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VR Content on Sub-Syndromatic Depress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Based on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 -

VR 콘텐츠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 아증후군적 우울 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주의력회복이론을 기반으로 -

  • Received : 2021.12.21
  • Accepted : 2022.01.14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e psychological state of Chinese students has become a very significant issue that needs to be resolved. In addition to paying attention to the daily life and study of Chinese students,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hinese students are also worthy of attention. At the same time, if the existing psychological problems are not resolved in time, serious consequences may result. Based on the ART(Attention Restoration Theory) theory, this article uses VR (Virtual Reality) content as a medium, uses 3D modeling software to build a healing scene that helps Chinese students improve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presents it in a VR device. To achieve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of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experimental tests, the VR recovery scene constructed by this method can help improve the psychological mood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lready have subliminal depression. The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 T-tests after data analysis experiments show that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experiment, the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is proved that the method in this study is effective for the mentality and emo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subliminal depression. There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Keywords

1. 서론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은 경제, 정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면적인 교류를 전개해 왔으며, 특히 한·중 양국의 교육적 교류와 협력 분야에서 양호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한·중 관계의 발전으로 양국 교육교류와 협력이 발전하고 있어 현재 300여 개의 중국 대학이 한국 측 200여개 대학과 교류·협력 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집계됐다[1]. 따라서 한·중 양국은 교육 관련 분야에서의 교류가 활발하며, 동시에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하는 데 긍정적인 기초를 다지고 있다.

한국교육부의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한국에서 학업 중인 중국 유학생 수는 67.030명으로 한국 전체 외국인 유학생 총수의 43.6%를 차지한다[2]. 그러나 이와 동시에 많은 재한 중국 유학생들이 일상학습 생활에서 일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이전 연구에서도 문화 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재감, 사회동질감, 대인관계, 우울상태 등 여러 방면에서 문제가 나타났다[3, 4]. 재한 중국 유학생의 아증후군적 우울증에 대한 조사 연구에서 249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심리검사 결과 34.5%의 중국인 유학생은 아증후군적 우울증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그 연구에서 연구자는 아증후군적 우울증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제때에 심리상담 또는 심리 치료를 받아 우울한 정서의 발생 및 가중을 완화시켜야 한다고 명확히 주장했다. 현재 심리 문제에 대한 치료수단은 전통적인 심리상담, 예술치료, 음악치료 등 다양하지만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장소 및 시간적 문제, 치료 활동에 직면했을 때의 내적 거부감 등이다[5]. 따라서 유학생 집단에 적합하고 중국 유학생의 심리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가상현실은 이미 21세기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VR기술자체의 끊임없는 업그레이드와 발전에 따라 이미 현재의 여러 분야와 교차 결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대부분 매체의 형식으로 나타났다.VR기술은 현재 게임, 영상, 뉴스 매체 등 많은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동시에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소니, 삼성 등 세계적인 대형 기업들이 VR 분야에 투자, 개발하고 있다 [6]. 이와 동시에 최근'메타버스'라는 개념이 급부상하고 있는데, VR기술과 장비의 개념을 구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매개체 중 하나이다. 이로부터 VR기술의 발전, 응용범위, 시장 공간을 막론하고 모두 밝은 전망과 비교적 높은 연구 가치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R기술은 심리 의학에도 응용돼 뚜렷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심리치료에 VR 기술을 적용하면 치료 여건 개선과 환자 안전확보는 물론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임상실험으로 밝혔는데, VR기술을 통해 환자들이 되도록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정상적인 생활을 회복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7]. 따라서 VR기술은 이제 심리 의학 분야의 새로운 보조수단이 됐다.

