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mplified Analysis of Agricultural Water Network Model Using SWMM - A Case Study of Mandae Reservoir -

SWMM을 활용한 농업용수 네트워크 모형 단순화 분석 - 만대 저수지 사례를 중심으로 -

  • An, Sung-Soo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Gangwon Regional Headquarter, Hongcheon-chuncheon District Office) ;
  • Bang, Na-Kyoung (Department of Convergence System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Seo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Chungnam Regional Headquarter) ;
  • Bang, Sung-Soo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Office of Overseas Project) ;
  • Nam, Won-Ho (School of Social Safety and Systems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Science, National Agricultural Water Research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an-Joong (School of Social Safety and Systems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1.07.13
  • Accepted : 2021.11.17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a water supply network based on the operation case of Mandae Reservoir in Yanggu-gun, Gangwon-do, to analyze the efficien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ter supplied from the reservoir to irrigation areas using the hydraulic analysis model SWMM. In order to construct a model to analyze the water canal network, network conditions needs to be simplified, and in particular, excessive detail or simplification of the irrigation area can lead to errors in the analysis results. Therefore, the effect of the water canal network model was analyzed by simulating the appropriate simplification process step by step. The results of simplifying the actual block shape of the analysis target area using SWMM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even if 7 lots were simplified to 2.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simplified network model were reliable when the excess quantity was 2% or more compared to the required quantity for each case of analysis of the paddy field.

Keywords

Ⅰ. 서론

농업용수의 물관리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용수공급 가능량과 용수 수요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들은 가뭄 및 홍수 등의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특히 봄철 가뭄으로 인하여 관개기 이전에 충분한 용수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농업용수 공급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Nam et al., 2012).

농업용수는 개거 형태의 용수로의 수로조직을 통하여 공급되며 SWMM (Storm Water Mnagement Model) 모형은 도시유역의 우수유출, 하수관망 설계를 목적으로 개발된 모델로서 하수관망은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이고 농업용수의 수로조직은 지면에 설치된 시설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수로조직을 대상으로 모의를 하므로 농업용수 공급의 수리해석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Kim et al., 2016; Jung, 2018; Shin et al., 2020a; Kim et al., 2021).

SWMM 모형은 수로 구조물뿐만 아니라 저류지, 펌프, 오리피스, 위어 등으로 구성된 배수 네트워크를 부정류 흐름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수리해석 모듈에 따라 정밀한 용수공급 모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농업용수 공급 모의에 있어 실제 수로의 조건을 정확히 네트워크로 구축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나치게 단순화된 모형의 결과는 오차가 발생하거나 지나친 상세화로 계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오히려 현장 조건을 반영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 많은 관로를 모형을 구축하여 구동할 경우 모형이 발산하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수로 관망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SWMM을 이용한 단순화 연구로는 복잡한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의 개수 및 분포가 각기 다른 여러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을 일정 기준으로 단순화하고, 2차원 침수분석을 통해 하수관망 규모에 따른 단순화 모형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Lee et al., 2019). 도시 침수 모의를 위해 1D-2D 결합도시침수 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수지상 구조에 구분법에 기반하여 단순화된 하수관망의 도시침수 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Lee et al., 2018). 또한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따라 강우 빈도 증가에 따라 홍수 예측을 위한 네트워크 단순화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유역의 단순화에 따른 효과를 그리드 기반 수문모델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Cao et al., 2019). 많은 관로를 모형으로 구축하여 구동할 경우 모형이 발산하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우수관망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무차별적인 간소화 작업은 결과의 신뢰도를 낮추게 되므로 합리적인 간소화 방안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Shin et al., 2018). 도시유역에 적용되는 설계모형이나 해석모형 모두 해당 유역을 있는 그대로 재현할 수는 없으며 필연적으로 유역 및 관망의 단순화를 실시하여 분석하게 되므로 이들 단순화가 어떠한 영향을 가져올 것인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Jun et al., 1994).

