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and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of Universities

대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 공학설계 역량 간의 관계 분석

  • Wee, Seonbouk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hoon (Department of Electrical.Electronic.Communication Engineering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위선복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Received : 2022.09.14
  • Accepted : 2022.10.26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and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and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To collect data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and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by gender,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by major,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case of regression analys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was found in the problem-solving trait domain, and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according to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traits showed that the effective problem solv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김동규 외(2018).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 김민웅 외(2016).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177-195.
  3. 김성민.이경화(2014).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성향과 핵심역량간의 관게. Global Creative Leader, 4(2), 1-19.
  4. 김태훈(2005). 공과대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전략과 자아조절 관련 변인과의 상관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64-83.
  5.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https://doi.org/10.18108/JEER.2015.18.3.24
  6.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7. 김태훈.조한진(2012). 기술적 문제해결에서 MBTI 성격 유형과 팀 상호작용 간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160 -182.
  8. 김태훈.조한진.강문주(2020).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도구 개발. 공학교육연구, 23(1), 37-46. https://doi.org/10.18108/JEER.2020.23.1.37
  9. 김혜영.이숙정.유지현(2016).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수의 문제해결지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51-170.
  10. 김희연.민경석.정지영(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양교육연구, 12(3), 63-87.
  11. 문대영(200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2. 민형덕(2017). 학습자중심 질문수업이 비판적 사고성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13. 박신영 외(2018).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 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21(2), 7-16. https://doi.org/10.18108/JEER.2018.21.2.7
  14. 박지희(2020). 대학생 핵심역량의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성인계속교육연구, 11(4), 75-99.
  15. 배성아.옥승용.노수림(2019). 공과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공학교육연구, 22(3), 32-40. https://doi.org/10.18108/jeer.2019.22.3.32
  16. 신형석.김수혜(2019). 청소년의 ICT 활용이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및 학교 내 ICT 활용자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6(1), 137-160. https://doi.org/10.22804/JKE.2019.46.1.005
  17. 심영기.김태훈(2014). 기술적 문제 해결 팀 활동에서 팀원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상호작용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49-70.
  18. 이동명(2012). 공학설계를 위한 전공연구 교수법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5(3), 72-77. https://doi.org/10.18108/JEER.2012.15.3.72
  19. 이상은 (2019).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9(4), 123-154.
  20. 이창훈(2007).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1. 이한규(2006). 기술적 문제 해결력 평가틀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2. 임미가(2019). 기술적 문제해결을 위한 학습양식의 도출과 검사도구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3. 임윤진(2014).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4. 전명순(2019).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활동연구, 5(4), 91-109. https://doi.org/10.36697/SKYA.2019.5.4.91
  25. 조한진(2013). 공학 교육 전공 대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 간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6. 조한진.김태훈(2012).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 MBTI 성격 유형간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10-129.
  27. 조한진.김태훈(2013). 공학 교육 전공 대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 간의 상관 관계 분석. 공학교육연구, 16(5), 38-44. https://doi.org/10.18108/JEER.2013.16.6.38
  28. 조한진.위선복.김태훈(2020).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도구 규준화 연구. 공학교육연구, 23(3), 66-75. https://doi.org/10.18108/JEER.2020.23.3.66
  29. 주소영.정연재(2020).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 687-708.
  30. 최유현(2003). 기술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난 사고활동의 분석과 그 계발 전략. 인천교대 과학교육논총, 15, 281-318.
  31. 최유현(2005). 기술교과교육학. 서울: 형설출판사.
  32. 최유현(2007). 발명교육 프로그램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및 발명태도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3(3), 271-288. https://doi.org/10.17055/JPAER.2007.13.3.271
  33. Angeles, J. et al.(2011). The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Proceedings of the Canadian Engineering Education Association (CEEA).
  34. Bransford, J. D., & Stein, B. S.(1984). The IDEAL problem solver. SanFrancisco, CA: Freeman.
  35. Burt, K. G.(2005). Analysis of the factors involved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 a collage technology education classroom. Unpublished Doctorial Disse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36. Cross, N.(2004). Engineering design methods: Strategies for product design(3rd ed.). John Wiley & Sons.
  37. D'zurilla, T. J., & Nezu, A. M.(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Psychological Assessment, 2, 156-163. https://doi.org/10.1037/1040-3590.2.2.156
  38. Heppner, P. P.(1988).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PSI) Manual.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
  39. Heppner, P. P., & Baker, C. E.(1997). Applications of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29, 229-241. https://doi.org/10.1080/07481756.1997.12068907
  40. Heppner, P. P. et al.(1982). Personal problem solving: A descriptive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580-590. https://doi.org/10.1037/0022-0167.29.6.580
  41. Heppner, P. P., & Petersen, C. H.(1982). The D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 66-75.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42. Hutchinson, P. A.(1987). Problem-solving in the British Craft. Design and Technology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43. Hutchinson, J., & Karsnitz, J. R.(1994).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Peoria, IL:Delmar.
  44. Knowles, M. S.(1975). Self-directed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Follett Pub. Co.
  45. OECD(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46. Savage, E., & Sterry, L.(1991).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Reston. V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47. Thompson, B, S.(1998). Creative Engineering Design(4th ed.). Okemos Press.
  48. Varnado, T. E.(2005). The effects of a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on FIRST LEGO leagu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style and perfo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nia Tech, Blacksburg, Virginia.
  49. Waetjem, W. B.(1989).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Virgini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50. Wu, T. F., Custer, R. L., & Dyrenfurth, M. J.(1996). Technological and Personal Problem Solving Styles : Is there a Differenc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7(2), 5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