우울한 기분 상태를 가진 집단에 대해 필요한 치료수단 외에 환경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도 매우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회복적인 측면은 한 매개로서 자연 경험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자연 경험도 스트레스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자연체험은 주관적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8]. 이 연구를 통해 회복적인 측면은 사람의 정서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의력회복이론(ART)은 디자인의 회복적인 측면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이론이다[9]. 따라서 본 연구는 주의력회복이론(ART)에 기초해 회복적인 측면을 기존 VR기술과 융합해 심리 회복적인 측면을 VR기기에 구현함으로써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아증후군적 우울증을 개선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2. 이론적 배경

환경심리학자 KaplanR과 KaplanS는 1970년대부터 자연환경과 인간의 심리적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 매우 영향력 있는 주의력회복이론(AttentionRestorationTheory) 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은 환경은 심리적 기능 회복을 촉진하고 주의력회복이론은 환경 회복의 거리성 (BeingAway), 다양성(Extent), 매력성(Fascination), 호환성(Compatibility)4가지 특징적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환경회복의 능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가치로 삼는다[10]. 초기의 환경심리학 연구에서는 회복력이 있는 환경이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는 숲, 해변 등 자연환경에 치우쳐 도시환경을 반대의견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유학생들의 주요한 생활환경을 종합해보면 대부분 도시환경이며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자연환경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주의력 회복이론에 기초하여 회복력 있는 환경이 유학생에게 적용되어 개선효과를 볼 수 있다고 기대된다.

VR기술에 관한 이론 연구와 응용실증은 이미 학계에서 많은 연구 성과를 통하여 증명해냈고, 유사하고 공통적인 문제가 있는 여러 분야에서 이미 검증되었다. 오늘날의 가상현실(VR)기술은 사용자의 체험 감과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쳐 이전보다 현실에 가까운 경험을 제공한다[11]. 기술적으로 360도 가상현실(VR) 장면은 여러 개의 카메라를 한 장비에 연결해 전면적으로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몰입감 있는 장면을 만들 수 있다[12].

하지만 이 방식은 장면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같은 원리로 자연자원 소재를 소프트웨어에 가상현실(VR) 장면을 구축해 동등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심리치료 분야 중에서는 바바라 로슈바움(bara Rothbaum)과 래리 호지스(LarryHodges)등이 1990 년대 최초로 가상현실 기술을 심리치료 연구에 적용했다. 가상현실 심리치료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심리치료법으로 보통 가상장면에서 증상을 일으키는 자극에 환자들이 적응하도록 해 회복을 촉진한다 [13].심리치료 분야에서는 불안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 질환, 기타의학적 공포증을 다루는 데 가상현실 기술이 쓰이고 있으며, 현재도 중독성 문제에 활용되고 있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측정도구를 사용해 측정한 결과에서 경도 우울성향과 중도 우울성향이 있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3.2 측정 도구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계량표는 자기 완성도가 높고 민감도가 높아 문제점 잘 나타내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는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계량표를 채택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총 21개 항목으로 모두 0-3점의 4등급 평점을 받았다. 본 연구는 15-35점을 받은 사람을 아증후군적 우울증 있는 사람으로 간주했다. 점수가 15미만이면 무우울성향이고, 35점보다 크게 나오는 것을 심각한 우울성향으로 판단한다. 언어의차별성을 고려하여 BDI-II-C(Yang, 2014) 번역본을 채택하였으며, 이 번역본은 완전히 BDI-II영문판 항목의 구현 방식에 따라 명료하고 정확하게 표현되었다[14].

3.3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는 2021년 11월 1일-2021년 11월 3일 동안 온라인에서 연구 대상자들에게 설문 링크를 배포하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실험에 적합한 조사대상자를 선별하여 실험자의 동의를 얻어 시행했다.

3.4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은 SPSS24.0으로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분석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3.5 실험 설계

본 연구는 주의력 회복이론에 바탕을 두었다. 이 이론의 4가지 특징 요소에서 출발하여 요소에 따라 3D모델링 소프트웨어 sketchup2019를 사용하여 실험에 필요한 장면을 3D 모델링하고 Enscape을 사용하여 3차원 장면을 렌더링했다. 그리고 숲, 바다, 초원의 세 가지 대표적인 자연환경 그대로를 구축했다. VR기기는 ALLIPG04E를 사용했다. 실험 팀과 대조 팀으로 나눠 실험팀의 대상에게 1주일에 3번씩 실험을 실시했고 대조팀은 실험을 실시하지 않았다. 두 그룹에 대한 실험 시작 전과 실험 종료 후 모두 BDI-II-C를 사용해 역하우울 성향이 개선됐는지 측정했다.

