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s in Commercial Sales of Traditional Market before/after the COVID-19 Occurrence using Panel Models

패널모형을 활용한 코로나 발생 전후 전통시장 상권매출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김단야 (성결대학교 도시디자인정보공학과)
  • Received : 2022.12.05
  • Accepted : 2022.12.20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We aim to explore how the COVID-19 affects commercial sales of traditional market in Seoul. We obtain data for commercial sales and several spatial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commercial sales from the Seoul Open Data Plaza.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COVID-19 occurrence on commercial sales, we employ fixed-effect panel data analysis models. Unlike our expecta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COVID-19 on commercial sales of traditional market is not significant. However, we found that the effects are significant in some types of businesses when we did the same analyses with subsamples. For example, service sectors are mostly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and retail sectors are also second mostly affected by COVID-19.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restaurant sectors. In addition, these effects vary by size of traditional market. Our results suggest that government should have a plan to help small businesses in traditional market because they do not have sufficient abilities to adjust to the unexpected economic shock, like COVID-19. Findings also suggest that strategies for helping them should be differentiated by business type and market size.

코로나기간 동안 대면 영업을 위주로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경험했다. 특히, 전통시장에 입점한 업체들의 경우, 온라인판매시스템으로의 전환이 비교적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피해가 더욱 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전통시장 상권매출 자료를 활용해 코로나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로나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패널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전통시장의 규모, 전통시장에 입점한 업체들의 유형에 따라 영향 정도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상과는 다르게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서 코로나기간 동안 전통시장의 상권매출 변동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코로나의 영향력은 전통시장 안에서 업종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코로나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업종은 서비스업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소매업, 음식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시장 규모에 따라서도 코로나로 인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경우, 대형마트에 비해 외부변화나 시대흐름에 민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소비패턴이나 행동패턴이 변하면 큰 피해가 따를 수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을 세울 때, 전통시장이라는 공간에 대해서 동일한 인센티브나 전략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보다는 전통시장 안에서 업종별, 유형별로 세밀한 방안을 세울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1R1F1A1064016)

References

  1. 강현모.이상경, 2018,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고객특성별 골목상권 매출액 영향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36(6), 611-620. https://doi.org/10.7848/KSGPC.2018.36.6.611
  2. 고덕균, 2019, "전통시장 매출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경영」, 20, 269-283.
  3. 김민호, 202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서울시 상권 매출과 야간 인공조명 세기의 시계열 변화 패턴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56(2), 125-136.
  4. 김승희.이철성.김영기, 2018, "전통시장 내 소매경쟁이 전통시장 공실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분석」, 4(1), 119-128.
  5. 김진수.김종숙, 2015, "전통시장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25(1), 1-17.
  6. 김현철.이승일, 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 117-134. https://doi.org/10.23129/SEOULS.20.1.201903.117
  7. 박용원.김상휘, 2021, "전통시장 상권크기에 따른 매출 영향 요인 분석: 아케이드 설치여부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9(4), 181-194.
  8.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20, "2018년 전통시장.상점가 및 점포경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9. 유경훈.장성만.안영수, 2016,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권역 별 상업가로요인과 유동인구수가 상가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도시연구」, 5(2), 137-152.
  10. 유현지, 2021, "코로나19와 서울시 골목상권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3), 45-76.
  11. 이명호.홍상기.신동빈, 2019, "서울특별시 소지역 상권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공간가중회귀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공간 빅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3(2), 213-224.
  12. 이연수.박현신.유승환.강준모, 2014, "캠퍼스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15(1), 17-34. https://doi.org/10.23129/SEOULS.15.1.201403.17
  13. 이윤명.김태형, 2018, "서울시 전통시장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장 운영 및 입지 특성 분석: 점포당매출액과 공실률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9(2), 105-118. https://doi.org/10.23129/SEOULS.19.2.201806.105
  14. 임승현.이경환, 2021, "전통시장 시장환경특성이 상인들의 영업환경만족도와 기대 매출에 미치는 영향: 천안 중앙시장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5), 125-132. https://doi.org/10.5659/JAIK.2021.37.5.125
  15. 정대석.김형보, 2014, "상권 업종별 분포 및 매출 영향요인 분석: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GRI연구논총」, 16(2), 101-122.
  16. 정현영, 2022,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위험 인지가 디지털 주문배달앱을 통한 음식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4(5), 329-346.
  17. 주재욱.노승철.윤종진, 2021, "코로나19 확산이 서울 지역 에 미친 경제적 손실",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322호, 1-22.
  18. 조춘한.안승호, 2011, "SSM 상권내의 업종 비율 변화와 편의점 매출액 변화에 대한 연구", 「유통연구」, 16(5), 193-209.
  19. 최수호.최정일, 2021, "온라인쇼핑몰에서 Online몰의 상품 군별 거래액 동향과 동조화 현상", 「디지털융복합연구」, 19(2), 151-160. https://doi.org/10.14400/JDC.2021.19.2.151
  20. 홍수지.양종곤, 2021,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연구: 전통시장 배달앱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6), 484-491. https://doi.org/10.5762/KAIS.2021.22.6.484
  21. Brada, J., Gajewski, P., and Kutan, A., 2021, Economic resiliency and recovery, lessons from the financial crisis for the COVID-19 pandemic: A regional perspective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ternational Review of Financial Analysis, 74, 101658. https://doi.org/10.1016/j.irfa.2021.101658
  22. Chitiga, M., Henseler, M., mabugu, R., and Maisonnave, H., 2022, How COVID-19 Pandemic worsens the economic situation of women in South Africa, The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 Research, 34, 1627-1644. https://doi.org/10.1057/s41287-021-00441-w
  23. Chong, T., Li, X., and Yip, C., 2021, The impact of COVID-19 on ASEAN, Economic and Political Studies, 9(2), 166-185. https://doi.org/10.1080/20954816.2020.1839166
  24. Dietrich, A., Kuester, K., Muller, G., and Schoenle, R., 2022, News and uncertainty about COVID-19: Survey evidence and short-run economic impact,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129, S35-S51. https://doi.org/10.1016/j.jmoneco.2022.02.004
  25. Eger, L., Komarkova, L., Egerova, D., and Micik, M., 2021, The effect of COVID-19 on consumer shopping behaviour: Generational cohort perspectiv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61, 102542.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21.102542
  26. Fairlie, R and Fossen, F., 2022, The early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business sales, Small Businesses Economics, 58, 1853-1864. https://doi.org/10.1007/s11187-021-00479-4
  27. Fairlie, R., 2020, The impact of COVID-19 on small business owners: Evidence from the first three months after widespread socialdistancing restrictions,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Strategy, 29, 727-740.
  28. Jensen, K., Yenerall, J., Chen, X., and Yu, E., 2021, US consumers' online shopping behaviors and intentions during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53, 416-434. https://doi.org/10.1017/aae.2021.15
  29. Panzone, L., Larcom, S., and She, P-W., 2021, Estimating the impact of the first COVID-19 lockdown on UK retailers and the restaurant sector, Global Food Security, 28, 100495. https://doi.org/10.1016/j.gfs.2021.100495
  30. Wooldridge, J., 2012, Introductory Econometrics: A Modern Approach, 5th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