반면 2단계는 ‘입주 자격 및 금융지원’, 3단계에서는 ‘정책 시행 및 입주 자격’이 주요한 주제로 도출되었다[표 4].

표 4. 단어 군집분석

CCTHCV_2022_v22n2_211_t0004.png 이미지

각 단계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1단계에서 가장 많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군집은 군집 1이고 주제는 행복주택의 ‘정책시행 및 추진방안’이다. 이와 관련하여 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의 공급의 확대, (공급의) 다양화, (수요자) 맞춤형 등의 단어와 사업 주체인 국토교통부, 지자체와 같은 단어 군집으로 구성되었다. 군집 2는 정부의 ‘정책목표’와 관련한 단어들로 서민들의 주거안정, 부동산대책, 주거안정, 뉴스테이, 그리고 행복주택을 공약으로 내세운 박근혜(대통령) 등의 단어로 구성되었다. 군집 3은 ‘사업지역’을 주제로, 지정, 부지, 진행과 같이 사업지역 선정과 연관이 있거나, 역세권, 인근, 개발이란 행복주택 사업목표를 나타내는 단어와 목동, 주민과 같은 사업 예정지 내 주민들의 반발과 관련된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군집 4는 ‘입주계층’과 연관된 계층,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청년, 대학 등의 단어로 구성되었으며, ‘입주계층’ 자격과 관련한 대상, 가능, 기준 등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군집 5는 행복주택 ‘사업 진행’ 과 관련하여 신축빌라, 인천, 위치, ‘신청 절차’와 관련하여 입주자, 모집공고, 청약 등의 단어들로 이루어진 군집으로 형성되었다. 군집 6은 ‘공급방법’을 주제로 임대, 분양, 아파트, 오피스텔 등 다양한 행복주택 공급방식과 관련 있는 단어들과, 블록, 주변, 지구, 단지, 예정 등의 단어로 구성되었다. 군집 7은 ‘공급계획’과 관련하여 서울, 경기도, 전국과 같이 공급지역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지역 선정과 관련 있는 선정, 확정, 규모와 같은 단어가 포함되었다.

2단계에서 군집 1은 ‘사업지역 및 신청 절차’에 관련한 단어들로 구성되었으며, 광주, 경기도, 지구, 위치 및 모집, 모집공고, 추가모집, 예비입주자 등이 포함되어있다. 군집 2는 2단계에서 가장 많은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주제는 ‘사업 진행’이다. 대전, 인천 등 사업 진행 현장과 입주, 공사, 시공, 현장, 입주청소 등의 단어가 구성되었다. 군집 3은 ‘입주 자격’과 관련된 청약, 조건, 경우, 입주 자격 등의 단어와 ‘금융지원’과 관련된 보증금, 대출, 신청 등의 단어가 연관되어 있다. 군집 4 는 ‘사업개념 및 입주계층’을 주제로, 주거 안정, 신혼부부, 청년, 대상, 대학, 계층 고령자, 거주, 자격, (저렴한) 임대료, 마련과 같은 단어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5는 ‘공급계획’과 관련하여 사업, 추진, 발표, 건설, 신혼희망타운, 조성과 같은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군집 6은 ‘공급방법’을 주제로 임대, 분양, 오피스텔, 규모, 예정 등의 단어로 구성되었다. 군집 7은 ‘정책 시행’을 주제로 정부, 주거, 지원, 임대주택, 다양과 같은 단어가 구성되었다.

3단계에서 군집 1은 ‘사업지역 및 신청절차’로 2단계의 군집 1과 비슷한 단어 군집을 보이는데, 한국토지공사, 경기도와 같은 사업주체와 경기도의 경기 행복주택이 추가되었다. 군집 2는 ‘금융지원 및 입주’를 주제로, 당첨, 대출, 보증금, 계약 등의 단어와 생각, 사전점검, 인테리어 등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군집 3은 3단계에서 가장 많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군집으로 ‘정책 시행 및 입주자격’을 주제로 도출하였다. 임대주택, 유형, 다양, 입주자격, 조건, 완화와 같은 주거정책을 반영한 단어와 이와 관련하여 지원, 자격, 해당, 가능, 경우, 기준과 같은 변화된 입주자격에 관한 관심을 반영하는 단어들로 구성되었다. 군집 4는 ‘사업개념 및 입주계층’ 을 주제로, (저렴한)임대료, 역세권, 신혼부부, 청년, 대상, 대학, 계층 고령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군집 5는 ‘공급 계획’과 관련하여, 신혼희망타운, 호, 계획, 예정과 같은 단어와 공급예정지역을 나타내는 서울, 파주 운정 등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군집 6은 ‘사업진행’을 주제로, 입주, 청약, 위치, 발표, 분양, 현재, 공사(진행) 등의 단어가 사업정보와 관련된 세대, 형, 내용, 안내, 생활 등의 단어가 연관되어 있다.