자세한 실험 절차는 Fig.1과 같이 실험주기는 일주일이며 월요일에는 피험자에게 BDI-II-C양 표를 이용하여 심리상태를 평가한 뒤 첫 번째 VR 콘텐츠 체험을 진행한다. 수요일에는 두 번째 VR콘텐츠 체험을 실시를 하여 일요일에는 셋 번째 VR콘텐츠 체험을 실시를 했다, 체험 끝난 후에 다시 BDI-II-C 계량표를 통해 피험자의 심리상태를 재점검하여 실험을 마무리했다.

Fig.2.-Fig.4보여 준 것과 같이 각각 삼림, 초원, 해양을 3차원적으로 모델링하고 렌더링하여 회복적 효과를 가지고 VR장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면이며, 동시에 이번 실험에 사용되는 치료적 장면이다.

MTMDCW_2022_v25n1_124_f0001.png 이미지

Fig. 1. Experimental flowchart.

MTMDCW_2022_v25n1_124_f0002.png 이미지

Fig. 2. VR recovery scene with forest as the element.

MTMDCW_2022_v25n1_124_f0003.png 이미지

Fig. 3. VR recovery scene with ocean as the element.

MTMDCW_2022_v25n1_124_f0004.png 이미지

Fig. 4. VR recovery scene with grassland as the element.

4. 연구 결과 및 고찰

4.1 실험 대상 설정

먼저 중국인 유학생들을 선별하여 15-35점 군을 실험대상자로 선정하여 사전 테스트의 결과 총점수분포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이번 실험는 유효한 설문자료는 충 233건을 회수하여 부적합 자 163 건을 제거한 후에 나머지 70건은 실험 대상자로 설정하였다. 실험대상자의 설문조사 점수 분포는 15점부터 35점까지로 모두 경도 및 중도 우울성향자였으며, 실험기준을 충족한 사람들의 점수는 구체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 백분율 및 인원수는 Table1과 같다.

Table 1. Screening subjects that can be tested.

MTMDCW_2022_v25n1_124_t0001.png 이미지

4.2 인구통계학 분석

회수에 유효한 70개 설문지 인구 통계학 문항을 전리한 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able2와 같이 성별로는 남자가 34명으로 48.6%, 여자가 36명으로 51.4%를 차지해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환경을 보면 기숙사에 생활하는 사람은 34명(48.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족 및 룸메이트와 같이 19명(27.1%), 자취 17명 (24.3%)순이었다. 학력별로는 대학원생 34 명 (48.6%)으로 가장 많았고, 학부 20명 (28.6%), 어학원 16명 (22.9%)순이었다. 생활비는 100만~150 만 22명 (31.4%), 150만~200만 8명 (11.4%)으로 200 만 4명 (5.7%)보다 많았다.

Table 2. Demographic analysis.

MTMDCW_2022_v25n1_124_t0002.png 이미지

4.3 신뢰도 분석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은 클론바흐(Cron- bach's Alpha)신도계수를 사용하여 설문연구 변수의 각 측정 문항의 일치성 정도를 검사했다. 일반적으로 변수의 신뢰도 Cronbach'sAlpha계수는 0.7보다 크게 나타나면 신뢰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Table3과 같이 본 연구 중에 나타나는 두 가지 인자의 신뢰도 수지는 각각 0.959와 0.915로 기준치 0.7보다 높게 나와서 양표의 신뢰도가 좋다는 것을 증명했다.

Table 3.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Reliability Analysis.

MTMDCW_2022_v25n1_124_t0003.png 이미지

4.4 타당도 분석과 인자 분석

수집한 데이터를 탐색적 인자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검사를 통해 양표의 구조적 유효성을 증명했다.SPSS25.0을 이용한 탐색적 인자 분석으로 KMO와 Bartlett's구형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4. KMO and Bartlett's sphericity test.

