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oined in the government-owned handicraft industry during the Joseon Dynasty Job type and role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입사장(入絲匠)의 직무 유형과 역할

  • KIM, Serin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Ewha Womans University)
  • 김세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Received : 2021.03.31
  • Accepted : 2021.05.01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Inlay (入絲), a poetic technique of digging grooves in the surface of crafts and decorating them with metal materials, was used throughout the royal daily routines, ceremonies and government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owned handicraft industry in the Joseon Dynasty was composed of craftsmen belonging 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was operated mainly by government-owned craftsmen. The inlay craftsman was transferred to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nd was in charge of inlay poetry for crafts. The current records of Korean inlay craftsmen are concentrated in the state-owned handicraft industry. In the state-owned handicraft industry, the government offices of inlay craftsmen can be divided into Kongjo (工造), Sangeuiwon (尙衣院), and the military. Here the election of a temporary government office for airspace is added. The government offices and military inlay craftsmen who use inlay crafts are assigned, and the inlay craftsmen are placed separately in the temporary office where the fine division of labor is developed. It can be made by utilizing craftsmen. The operation of these production systems was indispensable in pre-modern Korean society, where crafts had to be produced by han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roles and job types of craftsmen in the state-owned handicraft industr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inlay craftsmen. Although the details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of the field, labor supply and demand, etc. are different, Korea pursued crafts for various purposes through craftsmanship within the framework of the basic state-owned handicraft policy . The institutional equipment for implementation was almost common. We believe that adding and analyzing some literature records and relics will help us to study the crafts of the Joseon era in more detail.

공예품의 표면에 홈을 파고 금속 재료를 감입하는 시문 기법인 입사(入絲)는 조선시대 왕실의 일상 생활용품, 의례품, 관청의 공적 기물에 두루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은 중앙관청에 소속된 경공장(京工匠), 지방의 외공장(外工匠)으로 구성된 관장(官匠)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입사장은 경공장에 편입되어 왕실과 중앙관청의 공예품 입사시문을 담당했다. 현재 전해지는 조선시대 입사장에 대한 기록은 관영수공업에 집중되어 있다. 관영수공업에서의 입사장의 배속 관청은 공조와 상의원, 군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에 앞의 두 소속 장인의 도감 차출이 있다. 입사공예품을 사용하는 관청과 군영에 입사장을 배치하고, 제작 마감 기한이 촉박해 평소보다 세밀한 분업과 협업이 전개되었던 도감에서는 입사장을 입사장, 은입사장으로 나누어 공역에 투입했다. 이를 통해 제작 상황과 보유 기술을 고려해 유동적으로 장인을 배치해 공예품 제작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제작 체제의 운영은 장인의 손기술로 모든 공예품을 제작해야 했던 근대 이전 조선 사회에서는 필수적인 것이었다. 본 논문은 입사장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장인의 역할과 직무 형태를 유형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직능의 특성과 재료, 인력 수급 등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은 다르지만, 조선이 추구했던 기본적인 관영수공업 정책의 틀 안에서 장인의 기술을 통한 다양한 목적의 공예품 구현을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는 거의 공통적이었다. 앞으로 의궤에 기록된 재료와 도구, 소수이지만 문헌에 기록된 관장과 사장의 기록을 더해 기술 문화를 분석한다면 조선시대 공예를 보다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光海君尊崇都監儀軌」
  2. 「經國大典」
  3. 「高麗史」
  4. 「大典續錄」
  5. 「大典通編」
  6. 「大典會通」
  7. 「萬機要覽」
  8. 「三國史記」
  9. 「三峯集」
  10. 「宣祖懿仁王后恭聖王后尊號都監儀軌」
  11. 「昭顯世子嘉禮都監儀軌」
  12. 「昭顯世子禮葬都監都廳儀軌」
  13. 「純祖國葬都監儀軌」
  14. 「承政院日記」
  15. 「御營廳謄錄」
  16. 「御營廳舊式例」
  17. 「六典條例」
  18. 「元史」
  19. 「典錄通考」
  20. 「莊烈王后祔廟都監儀軌」
  21. 「正祖國葬都監儀軌」
  22. 「朝鮮王朝實錄」
  23. 「孝宗加上諡號都監儀軌」
  24. 「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25. 「孝宗世子冊禮都監儀軌」
  26. 「訓局謄錄」
  27. 국립고궁박물관, 2010, 「조선왕실의 어보 2」.
  28. 국립고궁박물관, 2005, 「조선왕실의 가마」.
  29. 김세린, 2017, 「조선시대 입사장의 역할과 작업 범주의 재해석」, 「무형유산」 3, 국립무형유산원, pp.245~271.
  30. 김세린, 2019a, 「고려시대 입사공예품의 장인과 기술」, 「한국중세고고학」 5, 한국중세고고학회, pp.55~59.
  31. 김세린, 2019b, 「조선시대 금속공예 入絲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김문정, 변지선, 2008, 「입사장」, 민속원.
  33. 남경숙, 2005, 「조각장」, 피아.
  34. 이선진, 2013, 「조선 후기 철제 입사 공예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장경희, 1998, 「조선왕조 왕실가례용 공예품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장경희, 1999, 「조선 후기 흉례도감의 장인 연구」, 「미술사논단」 8, 한국미술연구소, pp.181~212.
  37. 장경희, 2013, 「의궤 속 조선의 장인」, 솔과학.
  38. 최공호, 1992, 「조선 초기의 공예정책과 그 이념」, 「미술사학연구」 194.195, 한국미술사학회, pp.77~88.
  39. 최공호, 2018,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미술사논단」 47, 한국미술연구소, pp.115~138.
  40. 최응천, 2016, 「한눈에 보는 입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1.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홈페이지 www.iha.go.kr/service/index.nihc.
  42.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www.gogung.go.kr.
  43.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