농업용수 네트워크 모형의 단순화를 통해 실제 수로의 흐름을 모의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로 네트워크모형의 단순화 과정을 단계별로 모의함으로써 실제 수로의 흐름을 분석하고 필지와 수로의 단순화가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및 재료

1. 연구 대상지역

연구 대상 지역은 연구목적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도출이 가능하기 위하여 주 수원공이 저수지이며, 보조 수원이 없고 간선 및 지선수로 구성이 단순하고 들녘단위 분석이 가능한 농업용수 공급구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 만대저수지를 선정하였다. 만대지구 일원은 상습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으로서 경지가 대규모로 집단화 되어 있고 소규모인 오유저수지와 계곡수, 관정과 취입보를 이용하여 영농을 하고 있으나 한발시에는 하천수 고갈로 영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 일대에 농업용수, 생활용수, 환경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저수지 1개소를 신규로 설치하고 기존 토공수로를 구조물화 하였다.

만대저수지는 2005년에 준공된 유효저수량 990 천m3의 중규모 저수지로서 유역면적 560 ha, 수혜면적 180 ha (신규 140 ha, 보강⋅보충 40 ha), 유역배율 3.1의 10년 한발빈도 규모로 설계되었다. 만대저수지 평야부는 2개 (오유, 만대)의 간선과 5개 (오유1, 2, 3, 만대1, 2)지선으로서 총 연장 9.4 km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거 및 잠관 등 관수로 (관경 0.8∼1.0 m)는 총 1,690 m (1.8%)이다. Fig. 1은 위성도면을 활용하여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하는 만대저수지와 관개구역을 나타내고 있다.

NGHHCI_2022_v64n1_27_f0001.png 이미지

Fig. 1 Location of mandae reservoir project

2. 농업용수 분배 수리⋅수문 및 SWMM 모형 이론

농업 관개용수 네트워크는 용수로, 배수로, 수로 분기부, 분수문, 물꼬수문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용수로 및 배수로는 개수로 또는 암거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개수로로 되어 있다. 복잡한 용수로 네트워크를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해석이 필요하며, 기존에 널리 사용되었던 정상류 기반의 흐름해석은 분기부에서 용수의 분배를 정확히 모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Kim et al., 2016; Bang, 2019; Shin et al., 2020b).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상류 기반의 수리해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부정류 기반의 용수로 네트워크의 해석을 하고자 수리해석모형 SWMM (Storm Water Mnagement Model)을 도입하였다.

SWMM 모형은 1971년 미국 환경청 (EPA)의 지원 아래 Metcalf and Eddy 사에서 Florida 대학 및 Water Resource Engineer사와 공동연구를 하여 도시유역에서 강우⋅유출 전반의 과정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SWMM은 1971년 발표된 이후 지속적인 개정을 거쳐 1981년에는 수공구조물로 인한 월류, 배수, 압력류 등의 수리학적 계산이 가능한 EXTRAN 블록이 추가되었다. 개정판은 SWMM 5로 미국 환경청 홈페이지에 프로그램과 소스코드 및 사용자 지침서를 제공하는 Open Source 소프트웨어이다. 수로와 관로에 대해 RUNOFF 블록은 비선형저류방정식, TRANSPORT 블록은 Kinematic 방정식, EXTRAN 블록은 Dynamic 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저류추적방법은 수표면이 평행하다고 가정한 수정 Pulse 방법을 사용한다.

SWMM은 도시유역의 홍수유출을 해석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나, 도시유역이 배수관망 네트워크를 모의하는 기능은 관개수로 네트워크를 모의하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Bang et al., 2020; Shin et al., 2021). SWMM 모형의 EXTRAN 블록은 자연하도, 개수로, 관로 등 수로구조물 뿐만 아니라 저류지, 펌프, 오리피스, 위어 등으로 구성된 관개 네트워크를 부정류 흐름으로 해석하는 수리해석 모듈이다. EXTRAN 블록에 관개시스템 내의 수로구조물과 논에서의 물수지 해석모형 추가하여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의 수리해석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EXTRAN 블록에 관개시스템내의 수로구조물과 논에서의 물수지 해석모형 추가하여 순환형 네트워크 모형의 기본 구축에 사용할 수 있다.