MTMDCW_2022_v25n1_124_t0004.png 이미지

위의 표에서 KMO=0.867로 0.7 이상이며 Bar-tlettt's구형검사치(Sig.<0.001)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설문 데이터가 인자 분석의 전제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가적인 분석은 인자 추출 시 주성분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특정근이 1보다 큰 인자는 공인자로 추출하여 인자가 회전할 때 최대 정교 회전을 사용하여 인자분석을 진행한. 자세한 분석 결과는 아래 Table 5와 같다.

Table 5.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Factor analysis.

MTMDCW_2022_v25n1_124_t0005.png 이미지

위 Table5를 통하여 인자분석 결과로는 감정 인자와 인지인자로 총 2가지 인자를 얻었다. 총 해석능력이 67.858%로 50%를 넘어 선별된 2개 인자가 대표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인자부하중량계수는 Table5를 참조하여 각 측정 문항의 인자 부하 중량이 0.6 이상이고 교차하중이 0.4 미만으로 각각의 문항이 대응하는 인자에 떨어져 구조 효율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4.5 가설 검증

사전 테스트의 독립 표본 T검사의 자세한 내용을 Table6과 같다. 사전 테스트에서 측정한 독립표본T 검사의 결과를 보면 실험 실시 전, 대조팀과 실험팀이 감정인자와 인지인자의 p>0.05로 나타나서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선별 대상자는 사후테스트의 실험조건을 만족시켜 사후 테스트를 진행하기에 적합하다.

Table 6. Independent sample T test of the previous test.

MTMDCW_2022_v25n1_124_t0006.png 이미지

사후테스트의 독립 표본 T검사의 자세한 내용을 Table7과 같다. 사후 테스트의 독립 표본 T 검사에서는 실험 실시 후 대조팀 및 실험 팀의 감정 인자 와인 지인 자에 p<0.05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감정인자의 실험결과는 실험팀이 평균치 0.82로 대조 팀의 평균치 1.13(p<0.05)보다 현저하게 작아 실험 실시 후 실험팀의 우울 상태가 대조팀에 비해 뚜렷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인자 실험 결과를 보면 실험팀의 평균이 0.84로 대조 팀의 평균인 1.48보다 현저히 작았으며(p<0.05), 이 때문에 실험군의 우울증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7. Independent sample T test for post-test.

MTMDCW_2022_v25n1_124_t0007.png 이미지

사전 테스트의 대응 표본 T검사의 자세한 내용을 Table8과 같다. 대응 표본 T검사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대조팀은 감정인자(p>0.05)와인지인자(p>0.05)에 뚜렷한 차이가 없다. 반면 실험 팀은 감정인자와 인지인자(p<0.05)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치를 관찰하여 감정인자의 전측 평균값은 1.14이며, 실험 실시 후 0.82(p<0.05)로 현저히 떨어졌다.인지인자의 전측 평균값은 1.20으로 실험개입 후 0.84(p<0.05)로 현저히 떨어졌다. 이로부터실험방법은 우울한 상황에 뚜렷한 감소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실험 방법이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Table 8. Paired sample T test.

MTMDCW_2022_v25n1_124_t0008.png 이미지

성별 요소에 대한 독립 표본 T검사의 자세한 내용을 Table9와 같다. 성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실험실시 전 총점(p>0.05)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험 실시 후 총점(p<0.05)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치를 관찰해보면 남성 평균은 19.44로 여성 24.22 (p<0.05)보다 개선된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Table 9. Independent sample T test for gender.

MTMDCW_2022_v25n1_124_t0009.png 이미지

주거환경요소에 대한 단요인 방차분석은 Table 10과 같다. 주거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는 실험 전에는 총점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p>0.05) 실험 후에는 총점에 큰 차이가 있었다.(p<0.05). 평균치에 관찰을 보면, 자취의 평균값이 16.88로 가장 잘 개선되었고, 다음으로 기속사의 평균값이 21.56이며, 마지막으로 가족 및 룸메이트 같이의 평균값이 27.00으로, 자취그룹에 대한 실험수단의 효과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Table 10.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f living environment.

