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terary Study on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Gongye During Korea's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 ROH, Junia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1.06.30
  • Accepted : 2021.07.29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term gongye (工藝) (nowadays it means craft) during Korea's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examination of pre-modern usage, and the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 for the changes that occurred between the translation from Chinese and from Japanese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port . After the port opened, the meaning of gongye, which once broadly referred to the wide range of work of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was narrowed down to singularly represen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llowing the example of Japan, the first East Asian country to succeed in modernization, this new meaning of gongye was generally used in the context of embracing Western culture and creating industry. As industrialization emerged as a national mission, and new terminology was needed to express these new concepts, the Chinese characters used by the Japanese to translate Western concepts were directly imported and used without making any changes. Gongye was similar in meaning to gongeop (工業) (nowadays it means industry) at the time, and the two terms wer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follow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ultural administration of the Governor-General imbued the term with artistic concepts, and gongye was differentiated from gongeop, As such, examining the establishment of terminology and concepts can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of the Korean crafts scene, which were derived from a period in the past called the modern era.

이 글에서는 근대 전환기 한국에서 '工藝(공예)'라는 용어의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근대이전의 용례는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개항 후 중국과 일본을 통해 번역됐을 때 달라지는 각각의 의미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 외에 『승정원일기』, 『각사등록』 등의 사료와 통감부 문서(1904~1910년), 주한일본공사관 기록(1894~1908년), 1910년 이전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을 대상으로 '공예'라는 용어가 어떻게 쓰였고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공예'의 의미는 개항 이후 각기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종사하는 일·직분이라는 넓은 범위에서 제조업·공업과 같은 산업의 한 분야를 나타내는 범위로 좁혀진다. 새로운 의미로 쓰인 '공예'라는 단어는 동아시아 국가 중에 가장 먼저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을 본받아 서구의 문물을 수용하고 산업을 일으키자는 문맥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개항과 더불어 산업화가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면서 새로운 개념을 표현할 용어가 필요해지자 일본이 서양의 개념을 번역하여 조어한 한자어를 기표 그대로 수입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공예'는 '공업'과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혼용되었다. 그러나 한일합병 후 총독부의 문화정책을 통해 미술로서의 개념이 부여되면서 '공예'는 공업으로부터 분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어와 개념의 성립을 살펴보는 작업은 한국 공예가 안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漢城旬報, 1883.12.29, 「大統領答辭」.
  2. 漢城旬報, 1884.7.3, 「職工學校規則」.
  3. 漢城旬報, 1884.9.10, 「火輪船 速力說」.
  4. 漢城周報, 1886.2.15, 「論學政第三」.
  5. 皇城新聞, 1902.11.28, 「先究安民然後加結無獘(續)」.
  6. 皇城新聞, 1905.6.6, 「勸告學校之設立[四]」.
  7. 皇城新聞, 1909.7.17, 「懽迎張膺震君」.
  8. Document No.115, President Arthur's address to the representatives of Tah-Chosun,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ransmitted to congress, with the annual message of the president, December 4, 1883.
  9. 노유니아, 2020,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 고미술과 미술공예」, 「문화재」 제53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128~141.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3.128
  10. 이한섭, 2009, 「개화기 외교 현장에서의 통역 문제 - 1883년 派美 사절단의 예를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제25호, 한국일본어학회, pp.175~194.
  11. 이한섭, 2012, 「근대어 성립에서 번역어의 역할 - 일본의 사례」, 「새국어생활」 제22권 제1호, 국립국어연구원, pp.32~34.
  12. 마루야마 마사오.가토 슈이치 저, 임성모 역, 2000,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p.225.
  13. 최공호, 2003, 「'工藝' 용어의 근대적 개념 전개」, 「미술사학」 제1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p.133~158.
  14. 최공호, 2011, 「공예(工藝), 모던의 선택과 문명적 성찰 : 용어 사용 이후의 위기와 어젠더」,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22집,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p.29.
  15. 三好信浩, 2013, 「納富介次郎 (佐賀偉人伝)」, 佐賀県立佐賀城本丸歴史館, p.50.
  16. Boyoon Her, 2014,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Gong-ye in the Korean Modern Age', Journal of Design History Vol.27 No.4, Oxford University Press, pp.335~350. https://doi.org/10.1093/jdh/epu034
  17. 국립국어원 표준대국어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18.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https://nl.go.kr/newspaper
  1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20.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
  21.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FINAL VERSION http://www.instrok.org/instrok/resources/DraftandFinalVersion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