SWMM 모형은 주로 도시유역, 인위적 배수계통을 갖는 소유역 등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다. 시간적 모의대상은 단일, 연속강우에 의한 계산이 가능하며, 강우시간간격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연산시간 간격은 강우사상에 대해 임의조절이 가능하다. 공간적 특성으로는 작은 배수유역에서 큰 배수 유역까지 적용이 가능하다. 물리적 특성으로 유출은 강우와 융설로 발생하고, 지표면유출은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사용한다. Fig. 2는 SWMM 모형의 5개 실행블록과 5개의 보조블록을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NGHHCI_2022_v64n1_27_f0002.png 이미지

Fig. 2 Total block diagram of SWMM model

3. 농업용 수로구조에 따른 관망해석 방법

SWMM모형은 도시유역내에서 강우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출량과 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면 및 지표하 흐름, 배수관 망상에서의 유출량추적, 저류량 산정, 오염물질의 처리와 비용계산 등을 모의할 수 있는 종합적인 모형이다. 모델링을 위한 핵심적인 모듈은 Hydraulics 모듈 중 Nodes와 Links 모듈로 이 모듈들은 각각 Junction, Outfall, Dividers, Storage Units와 Conduit, Pumps, Orifices (오리피스), Weirs, Outlets라는 세부 모듈들을 포함한다. Nodes 모듈은 특정지점의 수리구조물들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며 Links 모듈은 특정 지점들 사이를 연결하는 수리구조물들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된다. 용수로 분기점은 Junctions 모듈, 용배수로의 출구는 Outfalls 모듈, 저수지와 논, 양수장은 모두 Storage Units으로 모델링 된다. 용배수로는 SWMM의 Conduits 모듈, 펌프 및 저수지의 물 공급량은 Pumps 모듈, 용수간선 및 지선의 수문은 오리피스 모듈로 모델링 되며, 저수지의 여수토와 논의 배수로는 Weirs모듈로 모델링되었다.

SWMM 모형의 Conduts 모듈에서는 관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수로 흐름과 관수로 흐름을 모두 해석하기 위하여, 개수로 흐름에 대한 지배방정식에 기반한 Preissmann Slot기법을 사용하여 관망을 해석하고 있다. Preissmann Slot 기법은 관로 상단에 얇은 Slot이 존재한다고 가정함으로서 개수로 흐름과 관수로 흐름을 모두 개수로의 지배방정식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관로의 상단에 마찰이 없는 얇은 Slot을 가정하게 되면 관수로의 압력은 Slot의 수위로 해석되어 개수로 흐름과 관수로 흐름을 모두 개수로의 흐름에 따라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WMM의 수리해석모형은 기본적으로 관수로의 흐름을 계산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개수로 흐름 계산에도 충분히 가능하다.

Table 1은 도시유역에서 강우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출량과 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면과 지표하 흐름, 배수관망상에서 유출량 추적, 저류량 산정 등을 모의할 수 있는 종합적인 모형이며, 세부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SWMM model

NGHHCI_2022_v64n1_27_t0001.png 이미지

4. SWMM 모형기반 수로 네트워크 모의

강우사상에 의해 발생하는 유출수량과 배수관망에서의 유출량 추청, 저류량 산정 등을 모의할 수 있으며, 단일 강우현상 및 연속모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최소의 보정으로 비교적 정확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Lee and Choi, 2015). Fig. 3은 위성도면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지구인 만대저수지 위치와 평야부의 용수간선과 용수지선을 포함한 관개구역 현황을 나타낸 것이며, Table 2는 만대저수지의 규모 등 주요 제원을 설명하고 있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Mandae reservoir and irrigation area

NGHHCI_2022_v64n1_27_t0002.png 이미지

NGHHCI_2022_v64n1_27_f0003.png 이미지

Fig. 3 Zone status of analysis target

본 연구에서 사용한 SWMM 모형은 농업용 관개수로의 구성과 형태를 고려하여 개수로와 관수로에서의 흐름해석이 가능하고 평야부 용수공급 시스템을 노드와 링크로 도식화함으로써 농업 관개구역에 필요한 공급량, 관개구간별 부족량과 용수공급, 관개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모형이다 (Kang, 2015; Park, 2017). 모의 시 저수지 공급유량, 초기 담수심, 목표담수심 등의 입력자료가 필요하여 초기담수심은 0 mm로 설정하였으며, 목표담수심은 일반 벼를 대상으로 하는 논의 담수심은 60 mm로 설정하였으며, 관개일수는 과거 급수기록을 반영하여 5월 21일부터 6월 10일까지 총 20일간 급수하는 것으로 모의하였다.