MTMDCW_2022_v25n1_124_t0010.png 이미지

학력 요소에 대한 단요인 방차분석은 Table 11과 같다.학력에 대한 분석 결과는 실험 실시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p>0.05).

Table 11.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r Education level.

MTMDCW_2022_v25n1_124_t0011.png 이미지

생활비 요소에 대한 단요인 방차분석은 Table12 와 같다. 생활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실험 실시 전에는 총점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p>0.05) 실험 후에는 총점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0.05).생활비 100만 이하의 평균치는 19.31, 100 만-150만의 평균치는 19.64, 150-200만의 평균치는 32.00, 200만 이상의 평균치는 37.50으로, 이로써 실험을 실시하여 생활비가 낮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뚜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2.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f Cost of living level.

MTMDCW_2022_v25n1_124_t0012.png 이미지

5. 결론

본 연구는 VR기술을 매체로 주의력회복이론에 기초하여 재활적인 장면을 가상한 형식을 아증후군적 우울증 경향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이를 통해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아 증후 군적 우울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목적을 달성했다. 본연구의 사전 및 사후테스트의 비교를 통해, 실험 실시 전 대조팀과 실험팀 모두 감정인자와 인지인자 (p>0.05)뚜렷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을통해 선별된 대상이 사후테스트 조건을 만족시켜사후 테스트를 실시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험 실시한 후, 실험팀의 평균점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실험방법이 아증후군적 우울증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실험 방법이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VR 내용이 보여주는 치료적 측면이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아증후군적 우울증에 대해 매우 뚜렷한 개선 기능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성별 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본 실험은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모두 뚜렷한 조절능력이 있었다. 성별에 대한 독립 표본 T검사에서 남학생의 조절능력이 여학생보다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전자제품이나 신기술에 대한 수용력과 호기심이 높은 성별 특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앞으로 이 연구의 설계를 보완할 때, 상호 작용이나 요소의 운용에 있어서 여학생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지향적인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여학생의 수용 정도를 개선하고 제고시켜야 한다.

본 연구실험 환경은 한국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학교 환경 이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환경으로, 예를 들면 학교 기숙사, 교외 1인 독거와 2인 이상이 함께 사는 생활환경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자취에 대한 조절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 및 룸메이트 같이 생활한 사람 순으로 이어졌다. 1인 자취자는 주거환경 선택 시 이미 타인과의 접촉을 꺼리고 자신만의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발견됐다. 평소에 혼자 다니는 경향이 강하며, 가족 및 룸메이트와 같이 생활한 사람보다는 주변 친구들과 접촉할 기회가 적고 마음가짐이 흔들리기 쉬우므로 조절 효과가 가장 높았다. 기숙사 환경은 비교적 일정하고 생활규율로 인해 학교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그러나 개인의 사생활이 적은 등의 문제도 있어 적절한 방법의 심리조절이 필요하다.

학력 요소에 대한 결과는 시험 전후로 비교하여 어학원, 학부, 대학원생, 이들 세그룹에 큰 차이가 없었다.따라서 분 실험 방법이 이들 세그룹 모두에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고, 따라서 이 실험 방법은 학력별, 계층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생활비 요소에 대한 일방적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실험 방법이 생활비가 작은 사람일수록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가 작은 유학생들은 학비와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출 외에 여행, 사교 등 정서적 개선활동을 할 수 있는 생활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생활비가 부족해 스트레스가 많이 생긴 경우이기 때문에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적절한 조절활동을 할 수 없다. 저렴한 비용으로 상대적으로 편리한 방법으로 이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어 아증후군적 우울증의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 VR 기기의 강점도 드러났다.