Ⅴ. 결론

정책이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정책 시행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대책 마련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행복주택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사업 예정지 지역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에 초점을 두거나, 일부 지역 또는 일부 조사대상자에서 부정적 ‧긍정적인 인식을 조사하는 데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로그 마이닝 활용하여 행복주택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시범지구가 선정되어 행복주택에 대한 사회적 논의 및 관심이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2013년 5월 1일부터 최근 2021년 8월 31일까지 행복주택 관련 블로그 게시글을 수집하였다. 블로그 수집량과 주요 주거정책을 고려하여 자료수집 기간을 총 3단계로 나누고, 단계에 따라 블로그에서 주목받는 단어를 추출하여 단어의 연결 관계 및 구조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알아보았으며, 인식의 변화 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블로그 게시글에 출현한 주요 단어의 연결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전 단계에서 행복주택 공급과 관련하여 공급, 모집, 예정, 세대, 가구, 이주, 가능, 단지, 위치, 호, 형 등의 단어의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중들이 행복주택의 위치, 세대수, 단지 및 주택 규모, 입주 가능 조건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정책 수혜자이자 입주계층인 신혼부부, 청년, 대학 등과 관련한 단어의 비중이 높게 나왔으며, 이는 대중들이 행복주택을 청년층을 위한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계별로 비교해보면, 1단계에서는 2, 3단계와 달리 정부, 추진, 정책, 확대, 지원 등 정부 정책 시행과 관련된 단어들의 연결중심도가 높았으며 이는 행복주택 도입 초기 단계로 행복주택을 주거정책의 연장선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뉴스테이, 신축빌라, 오피스텔, 다양의 단어가 비중이 높은 것은 정부가 2016년 주거종합계획을 통해 행복주택의 공급물량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신축주택 매입방식 및 오피스텔형 행복주택 도입, 뉴스테이 활성화 등 공급방식 다양화를 시도한 것과 관련이 있다[1][14]. 또한 목동, 주민과 같은 단어는 1단계에서만 출현하는데, 이는 행복주택 시범지구로 지정된 지역 주민들의 집단반발을 반영한다[47][48]. 2단계에서는 신청, 당첨, 청약, 확인, 모집공고와 같은 행복주택 신청 절차와 관련한 단어들의 비중이 높았으며, 3단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이는데 이는 대중들의 행복주택 참여가 더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2020년 서울주택도시공사의 행복주택 최종 청약경쟁률이 1차에서는 3.9:1이고, 2차에서는 7.5:1로 급증한 결과와 일치한다[49]. 이에 3단계에서는 입주, 모집, 모집공고, 지원, 조건, 임대료, 보증금과 같은 행복주택 모집공고, 입주자격, 임대조건과 관련된 단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단어 군집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주요 주제를 도출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단계에서 사업 진행, 신청절차, 사업지역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는데 이는 행복주택과 관련해서 사업지, 청약신청 방법, 사업 진행 상황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1단계에서는 정책시행 및 추진방안, 반면 2단계는 입주 자격 및 금융지원, 3단계에서는 정책시행 및 입주 자격이 주요한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는 1단계는 도입 초기 단계로 대중들이 행복주택을 주거정책으로 인식하고 정책의 시행 및 추진에 의미를 부여하고, 2단계에서는 행복주택 입주를 위한 입주자격과 금융지원에 관한 실질적인 정보에 관한 인식이 높으며, 3단계에서는 정부의 주거 지원 강화 정책의 하나로 주거지원 대상이 확대되면서 행복주택 입주자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반영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행복주택 관련 블로그 게시글 분석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 마이닝 분석은 블로그 글의 게시 기간을 바탕으로 주거 정책별로 관련 내용을 수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게시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주거정책에 따라 행복주택 관련 정보가 공유되고 또한 사업지 반발과 같은 사회적 이슈가 반영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주거정책이 발표되는 시기쯤 게시글 수집량이 눈에 띄게 변화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출현한 단어를 분석하여 정책 전달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1단계에서 정부, 추진, 정책, 확대, 지원 등 정부 정책 시행과 관련된 단어의 비중이 높은 것은 행복주택을 정책의 연장선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고, 공급의 확대, (공급의) 다양화, (수요자) 맞춤형 주거 안정, (저렴한) 임대료, 신혼부부, 청년, 대상, 대학, 계층고령자 등 행복주택 사업개념과 관련된 단어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본래 행복주택을 도입한 정책 목표가 잘 전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출현 단어를 분석하여 대중의 참여도도 유추할 수 있다. 1단계보다 2, 3단계로 갈수록 행복주택 신청 절차와 관련한 단어들의 연결중심 도가 높은 결과에서, 대중들의 