5. 농업용수 급수면적 모형 단순화 방법

수원공인 저수지로부터 평야부 농지로 농업용수를 급수하는 수로를 도식화하여 네트워크 모형을 구축하고 용수공급 현황을 모의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지나치게 모형을 세부화 하면 현장조사와 입력자료 구축에 많은 노력이 들어가고 지나치게 단순화 하면 모의결과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용수로 인근 관개면적을 구축할 때 최대한 간결하게 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지를 면적의 단순화 모의과정과 결과 값을 기초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관개면적 단순화에 대한 분석은 만대간선 수로 시점에서 공급되는 면적을 세분화 단계별로 급수모의를 하였다. 1단계는 현재 상황과 유사한 7개 필지로 구분하고 2단계는 3개 필지, 3단계는 2개 필지, 최종적으로는 1개 필지로 변화시켜 모의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 조건은 용수로길이 간선 (폭 0.7 m, 연장 202 m)과 지선 (폭 0.5 m, 연장 860 m)에서 급수되며, 관개면적은 8.1 ha, Slope는 1/500이다. Fig. 4는 만대지구 모의대상 관개면적 8.1 ha에 대하여 4개의 특성에 따라 용수급수 모의를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NGHHCI_2022_v64n1_27_f0004.png 이미지

Fig. 4 Simplification model of irrigation area

Ⅲ. 연구결과

1. 관망해석을 위한 모형 구축 및 입력자료

네트워크 모형 구축에 입력되는 주요 공간자료는 수로 (선), 분기/합류점 (점), 필지 (점), 유역 또는 필지 블록 (면) 및 구조물 (점 또는 선)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자료들을 공간 자료로 구축한 후 시스템의 모의기능에 필요한 네트워크 데이터로 작성하여 반영하게 된다. 연구 대상지구인 만대저수지는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5년에 준공이 완료되었다. 수혜면적은 180 ha이며, 유역면적은 560 ha이다. 만대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은 990천 m3이다. 만대저수시의 제방은 연장 262 m, 높이 38.15 m로 되어 있다. 만대저수지의 평야부 용수로는 개거형식으로 폭 (B)은 0.5∼1.2 m, 높이 (H)는 0.5∼0.9 m 제원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오유간선 (1,940 m), 만대간선 (2,600 m), 오유 제1용수지선 (1,758 m), 오유 제2용수지선 (1,050), 오유 제3용수지선 (1,144 m), 만대 1&2지선 (884 m)으로 구성되어있다. 총 용수로 연장은 간선 4,540 m, 지선 4,836 m로 운영되고 있다. Fig. 5는 만대저수지와 평야부 용수로의 네트워크를 구축한 모형이다.

NGHHCI_2022_v64n1_27_f0005.png 이미지

Fig. 5 Build of irrigation canal network of mandae reservoir​​​​​​​

2. 농업용수 네트워크 모형 단순화 영향에 대한 분석

농업용수 네트워크 모형의 단순화 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 평야부의 용수공급 구역에 있는 필지는 여러 개의 논두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네트워크 모형의 필지의 단순화를 위한 필지를 단순화하기 위한 정량적인 산출 값을 도출된다는 가정을 설정하였다. 논 필지의 단순화에 대한 영향력을 실시하기 위하여 실험모형을 구축하였다. 모의조건은 용수로 1,200 m, 단면 0.8 m(B) × 0.8 m(H)의 사각수로, 평균 Slpoe 3/1000, 용수량 0.1 m3/s, 공급 기간은 5일로 설정하였다. 각 필지의 거리는 0 km, 1 km, 5 km, 10 km이며 필지를 단순화하여 1개, 2개, 3개, 4개의 요소 모듈을 사용하여 필지를 표현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수위를 모의하였다.

논 필지의 개수에 따른 단순화로 필지 면적은 모든 조건에서 2.4 ha로 동일시하였으며, 오리피스 단면적은 면적의 합을 동일시하기 위하여 필지 개수에 따라 오리피스의 면적을 다르게 반영하였다. 모의 결과는 필지의 시간에 따른 담수심 변화는 모델링 방법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아 필지를 단순화시켜 모델링을 하여도 모의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6은 실험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경사도, 첫 번째 필지의 시간에 따른 유입량 및 담수심 변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NGHHCI_2022_v64n1_27_f0006.png 이미지

Fig. 6 Responsiveness analysis of irrigation canal according to time change in experiment model​​​​​​​

실험모형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물관리가 운영되고 있는 양구 만대 농업용수 지구에 대하여 실증모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분석대상 지역은 만대간선의 첫 번째 관개구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제 7개 필지로 구별되어 있는 8.1 ha 면적을 4단계 조건으로 구별하여 관망해석을 위한 필지별 면적과 고도, 분수공 크기, 필지별 지배 간선수로의 실제연장을 구하였으며, 개수로 시스템 용수분배 입력 자료는 Table 3 개수로 시스템 용수분배 조건별 현황과 같다.