전통적인 심리치료 수단과 달리 VR은 치료 내용을 매개체로 제시하거나 직접 치료의 역할을 한다. VR의 장점은 가상현실 기술이 더욱 융통성 있고 실용성이 강하며 사용자는 단계별로 가상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며 더는 참지 못할 경우 수시로 치료를 중지할 수 있다.VR은 전통적인 심리상담의 단순한 언어 치료보다 현실감 있고 현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전반과정은 특정한 장소에서 완성할 필요가 없으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다. 기존의 심리 상담이 전문 심리치료사의 도움을 받는데 비해 VR은 기초장비의 조작 지식만 갖추고 VR 콘텐츠에 이미 마련된 프로그램에 따라 조작하기만 하면 치료가 가능하다.

현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언어장애, 대학 심리상담 기제의 미비, 학교 내 심리상담사의 부족, 전통적인 심리상담에 대한 수치감 및 거부감 등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겪고 있는데, VR내용의 심리치료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동시에 테스트 결과와 결합해보면 중국인 유학생의 심리상태는 아직은 아증후군적 우울 상태로서 우울증에 이르지 않았다. 따라서 우울한 정서가 존재하는 초반에 치료하여 우울증의 발병을 피해야 한다. VR 콘텐츠는 아증후군적 우울증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도구로서 널리 개발되어 활용되어야 한다. 심리 상담방면의 학교부담을 덜어줄 수도 있다.

앞의 연구와 분석을 보면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기술을 심리 건강 분야에 응용하여 사람들이 실내에서도 건강을 회복하는 특징을 지닌 환경을 체험하고 가상환경 속에서 자연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증후군적 우울증은 중시할 필요가 있는 일종의 정서 상태로서 마땅히 아증후군적 우울증을 제때에 발견하고 정서를 개선하는 방식을 모색하여 더욱 심각한 질병의 발생을 피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정서 상태 안정과 건강에 도움을 주어 적극적으로 학업과 생활에 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References

  1. Brief Introduction of China-Korea Educational Exchange, http://korea.lxgz.org.cn/eportal/ui?pageId=8d2886f984d24e6faf7b8d1617dfe330&articleKey=133536hi&columnId=9c450bede1ed4af39101367bf81e9dad (accessed January 3, 2022).
  2. 2020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출처 : 한국교육개발원(KEDI)),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50&boardSeq=8291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9&opType=N (accessed January 3, 2022).
  3. M.H.Park, Effect of cognitive art therapy program on adapted cross cultural stress and depression of Chinese students, Master's Thesis of Konkuk University, 2013.
  4. X.Y. Li,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on Their Procrastination, Master's Thesis of KyungHee University, 2019.
  5. X.Y. Ding, Y.W. Lee, and C.Y. Kim, "A Study on the Recovery of Sub-Syndromatic Depression in Chinese Student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4, No. 10, pp. 1425-1434, 2021. https://doi.org/10.9717/KMMS.2021.24.10.1425
  6. H. Yang and J.J. Lei, "A Review of VR Studies," Journalism Bimonthly, Vol. 146, No. 6, pp. 27-35, 2017.
  7. B. Yao and X.K. Peng, "A Prelimina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Psychological Medicine," China Medical Herald, Vol. 3, No. 32, pp. 143-144, 2006.
  8. M.I. Choi,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Experienc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Master's Thesis of Daegu University, 2021.
  9. H. Zhao and J.P. Wu, "Review on Restorative Environment:The Theories and Evaluation," Chin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8, No. 1, pp. 117-121, 2010.
  10. R. Kaplan and S. Kaplan,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1. C.S. Kw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istraction Factors, Presence,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HMD-based Immersed VR Learning,"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1, No. 8, pp. 1002-1020, 2018. https://doi.org/10.9717/KMMS.2018.21.8.1002
  12. Y.S. Lee and J.W. Kim, "A Study on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Movie Filming Environment Using 360° VR,"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9, No. 12, pp. 2036-2043,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6.19.12.2036
  13. B. Rothbaum, L. Hodges, and R. Kooper,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The Journal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Vol. 6 No. 3, pp. 219-226, 1997.
  14. W.H. Yang, S.L. Lu, T. Zhou,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hinese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in Chinese Adolescents," Chines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2, No. 2, pp. 240-245,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