행복주택 참여(청약 신청)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는데, 실제 높은 청약경쟁률에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주거정책 수립에서 블로그 마이닝이 대중들의 인식을 반영하기 위한 의견 수렴 방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 데에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 채널을 네이버와 다음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주거정책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처럼 마이크로블로그(microblog) 또는 미니블로그 (miniblog)라고 하는 사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의견과 감정을 짧은 문장으로 남길 수 있어 개인적 의견 및 사회적 트렌드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다[50][51]. 따라서 후속 연구로 다양한 SNS 플랫폼의 블로그 마이닝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https://www.molit.go.kr
  2. https://www.myhome.go.kr
  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413349
  4. https://www.segye.com/newsView/20160729002506
  5. http://news.lghellovision.net/news/newsView.do?idx=320278&soCode=SC91000000
  6.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2031612315796
  7.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10210010002004
  8. 이훈, 허재완, "행복주택 입지에 대한 지역주민인식 연구," 부동산연구, 제24권, pp.103-118, 2014.
  9. 이다은, 서원석, "가족생애주기별 공공임대주택의 인식 비교 : 서울시를 대상으로," 주택도시연구, 제7권, 제2호, pp.37-53, 2017.
  10. 김주아, 이경숙, 이제원,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영재교육에 대한 대중 인식 분석," 육과학연구, 제50권, 제4호, pp.275-299, 2019.
  11. 윤빛나리, 안세정, "텍스트 마이닝 기반 여성과학기술인 이슈 및 정책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4권, 제1호, pp.175-207, 2019.
  12. 조화순, 김정연, "소셜미디어의 매체 특성과 참여의 커뮤니케이션: 반값등록금 관련 블로그와 트위터 내용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2호, pp.95-130, 2012.
  13. 이수련, 최은정,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SNS 와 언론의 이슈에 대한 반응 비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2호, pp.277-284,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0.18.2.277
  14. 김지현, 강수진, "행복주택 성과지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주택연구, 제28권, 제2호, pp.71-111, 2020.
  15. 김옥연, 권혁삼, "도심 내 소규모 민간토지 활용 행복주택 공급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7-42, 2016.
  16. 김성연, "행복주택건설사업의 정책요인 탐색 연구: 2013년 행복주택 건설계획 논의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제22권, 제3호, pp.153-169, 2014.
  17. 윤정중, 김용순, 김옥연, 이영환, 신병흔, "행복주택건설의 의미와 해외사례 및 시사점," 도시정보, 제376권, pp.3-24, 2013.
  18. 박철흥, 안정근, 배민철, "장기공공임대주택에서의 행복주택 주거단지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제15권, 제4호, pp.123-135, 2017.
  19. http://www.kapanet.or.kr/kapabook/109/
  20. 주희선, "서울시 행복주택 사업효과에 대한 주변거주민 인식조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9권, 제4호, pp.43-50, 2018. https://doi.org/10.6107/JKHA.2018.29.4.043
  21. 고진수, 이창무, "행복주택이 인근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제25권, 제2호, pp.153-174, 2017.
  22. 정재훈, 박정훈, "공공임대 행복주택이 인접 주택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행정논총, 제58권, 2020.
  23. L. Kart, High-Tech Tuesday Webinar: Big Data Opportunities in Vertical Industries, Gartner, 2012.
  24. 배정환, 손지은,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 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3호, pp.141-156, 201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3.141
  25. 박경미, 박호건, 김형곤, 고희동, "SNS 에서 오피니언마이닝 연구," 정보과학회지, 제29권, 제11호, pp.54-60. 2011.
  26. 이윤주, 서지훈, 최진탁, "SNS 텍스트 콘텐츠를 활용한 오피니언마이닝 기반의 패션 트랜드 마케팅 예측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63-170, 2014. https://doi.org/10.14801/jkiit.2014.12.12.163
  27. S. Lakshmanaprabu, K. Shankar, D. Gupta, A. Khanna, J. J. Rodrigues, P. R. Pinheiro, and V. H. C. de Albuquerque, "Ranking analysis for online customer reviews of products using opinion mining with clustering," Complexity, 2018.
