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Science Communicators' Competencies for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Focusing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ience Communicators' Curriculums

과학대중화를 위한 과학관 해설사 역량 탐색 :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11.30
  • Accepted : 2022.12.28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Science museums are platforms of PU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ience communicators' competencies critical in interacting with visitors from the comparison of their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anagers running science communicators' programs and communicators themselves from six different national science museums and those from five different international ones participated in the structured survey. The data from surveys were compared among respondents to draw common and specific descriptions for communicators'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experienced exemplary science communicator, Ms. Park,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from her observation field notes, her own developed science communicators' manual, and interviews were used to support the result. The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in science museums (Falk, 2006) was used to illustrate science communicators' expertise. National managers and science communicators showed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about science communicators' roles,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for their competencies. Internationally, the managers and science communicators showed similar perception about communicators'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It is highly suggested that practice-based science communicators'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must be offered on the basis of interaction between experienced and novice communicators as mentors and mentees systems.

이 연구는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양성 및 재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비교하면서 국내의 체계적인 과학관 해설사의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의 국립과학관, 자연사박물관, 및 시립과학관 총 6개의 기관에서 국외는 5개의 나라의 과학관 및 자연사박물관 등의 해설사 교육담당 실무자와 해설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여 해설사의 교육과정의 현황, 문제점, 개선점 등에 대해서 2차에 걸친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의 2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모범 박 해설사의 수업일지, 본인 개발 해설사 운영매뉴얼, 인터뷰 등의 자료를 통해 이러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증거자료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해설사 관련 결과는 공통점과 특정한 내용으로 비교 기술되었으며 또한 Falk(2006)가 제시한 학습맥락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으로 제시되는 3가지 맥락인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물리적 맥락에 비추어 해설사의 역량과 얼마나 연계가 있는지도 제시하였다. 국내의 경우는 이러한 학습맥락모형에 연계된 역량강화가 잘 드러나지 않는 반면에 국외 특히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의 맥락에서 필요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 참여한 20년 경력의 모범 박 해설사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 맥락에서 필요한 역량을 모두 갖춘 경력해설사이기에 이러한 경력해설사로 구성된 멘토 체계로 초임해설사를 양성하고 역량강화를 하는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국내 과학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추구하는 과학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관람객들의 정체성을 잘 파악하여 방문하는 이들에게 최대한의 과학 학습효과를 경험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상호작용하는 과학해설사의 교육과정이 운영실무자와 해설사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해설사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는 실무기반 멘토링 제도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2020).

References

  1. 권홍진, 김찬종, 최승언(2006).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지향과 실행: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89-301.
  2. 노용, 이주연, 류지영, 이선아(2007). 박물관 교육의 기본. 서울: 미진사, p. 312.
  3. 박승재(2006). 과학관 육성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6-33.
  4. 박영신(2015).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98-1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98
  5. 박영신(2018).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75-291.
  6. 박영신, 이정화(2011).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881-991. https://doi.org/10.5467/JKESS.2011.32.7.881
  7. 박영신, 이정화(2012). 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도슨트 제도 개선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3(2), 200-215. https://doi.org/10.5467/JKESS.2012.33.2.200
  8. 송우용(2016). 전국과학관 연계활성화 및 지원전략 마련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정책연구, 2015-8-2589-01.
  9. 윤병화(2012). 학예사를 위한 박물관학. 파주: 예문사, p. 206.
  10. 이정화(2012). 과학관 전시해설에 대한 경력 도슨트의 생애사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정화, 박영신(2013). 생애사적 방법으로 탐색한 경력 도슨트의 과학전시해설 전문성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4(3), 257-273.
  12. Falk, J. H. (2006). An Identity-centered approach to understanding museum learning. Curator: The Museum Journal, 49(2), 151-166. https://doi.org/10.1111/j.2151-6952.2006.tb00209.x
  13. Falk, J. H. (2011). Contextualizing falk's identity-related visitor motivation model. Visitor Studies, 14(2), 141-157. https://doi.org/10.1080/10645578.2011.608002
  14. Falk, J. H. (2016). Identity and the museum visitor experience. Oxford, UK: Routledge. p.302.
  15.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Lanham, MD: AltaMira Press. p.272.
  16. Falk, J. H., & Dierking, L. D. (2013). The museum experience revisited. Walnut creek. California: Left Coast Press Inc. p.416.
  17. Falk, J. H., & Storksdieck, M. (2005). Using the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to understand visitor learning from a science center exhibition. Science Education, 89(5), 744-446.
  18. Falk, J. H., & Storksdieck, M., & Dierking, L. D. (2016). Investigating public science interest and understanding: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free-choice learning.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6(4), 455-469. https://doi.org/10.1177/0963662506064240
  19. Falk, J. H., Heimlich, J., & Bronnenkant, K. (2010). Using identity-related visit motivations as a tool for understanding adult zoo and aquarium visitors' meaning making. Curator the Museum Journal, 51(1), 55-79.
  20. Grenier, R. 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2), 142-157. https://doi.org/10.1177/0741713608327369
  21.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s, pedagogy, performanc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ress, p. 231.
  22. Merson, M., Char, C., Hristov, N., & Allen, L. (2017). Seeking park-based science information: Interpreters at the gate. The George Wright Forum, 34(3), 368-380.
  23. Park, Y-S., & Park, J. (2014).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program developed by docents and its educational impact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75-90.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75
  24. Ryan, C., & Dewar, K. (1995).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interpreter and visitor. Tourism Management, 16(4), 295-303.
  25. Thakur, S., & Chetty, P. (2020. 1. 27). How do you establis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Guru. https://www.projectguru.in/
  26. Watkins, T., Miller-Rushing, A. J., & Nelson, S. J. (2018). Science in places of Grandeur: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in national parks.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58(1), 67-76. https://doi.org/10.1093/icb/icy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