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ngineering Theory Class Applying Review Games

복습게임을 활용한 공학이론 수업의 효과성 분석

  • Kim, Gi Dae (School of Mechanical and Automotive Engineering, Daegu Catholic University) ;
  • Han, Anna (Department of Educ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 김기대 (대구가톨릭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
  • 한안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22.08.05
  • Accepted : 2022.10.09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comprehension in engineering theory classes, a class applying review games as Jinjinga, Bingo, etc. were designed and developed. Through applying them to three engineering theory subj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strategy on students' understanding, interest,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and the usefulness of each review game strategy was analyzed. Analyzing class data over the past 11 years, there was a clear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f the students in the review game and their actual grades, which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negative effect of absence rate on the test performance or grades. This study also researched students' perceptions compared to other general subjects not applying the review games.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review game class showed the usual amount of usual studying hours increased, the burden of examination or the amount of studying hours for preparing the exam was reduced, and the class interest and achiev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other subjects in the same major.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경(2014). 게임화의 학습효과: 상대평가제로 운영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 사례연구.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7(3), 69-95. https://doi.org/10.15702/mall.2014.17.3.68
  2. 김상균(2018). 게이미피케이션 콘텐츠가 과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2(1), 75-84. https://doi.org/10.15737/SSJ.12.1.201802.75
  3. 김창희(2018).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6(1), 15-21. https://doi.org/10.22716/SCKT.2018.6.1.003
  4. 김혜진.봉미미.박성희(2009). 중학교 컴퓨터 수업에서 동료교수 짝짓기 방식이 컴퓨터 활용 자기효능감과 실습성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5(4), 187-212.
  5. 나용수.민혜리(2019). 소그룹 활동을 활용한 학습자중심 교육 사례: '원자핵공학의 미래'교과목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5), 29-36. https://doi.org/10.18108/jeer.2019.22.5.29
  6. 백현덕.박진원(2012). 공학교육에서의 팀성취분담 협동학습 모형(STAD)의 적용과 효과. 공학교육연구, 15(6), 34-42. https://doi.org/10.18108/JEER.2012.15.6.34
  7. 백현덕.박진원(2016). 공학교육에서 평가 횟수 증가와 학업 성취도 향상의 상관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9(6), 57-62. https://doi.org/10.18108/JEER.2016.19.6.57
  8. 송충진(2017).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따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93-120.
  9. 이상수(2003). 웹 기반 학습 환경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개별적 성찰전략과 협력적 성찰전략이 인지구조와 간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4), 55-73.
  10. 이성혜.김은희(2019).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국내 C 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2), 3-15. https://doi.org/10.18108/JEER.2019.22.2.3
  11. 이승희.김동식(2003).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1), 131-159.
  12. 장선영.김혜진(2019). 대학 영문학 토의. 토론학습에서 성찰 유형 집단별 학습 결과 분석과 학습 효과 및 제안사항에 대한 질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601-628.
  13. 정숙희(2014).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학습태도와 학습동기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2(4), 181-206.
  14. 정인숙(2021). 간호대학생의 동료교수활동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127-136.
  15. 정주영.이미화(2021).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몰입 및 수업참여도 분석. 교육혁신연구, 31, 163-187. https://doi.org/10.21024/PNUEDI.31.3.202109.163
  16. 조영.김미라(2021). 미적분학 수업에 그룹게임을 적용한 협동학습사례. 공학교육연구, 24(4), 41-51. https://doi.org/10.18108/JEER.2021.24.4.41
  17. 최경미(2014). 미적분학 복습시험을 포함하는 공업수학 수업 모형 연구. 공학교육연구, 17(2), 3-10. https://doi.org/10.18108/JEER.2014.17.2.3
  18. 한안나(2018).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5), 566-57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566
  19. 허준영.한수민(2016). 공학전공기초실습에 플립러닝 적용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2), 83-89. https://doi.org/10.14702/JPEE.2016.083
  20. Barata, G. et al.(2013). Improv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with gamification. Retrieved July 15, 202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eb.ist.utl.pt/gabriel.barata/wp-content/papercite-data/pdf/barata2013c.pdf
  21. Deterding, S. et al.(2011). From game design elements to gamefulness: Defining gamification. In: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academic MindTrek conference: Envisioning Future Media Environments. 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