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ate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Arts Education Facilities

문화예술교육 시설 변화에 따른 연극 교육프로그램 개발과정 연구

  • Park, Nahyun (Young San University Department of Acting& Performing Art)
  • 박나훈 (영산대학교 연기공연예술학과)
  • Received : 2021.12.20
  • Accepted : 2022.01.19
  • Published : 2022.01.28

Abstract

The rapid change of the culture and art environment is led to new art & cultural education and difference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facilities, away from the traditional closed space culture and art education. Phenomena such as plays out of the theater, exhibitions out of the art museum, and pictures taking a walk indicate tha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facilities can no longer stay in the existing paradigm and are changing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cultural and creative world. Therefore, to develop a site-specific theater education program centered around a specific place rather than a theater or studio,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facilities, this researcher analyzes Brecht's radio play experiment and the recent performative performance experiment. Furthermore, using the regional and community valu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nfirmed as the motive for research on site-specific theater programs, I analyze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process by experimenting with theater programs out of the theaters and studios. As a prior study, research on site-specific performances is being conducted relatively actively, but earlier studies were dealing only with the Ligna group performance cases are lacking. However, I would like to use the previous research on site-specific performance cases as an epistemological background.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the place-specific theater program through a total of 10 learners, a text based on a specific place was created that did not depend on traditional literary texts.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a site-specific theater education program could be confirmed.

급속한 문화예술환경의 변화는 종전의 닫힌 공간의 문화예술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 교육 시설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 극장을 벗어난 연극, 미술관을 벗어난 전시, 산책하는 그림 등의 현상들은 문화예술 교육 시설이 더는 기존의 패러다임에 머무를 수 없으며 문화예술계의 변화와 함께 변모해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 교육 시설의 변화라는 시대적 현상에 맞추어서 극장이나 스튜디오 중심이 아닌 특정한 장소를 중심으로 한 장소 특정적 연극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브레히트의 라디오 연극 실험과 동시대의 수행성 공연 실험 사례를 살핀다. 나아가 사례에서 확인된 문화예술교육의 지역과 공동체적 가치를 장소 특정적 연극 프로그램의 연구 동기로 삼으며 극장과 스튜디오를 벗어난 연극 프로그램을 실험하여 실행과 적용의 과정을 연구한다. 선행연구로서는 장소 특정적 공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리그나그룹의 (Ligna group)공연 사례만을 다룬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만 장소 특정적 공연 사례에 대한 제반 선행연구를 인식론적 배경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서 총 10명의 학습자를 통한 장소 특정적 연극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문학 텍스트에 의존하지 않은 특정한 장소를 기반으로 한 텍스트가 창작되었고 이를 통해 장소 특정적 연극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영산대학교의 학술연구비에 의해서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김형기, 「포스트 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서울: 푸른사상. p.122-125
  2. 롤랑 바르트, 「텍스트의 즐거움」, 김희영 역, 서울: 동문선, 2002.
  3. 이정화,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4.
  4.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즘」 ,조한경 역, 서울:민음사, 2009.
  5. 조중걸, 「키치」,서울:지혜정원, 2014.
  6. 에리카 피셔 리히테「수행성의 미학」,김정숙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7.
  7. 피터브룩 「빈 공간 」,이민아 역, 서울: 걷는 책. 1968.
  8. 고주연, 「연극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장소특정적 공연 분석 : <안산순례길>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9. 박나훈, 「Operaestate 전시 축제 사례를 통해서 본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 트랜스,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vol., no.9, pp. 1-15, 2020.
  10. 백영주,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인문 콘텐츠 학회, 109-136, 2015.
  11. 박미령, 조택연, 「관객 참여형 공연장에 대한 연구 : 장소 특정적 공연을 중심으로」, 기초 조형학연구, Vol.18, No.1,pp.157-172, 2018.
  12. 신혜은, 「그림책 길을 걷다 인문활동 사례분석: 문화역사활동이론 (CHAT)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5권 1호, 1-23. 2020. https://doi.org/10.15815/KJCAES.2020.15.1.1
  13. 이재민, 「라디오 연극: 리그나 그룹의 <라디오발레>를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34집.pp. 131-157. 2016.
  14. 전윤경,「동시대 공연에 나타난 '관객 참여' 방식 연구」, 공연문화연구, 제32집, 2016, pp.651-700, 2016.
  15. 김주희, 「춤의 공공성 논의에 관한 일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77권1호. pp.1-15, 2019.
  16. https://www.youtube.com/watch?v=rpT-wb3TPXk
  17. https://www.youtube.com/watch?v=mqCcFRuwR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