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innitus and Deafness Based on the Donguibogam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중심으로 한 이명(耳鳴), 이농(耳聾)에 대한 고찰

  • Park, Chae yeon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
  • Ahn, Jinhee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Baik, You-sa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Jeong, Chang-hyun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Jang, Woocha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박채연 (경희대학교대학원 한의학과) ;
  • 안진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Received : 2022.02.03
  • Accepted : 2022.02.10
  • Published : 2022.02.25

Abstract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thology and treatment methods of tinnitus and deafness. Methods : Contents on the ears, pathology and treatment methods of tinnitus and deafness in the Donguibogam were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Findings indicate that Kidney jing deficiency and problems of qi metabolism of the Kidney are at the root of tinnitus and deafness pathology. In treatment, once the primary symptoms are managed, the root, which is Kidney deficiency, needs to be improved, together with life style management. In the case of Heart-Kidney disconnection, the Heart must be collected while nurturing jing; in the case of yin deficiency and flaring, ministerial fire must be managed while tonifying jing and blood. If the cause lies in the Lungs and Kidney, they must be tonified, while in cases due to problematic water fluid metabolism, phlegm-fire or exterior pathogens, the Kidney needs to be dealt with even after treating the aforementioned causes.

Keywords

References

  1. 김공빈. 玄同醫鑑 內景篇, 外形篇, 雜病篇. 서울. 도서출판 현동. 2017.
  2. 김관우. 舍岩針法病證論. 서울. 초락당. 2009.
  3. 김동수, 김영일. 耳鳴의 治療穴位에 關한 文獻考察.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6. 15(2).
  4. 金洛必. 「性命論과 精氣神論」 「泰東古典硏究」. 서울. 泰東古典硏究所. 1987.
  5. 김범석. 韓醫學의 腦에 대한 硏究. 慶熙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8.
  6. 김범석, 백유상. 東醫寶鑑의 三丹田에 대한 精氣神 배속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8. 31(2). https://doi.org/10.14369/jkmc.2018.31.2.127
  7. 김선호 編著. 善乎靈樞(上). 大田. 주민출판사. 2003.
  8. 김완희, 최달영 共編. 臟腑辨證論治. 서울. 성보사. 2004.
  9. 김완희 編. 한의학원론. 서울. 성보사. 2014.
  10. 金振鎬. 左腎右命門과 腎間動氣의 통합적 이해를 위한 연구.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3. 26(4). https://doi.org/10.14369/skmc.2013.26.4.253
  11. 羅敏洙. 耳鳴의 樣相에 대한 臨床 硏究. 圓光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5.
  12. 盧石善. 原色耳鼻咽喉科學(耳科學). 서울. 一中社. 1999.
  13. 柳姃我, 張祐彰, 丁彰炫. 水穀의 人體內 代謝過程 설명모델.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8. 21(1).
  14. 務成子.梁邱子 註, 馬濟人 主編. 黃庭經.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0.
  15. 朴成圭. 「東醫寶鑑」을 통해 살펴본 許浚의 人間觀. 慶熙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9.
  16. 朴贊國 編譯. 臟象學. 서울. 成輔社. 1992.
  17. 박찬국 譯.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파주. 集文堂. 2005.
  18. 方正均, 李容範. 《黃帝內經》의 心의 槪念과 藏象에 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0. 13(1).
  19. 백무진, 황문섭. 耳鳴에 의한 장애정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臨床이비인후과. 2002. 13(1).
  20. 백상용. 藏府와 身形의 病機 및 病症에 대한 比較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0. 13(2).
  21. 백유상, 김도훈, 안진희. 劉河間의 養腎水 治法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21. 34(3). https://doi.org/10.14369/jkmc.2021.34.3.021
  22. 白裕相, 金惠一, 金鍾鉉, 尹銀卿, 金尙賢, 朴哲漢. 黃帝內經 三焦 病機와 三焦相火 病機와의 관계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6. 29(2). https://doi.org/10.14369/skmc.2016.29.2.187
  23. 白裕相, 尹銀卿. 「黃帝內經」의 精, 神과 陰陽變化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1. 24(1).
  24. 변석미, 탁명림, 강나루, 고우신, 윤화정. 《素問》《靈樞》에 나타난 耳鳴에 대한 硏究.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0. 23(1).
  25. 葉霖. 難經正義.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1.
  26. 宋乃光 主編. 劉完素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6.
  27. 양기영, 이병렬. 耳鳴의 病因別 分類와 鍼灸治療에 關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0. 8(2).
  28. 王綸 撰. 沈鳳閣 點校. 明醫雜著.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29. 虞摶 著. 醫學正傳. 서울. 成輔社. 1986.
  30. 유희조, 김경준, 김연섭.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증례 연구 분석을 통한 이명의 한의학적 治療에 대한 고찰 - 한약 治療를 중심으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20. 33(3).
  31. 윤기령, 백유상, 장우창, 정창현. "脾爲生痰之源, 肺爲貯痰之器."의 의미에 대한 고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8. 31(3). https://doi.org/10.14369/jkmc.2018.31.3.109
  32. 윤명섭, 성락기. 耳鳴의 病因病機 및 鍼灸治療에 對한 文獻的 考察.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4. 3(1).
  33. 윤지은, 정현아, 노석선. 돌발성 난청에 관한 文獻考察.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0. 19(1).
  34. 윤창열. 三焦有形으로 살펴본 三焦의 機能, 病證 및 臟腑配合.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3. 26(2).
  35. 李起熏. 內經圖와 修眞圖에 대한 硏究-韓醫學의 水升火降 원리를 중심으로. 慶熙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3.
  36. 이용식, 윤창열. 心腎의 相互關係에 대한 東西醫學的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5. 18(2).
  37. 李梴 編著. 陳柱杓 譯. 醫學入門. 서울. 法仁文化社. 2009.
  38. 張介賓 著. 李南九 譯. 懸吐.註釋 類經. 서울. 法仁文化社. 2006.
  39. 장영주, 정인철, 이상룡. 耳鳴에 관한 정신의학적 文獻考察.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9. 18(1).
  40.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공저. 간계내과학. 재단법인 동양의학연구원. 2016.
  41. 田思勝 等 主編. 朱丹溪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7.
  42. 정창현, 백유상, 위보영, 장우창. 東醫寶鑑의 精氣神 養生法과 그 특징.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7. 30(1). https://doi.org/10.14369/skmc.2017.30.1.135
  43. 정현아. 耳鳴의 한방 治療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11. 20(1).
  44. 정호진. 升降의 原動力에 관한 考察-脾胃와 命門을 中心으로-.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0. 14(1).
  45. 趙獻可 著. 醫貫.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46. 秦越人 著. 금경수, 송지청 繹. 國譯 難經. 集文堂. 2016.
  47. 陳柱杓 註譯. 東醫文獻硏究室. 再編輯. 金元四大家 醫學全書(上). 서울. 法仁文化社. 2007.
  48. 최동현. 三焦와 元氣, 津液에 대한 고찰. 慶熙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9.
  49. 鄒澍. 김선호 譯. 本經續疏. 주민출판사. 2012.
  50. 허은선. 耳鳴의 東.西醫學的 文獻 考察. 圓光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6.
  51. 許浚 著. 東醫文獻硏究室 譯. 新增補對譯東醫寶鑑. 서울. 法仁文化社. 2017.
  52. 黃元御. 黃元御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