Table 3 Status of open canal system for water distribution​​​​​​​

NGHHCI_2022_v64n1_27_t0003.png 이미지

관개는 이앙기간을 고려하여 20일간으로 정하고 전체면적 8.1 ha의 필요 담수심 0.6 m를 감안하여 총 필요수량은 48,600m3이며, 간선수로는 폭 0.7∼0.5 m을 적용하여 4개의 조건별로 수리해석모형 SWM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의를 진행하였다. 만대 지구 실제 노선과 관개면적을 필지별로 모의 분석한 결과를 보면 수로 길이의 수위변화는 표고에 따라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으며, 필지별 목표수심의 도달과 필요수량 48,600 m3를 저류하는데 소요되는 일수를 보면 7개 필지는 4일, 3개 필지는 5일, 2개 필지는 7일, 1개 필지는 16일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오리피스의 관경과 유속에 의해 차이는 있지만 모의분석을 위하여 논을 2개 필지까지 단순화하는데 차이가 없으나 1개 필지로 단순화하기에는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Fig. 7은 분석 대상 필지 수인 1개, 2개, 3개, 7개를 대상으로 이앙기간의 필지별 목표 담수심에 도달하는 용수 공급량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으며, 경우별로 로그 추세선을 보면 이앙기 종료시점에서 값이 일정하게 수렴되고 있어 로그 추세선을 통해 단순화 분석과정의 최적화 결과를 추정해 볼 수 있다.

NGHHCI_2022_v64n1_27_f0007.png 이미지

Fig. 7 Water volume and log trend line of each field blocks​​​​​​​

Table 4는 만대간선 모의 대상노선의 민감도 비교를 위한 Fig. 8의 (a) Network structure에서 노선별로 첫 번째 필지로 용수가 공급되는 시점부인 C29, C1, C15, C22의 이앙급수 개시일과 종료일의 유속을 분석하였으며, 개시일의 유속은 5.60∼5.85 m/s, 평균유속은 3.20∼3.32 m/s로서 모의를 진행하는데 있어 유속의 흐름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8은 만대간선 모의 대상노선의 민감도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경사도, 첫 번째 필지의 시간에 따른 유입량 및 담수심 변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able 4 Water velocity on start point of canal during transplant period (unit: m/s)​​​​​​​

NGHHCI_2022_v64n1_27_t0004.png 이미지

NGHHCI_2022_v64n1_27_f0008.png 이미지

Fig. 8 Responsiveness analysis of irrigation canal according to time change in conspiration model​​​​​​​

필지별 필요수량 대비 공급수량 백분율을 분석하면 필요수량인 48,600 m3 대비 초과량은 1개 필지는 1%, 2개 필지는 2%, 3개 필지는 4%, 7개 필지는 9%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필요수량 대비 공급량이 2% 이상의 분석자료 결과를 보이는 경우의 논 필지의 단순화 모의는 용수공급 네트워크모형의 구축에 있어 수로 및 필지 단순화가 가능한 유의미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자료 분석 수량의 한계치는 추가적인 사례분석이 필요하다. Table 5는 필지별 단순화에 따른 조건별 필요수량 대비 초과수량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5 Excess water volume of each case for simplification of field block​​​​​​​

NGHHCI_2022_v64n1_27_t0005.png 이미지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취입보 등 수원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분배와 유지관리를 위하여 기존 구축된 용수로와 급수 필지를 네트워크 모형에 구현하고 실제 수로의 흐름과 용수량 분배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용수공급 실험모형과 실제 운영되고 있는 용수로의 네트워크 모형을 구축하여 수리해석모형 분석 프로그램인 SWM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용수로와 필지를 4개의 분석 조건별로 단순화하여 동일한 유량과 관개면적을 공급하는 모형을 해석하였다. 농업용수 효율적 분배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모형의 단순화를 진행하는 실험 모형을 4개의 조건별로 구분하여 구축하고 모의한 결과 분석 대상 필지의 시간별 수위와 저류용량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담수심과 유입량의 변화는 4개 필지를 1개 필지로 단순화 하여도 7시간 이내에 목표치에 도달하여 관개면적을 단순화하여 모델링하여 모의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단순화 실험모형의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양구 만대저수지 관개구역을 대상으로 수로 및 필지 단순화하여 수리해석모형 분석 프로그램인 SWMM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 필지를 2개까지 단순화하여도 분석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논 필지 조건별 필요수량 대비 초과수량이 2% 이상 될 경우가 단순화 네트워크모형 분석의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용수로와 논 필지 단순화에 적용할 수 있는 한계범위를 제시하였다. 다만 다른 유사한 농업용수 관개구역에도 같은 결과가 동일하게 반영되기에는 적용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사례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업기반 및 재해대응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121033-3).

