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Use of Public Bicycles: Case of 'Tashu' in Daejeon

공공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특성 분석 - 대전광역시 '타슈'를 대상으로 -

  • 안민수 (국립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창효 (국립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2.09.01
  • Accepted : 2022.10.14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climate change issues, the use of bicycles is complement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Daejeon Metropolitan City has been operating Tashu, a public bicycle, since 2008.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use of public bicycles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bicycles and applying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an analysis model that considers the spatial dependence of spatial data.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deriving the results of analyzing six models in terms of rental, return, peak time, non-peak time, weekday, and weekend based on the spatial error model identified as the optimal spatial econometrics model. The analysis model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spatial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 bicycle use. In general, the use of public bicycles was high in areas with a high proportion of young people, a high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good access to universities and rivers, and relatively low land use mix, and high proportion of apar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ublic bicycles are used for commuting purposes on weekdays and leisure purposes on weekends, and if the convenience of using bicycles is improved, the use of public bicycles can be further increased.

최근 기후변화 이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전거 이용이 대중교통을 보완하고 친환경 교통수단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2008년부터 공공자전거인 '타슈'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자전거의 이용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공간 자료의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한 분석 모델인 공간계량분석을 적용하여 공공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적 공간계량모델로 파악된 공간오차 모형을 기준으로 대여, 반납, 첨두시간, 비첨두시간, 평일, 주말의 측면에서 6가지 모형을 분석한 결과를 도출하여 비교분석을 하였다. 분석모형 결과는 공공자전거 이용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공간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공공자전거 이용은 청년층 비중이 높고 대중교통 이용자 수가 많고 대학과 하천 접근성이 좋으며 토지이용혼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 아파트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자전거가 평일에는 통학목적으로, 주말에는 레저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자전거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면 공공자전거 이용을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재.곽민정.추상호.김상훈, 2021, 공유 전동킥 킥보드의 공간적 이용특성 분석: 공간자기상관모형을 중심으로, 「한국ITS학회 논문지」, 20(1), 54-69.
  2. 김예술.박시온.박건웅, 2020, 서울 공공자전거 신규 대여소를 위한 수요량 예측 분석, 「응용통계연구」, 33(6), pp.739-751. https://doi.org/10.5351/KJAS.2020.36.6.739
  3. 도명식.노윤승, 2014, 대전시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4(5), pp.1517-152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5.1517
  4. 류기진.남형식.조상호.류동근, 2018,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2(6), pp. 529-538. https://doi.org/10.5394/KINPR.2018.42.6.529
  5. 사경은.이수기, 2018,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 분석, 「국토계획」, 53(6), pp.39-59.
  6. 신희철.김동준.정성엽, 2012, 공공자전거 효과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310.
  7. 신광문.이재수, 2019, 공간 헤도닉 가격 모형을 적용한 소형 주택의 임대료 결정 요인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 「부동산분석」, 5(3), 49-66.
  8. 심지수, 2021, 대전시 공공자전거 이용 특성으로 본 코로나 19 전후 비교, 「국토연구원」, WP21-18.
  9. 심형욱.이영인, 2019, 네트워크 중심성 기반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의 이용률 개선 방안 연구 - 서울시 종로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37(2), 124-134.
  10. 이경환.고은정, 2020,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2), pp.33-42.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33
  11. 이슬이.신은경.김세용, 2014, 공영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환경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30(12) pp.215-223.
  12. 이재영.박진희.임윤택, 2012, 도시특성에 따른 공공자전거 이용특성 및 정책방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7(3), pp.295-308.
  13.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문우사」.
  14. 장재민.김태형.이무영, 2016,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7(4), pp.77-91. https://doi.org/10.23129/SEOULS.17.4.201612.77
  15. 조정훈.함승우.김동규, 2020,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 패턴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의 공공자전거와 공유전동킥보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ITS학회 추계학술대회」, pp.237-242.
  16. 허윤경, 2007, 도시별 주택가격의 공간적 영향력 검증, 「주택연구」, 5-23.
  17.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27 no2 pp.93-115.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5.tb00338.x
  18. Anselin L. and Bera A. K., 1998,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Springer-Verlag」, Berlin, 21, 74.
  19. Ahmadreza Faghih-Imani, Naveen Eluru, Ahmed M. El-Geneidy, Michael Rabbat and Usama Haq, 2014, How land-use and urban form impact bicycle flows: evidence from the bicycle-sharing system (BIXI) in Montreal,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41, issue C, pp.306-314. https://doi.org/10.1016/j.jtrangeo.2014.01.013
  20. Baller, R. D., Anselin, L., Messner, S. F., Deane, G., and Hawkins, D. F., 2001, County Homicide Rates: Incorporating Spatial Effects, 「Structural Covariates of U.S.」, Criminology 39.
  21. Moudon, A. V., Lee, C., Cheadle, A. D., Collier, C., Johnson, D., Schmid, T. L., and Weather, R., 2005, Cycling and the builtenvironment, a US perspectiv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0), 245-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