  28. D. E. O'Leary, "Blog mining-review and extensions: From each according to his opinion," Decision Support Systems, Vol.51, No.4, pp.821-830, 2011. https://doi.org/10.1016/j.dss.2011.01.016
  29. G. Attardi and M. Simi, "Blog Mining Through Opinionated Words," Proceedings of the Fifteenth Text REtrieval Conference, 2006.
  30. 이혜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재난에 따른 관광산업 이슈 분석: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 19 의 비교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30권, 제4호, pp.181-200, 2021.
  31. 최선정, "미네르바 신드롬과 시민 지성의 조건-세계화와 정보화의 교차로에서," 언론정보연구, 제49권, 제1호, pp.145-177, 2012. https://doi.org/10.22174/JCR.2012.49.1.145
  32. 고현진, 정유경,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내의 대만음식 트렌드 분석: 블로그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24권, 제3호, pp.71-91, 2020.
  33. 김세령, 최윤원, 윤희연, "경의선숲길 조성 전후의 연남동 방문자의 경험 분석 - 블로그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47권, 제4호, pp.33-49, 2019. https://doi.org/10.9715/kila.2019.47.4.033
  34. 송유진,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본 친환경 소비 이슈의 변화,"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21.
  35. 박상훈, 이희정, "도시 공간 변화에 따른 전통시장 소비자 인식변화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제76권, pp.45-60, 2019.
  36. 송유진, "텍스트 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특징과 의의 탐색," 소비문화연구, 제23권, 제1호, pp.69-91, 2020. https://doi.org/10.17053/JCC.2020.23.1.004
  37. D. W. Drezner and F. Henry, "Introduction-blogs, politics and power : a special issue of public choice," Public Choice, Vol.134, No.1-2, pp.1-13, 2007. https://doi.org/10.1007/s11127-007-9206-5
  38. A. Tumasjan, T. O. Sprenger, P. G. Sandner, and I. M. Welpe, "Predicting elections with Twitter : what 140 characters reveal about political sentiment,"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pp.178-185, 2010.
  39. C. C. Mann, "Spam+ Blogs= Trouble Splogs are the latest thing in online fraud-and they could smother the Net as we know it," WIRED-SAN FRANCISCO-, Vol.14, No.9, pp.104, 2006.
  40. https://blog.naver.com/textom/220931418388
  41. 박수잔, 서영균, 김재성, 권진원,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성조숙증 관련 인터넷 건강상담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7권, 제3호, pp.71-84, 2020.
  42. 오정심,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학 지식구조 연구,"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제34권, 제2호, pp.35-70, 2020.
  43.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9.
  44. 곽기영, 통계데이터분석, 경문사, 2017.
  45. 문신혜, 박상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청년 생애 설계 관련 의미연결망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3호, pp.653-662, 2019.
  46. 김재환, 이재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워터파크현황 및 인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0호, pp.525-535,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525
  47.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01447.html
  48. https://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15111813154459496
  49. https://www.i-sh.co.kr/main/lay2/program/S1T294C295/www/brd/m_241/view.do?seq=231606
  50. 안효선, 박민정, "소셜미디어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패션디자인 사용자 인식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제41권, 제6호, pp.1060-1070, 2017. https://doi.org/10.5850/JKSCT.2017.41.6.1060
  51. F. Gao, T. Luo, and K. Zhang, "Tweeting for learning: A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on microblogging in education published in 2008-2011,"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3, No.5, pp.783-801, 2012.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2.0135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