References

  1. Bang, N. K., 201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ield management model for agricultural reservoir. M.S. dis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2. Bang, N. K., W. H. Nam, J. H., Shin, H. J. Kim, K. Kang, S. C. Baek, and K. Y. Lee, 2020. Water balance analysis of pumped-storage reservoir during non-irrigation period for recurrent irrigation wa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2(4): 1-12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4.001.
  3. Cao, X. J., and G. H. Ni, 2019. Effect of storm network simplification on flooding prediction with varying rainfall conditions. IOP Conf.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344: 012093. doi:10.1088/1755-1315/344/1/012093.
  4. Jun, B. H, J. T. Lee, and J. Y. Yoon, 1994. Effect of the simplification and composition in sewer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7(2): 139-146 (in Korean).
  5. Jung, S. J., 2018. An analysis of optimal water supply system for reservoir agricultural water using SWMM model. M.S. diss.,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6. Kang, M. S., 2015. Feasibility study on irrigation system flow analysis through SWMM simulation. Ph.D. diss., Kunkuk University (in Korean).
  7. Kim, H. D., J. T. Kim, W. H. Nam, S. J. Kim, J. Y. Choi, and B. S. Koh, 2016. Irrigation canal network flow analysis by a hydraulic model. Irrigation and Drainage 65: 57-65. doi:10.1002/ird.1992.
  8. Kim, H . Y., W. H . Nam, Y. S. Mun, N. K. Bang, and H. J. Kim, 2021. Estima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 on agricultural watershed in Madun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3(2): 85-96 (in Korean). doi:10.5389/KSAE.2021.63.2.085.
  9. Lee, H. W., and J. H. Choi, 2015.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Shiwha industrial watershed using SWM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Environment Engineering 37(1): 14-22 (in Korean). https://doi.org/10.4491/KSEE.2015.37.1.14
  10. Lee, J. H., S. G. Kang, G. M. Yuk, and Y. I. Moon, 2019. Accuracy evaluation of 2D inundation analysis results of simplified SWMM according to sewer network scale.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8): 531-543 (in Korean). doi:10.3741/JKWRA.2019.52.8.531.
  11. Lee, S. S., K. S. Jung, and Y. S. Kim, 2018. Study on the influence of sewer network simplification on urban inundation modelling results.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1(4): 347-354 (in Korean). doi:10.3741/JKWRA.2018.51.4.347.
  12. Nam, W. H., T. G. Kim, J. Y. Choi, and J. J. Lee,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supply in agricultural reservoir utiliz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37-46 (in Korean). doi:10.5389/KSAE.2012.54.2.037.
  13. Park, J. H., 2017. Development of 4-dimensional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by functional improvement of irrigation facilities. Ph.D. diss., Kunkuk University (in Korean).
  14. Shin, E. T., S. E. Lee, T. S. Eum, and C. G. Song, 2018. Integrated application of stormwater network analysis model and surfacewater inundation analysi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3(5): 78-83 (in Korean). doi:10.14346/JKOSOS.2018.33.5.78.
  15. Shin, J. H., W. H. Nam, N. K. Bang, H. J. Kim, H. U. An, J. W. Do, and K. Y. Lee, 2020a.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and irrigation efficiency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SWM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2(3): 1-13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3.001.
  16. Shin, J. H., W. H. Nam, N. K. Bang, H. J. Kim, H. U. An, and K. Y. Lee, 2020b. Assessment of irrigation efficiency and water supply vulnerability using SWM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2(6): 73-83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6.073.
  17. Shin, J. H., W. H. Nam, H. Y. Kim, Y. S. Mun, N. K. Bang, J. C. Lee, and K. Y. Lee, 2021. Agricultural drought assessment and diagnosis based on spatiotemporal water supply in irrigated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3(4): 1-12 (in Korean). doi:10.5389/KSAE.2021.63.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