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ivation of Ginseng in Baengnyeongdo, the Northernmost Island of the Yellow Sea in South Korea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의 인삼 재배 현황

  • Cho, Dae-Hui (GimpoPaju Ginseng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Ginseng Resources Research Inst., R&D Headquarters, Korean Gindseng Corp)
  • 조대휘 (김포파주인삼농업협동조합, 한국인삼공사 R&D 본부 인삼 자원연구소)
  • Received : 2021.12.27
  • Accepted : 2022.01.12
  • Published : 2022.03.01

Abstract

Baengnyeongdo Island, which belongs to Ongjin-gun, Incheon, is an island in the northernmost part of the West Sea in South Korea. Baengnyeong Island is the 15th largest island in Korea and covers an area of 51 km2. The Korea Ginseng Corporation (KGC)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growing ginseng on Baengnyeong Island in 1996. In 1997, thanks to the support of cultivation costs from Ongjin-gun, the first ginseng seedbed was built on Baengnyeong Island. In 1999, th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to a permanent field under a contract with KGC. In 2003, the first six-year-old ginseng harvest was performed, and KGC purchased all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ntract. Since then, KGC has signed on to grow ginseng until 2012 and purchased six-year-old ginseng until the fall of 2016. Since 2014, the GimpoPaju Ginseng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has signed a ginseng production contract. According to a survey of nine 6-year-old ginseng fields (total 5,961 units) on Baengnyeong Island, the top five with good growth had a survival rate of 42.6 to 68%, and the bottom four with poor growth had an extremely low survival rate of 11.1 to 21.3%. The four fields with low survival rates were where hot peppers were planted before ginseng cultiv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excess nitrogen remaining in the soil due to the treatment of compost or manure during pepper cultivation causes ginseng roots to rot. The average incidence of Alternaria blight was 8.6%. Six six-year-old ginseng gardens were low at 1.1 to 4.7%, while the other three were high at 16.7 to 20.9%.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for the low survival rate and high incidence of Alternaria blight is a rain-leaking shield. Farmers used rain-leaking shields because the precipitation on Baengnyeong Island was smaller than on land. One field showed 3% of leaves with yellowish brown spots, a symptom of physiological disturbance of the leaf, which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excessive presence of iron in the soil.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ginseng on Baengnyeong Isl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itable ginseng cultivation method for the island, such as strengthening the field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a scientific study of soil, using rain-resistant shading, and installing drip irrigation facilities. I hope that ginseng will become a new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Baengnyeong Island, allowing ginseng products and food to thrive in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of the island.

백령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한 대한민국의 서해 최북단의 섬이고 면적은 51km2로 우리나라 섬 중에서 15번째로 크다. 1996년에 당시 한국담배인삼공사와 한국인삼연초연구소가 백령도에서 인삼의 재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1997년에 옹진군의 재배 비용 지원에 힘입어 백령도에서는 최초로 인삼 묘포가 조성되었고, 1999년에 한국담배인삼공사와의 계약에 의해 밭에 묘삼(苗蔘)을 이식하였다. 2003년 본포에서 5년간 재배된 6년생의 첫 수확이 있었고 생산된 전량을 한국인삼공사에서 수매하였다. 이후 한국인삼공사는 2012년까지 2년생 밭을 계약하여 6년생이 된 2016년 가을까지 해당 밭에서 생산된 인삼을 수매하였다. 이후 2014년부터는 김포파주인삼농업협동조합과 계약하여 인삼을 생산하고 있다. 백령도의 6년생 재배 밭 9개소(총 5,961칸)를 조사한 결과 생육이 양호한 상위 5개소는 생존주율(生存株率)이 42.6~68%이고 생육이 부진한 하위 4개소는 생존주율이 11.1~21.3%로 매우 저조하였다. 생존주율이 저조한 4개소는 공통으로 전작물(前作物)이 다비성 작물인 고추였다. 고추재배 시 처리된 퇴비나 거름으로 인하여 토양에 질소 성분이 과잉 남아 인삼 뿌리를 썩게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인삼밭의 평균 잎점무늬병 발병엽율(發病葉率)은 8.6%이었는데, 6년생 6개소는 1.1~4.7%로 발병엽율이 낮았으나 다른 3개소는 16.7~20.9%로 높게 나타났다. 결주(缺株)와 잎점무늬병 발병이 많은 것은 육지보다 적은 강우량 때문에 해가림 피복을 비가 새는 차광망으로 설치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한편, 황갈색 반점형 황증이 3% 발생한 밭이 있었는데 토양 중 철 성분이 과잉으로 존재하여 인삼에 과다하게 흡수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백령도 인삼재배에서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토양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서 과학적 방법으로 예정지 관리를 강화하여야 하며, 비가 새지 않는 차광지로 해가림하고, 점적관수 시설을 설치하는 등 백령도에 적합한 인삼경작법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령도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인삼제품과 음식을 특화하여 인삼이 백령도의 새로운 발전 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2018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농업연구보고 제149호(2019년 9월 발행)
  2. 농촌진흥청 2019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농업연구보고 제151호(2020년 9월 발행)
  3. 농촌진흥청 2020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농업연구보고 제153호(2021년 9월 발행)
  4. 이두영, 바람과 날 것, 그대로의 백령도, 문화재사랑, 2017년 9월 15일 문화재청.
  5. 이성우, 박기춘, 이승호, 장인복, 박경훈, 김미란, 박진면, 김기홍, 산화철과 환원철이 인삼 의 갈반형 황증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2(1) : 32-37(2014). https://doi.org/10.7783/KJMCS.2014.22.1.32
  6. 조대휘, 제6장 인삼의 병해충, 한국 홍삼.인삼 과학기술해설서, pp.399~402 (한국인삼공사 R&D 본부 2014년).
  7. (주) 한국인삼공사, pp.188~190, 한국인삼공사 7년의 선물, 2007년 3월 20일 발행
  8. google earth (https://earth.google.com) 의 백령면 검색 사진
  9. 경상일보, 「백령도 6년근 인삼 수확」, 2003년 11월 11일 자,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508
  10. 기상청, 과거관측, 요소별 자료, https://www.weather.go.kr/w/obs-climate/land/past-obs/obs-by-element.do
  11. 기상청 날씨누리, 한국의 지역별 기상 특성, https://www.weather.go.kr/w/obs-climate/climate/korea-climate/regional-char.do,
  12. 기호일보 「백령도 인삼재배 성공」, 기호일보, 2002년 9월 1일 자, https://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95
  13. 네이버, 백령도 지도검색, https://map.naver.com/v5/?c=13976935.9287996,4568132.1336793,8,0,0,3,dh
  14. 동아일보, 「2027년 비행기 타고 백령도 간다... 백령공항 예타 선정」, 2021년 11월 3일 자,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1103/110062226/1
  15. 문화재청에서 두무진 검색 https://www.cha.go.kr/main.html
  16. 서울경제, 「서해 최북단 백령도 '제2의 제주도'로 키운다.」, 2021년 12월 21일 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22VDO8AJKL
  17.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 고종 원년 8월 1일, <출처: 「우포도청등록」 (右捕盜廳謄錄) 1861년 11월 4일, 「우포도청등록」 (右捕盜廳謄錄) 1861년 11월 15일, 「좌포도청등록」
  18. 유시엔(由志園), https://www.yuushien.com/language/kr.html
  19. 위키백과, 백령도,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B%A0%B9%EB%8F%84
  20. 위키백과, 한국의 섬 목록,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 %EC%9D%98_%EC%84%AC_%EB%AA%A9%EB%A1%9D
  21. 인천광역시에서 백령도(백령면) 소개, https://www.incheon.go.kr/IC040312/1517318
  22. 한겨레신문, 「50인승 소형 백령공항 건설 현실화...예타사업선정돼」, 2021년 11월 3일자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1017794.html
  23.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몽금포타령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