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 체계 연구

  • Jang, Youngki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eam)
  • 장영기 (문화재청 문화유산교육팀)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1.02.04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Governance is valued as a new concept and principle of social operation and public policy management, and its influence is gradually expanding. Among the various governance theories being put into practice and in case analysis studies, collaborative governance embracing various governance concepts has been found to increase inter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beyond participation and compromise, and create new public values by integrating and utilizing optimal social coordination forms. In the field of cultural assets, governance-related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for the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scalability of public policy enforc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government's role (promotion, arbitration, and condition creation) i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to understand how collaborative governance operates in the cultural heritage sector. Regarding governance policies in the cultural asset sector, the cultural asset guardians highlighted the status, role, and characteristics of policies by examining their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ivate-led, horizontal public-private cooperation, collaborative governance, policy introduction, solidarity, professionalism, resource/knowledge imbalance, cooperation precedence, etc., facilitate increased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has accordingly proposed measures to establish comprehensive legal stability centered on cooperation; strategic reorganiz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s; strengthened, supportive intermedi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 and multi-party consultative bodies.

사회 운영 및 공공 정책 관리의 새로운 개념과 원리로서 거버넌스가 중시되고 영향력도 점차 강화·확산되고 있다. 다양한 거버넌스 이론과 사례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는 가운데 여러 거버넌스 개념을 포용하면서 참여와 타협을 넘어 상호의존성과 책임감을 높이고 최적화된 사회적 조정 양식을 혼합·활용하여 새로운 공공 가치를 창조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문화재 분야에서도 공공 정책 집행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공공 서비스 확장성을 위해 거버넌스 관련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정부 역할론(촉진·중재·여건조성)에 주목하면서 문화재 분야 협력적 거버넌스의 운영 체계를 파악하고자 '문화재지킴이' 정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문화재 분야 거버넌스 정책의 흐름 속에서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도입과 전개 과정, 운영 방식 등을 통해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위상과 역할, 특징을 조명해보았고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전반적인 참여 주체와 협력 구조, 협력 방식과 상호작용, 정책적 특징의 분석과 함께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파트너십 부문은 안셀·개쉬(Ansell & Gash) 모형의 분석틀로 활용하여 세부적인 협력 체계와 작동 방식을 확인하였다.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특징과 분석 결과를 보면 문화재 분야에서 민간 주도 또는 수평적 민관 협력의 협력적 거버넌스로 본격화된 정책적 대표성을 갖는 점, 민간 모델의 정책 도입과 연대 및 전담 조직과 전문 인력이 주요한 성공 요인으로 작용한 점, 그리고 모형 분석에서는 자원·지식의 불균형과 협력 선례 등이 참여 유인 증가의 배경이 되고 다자간 협력 지향의 개방성과 포괄성, 전담 조직의 공공 리더형 리더십과 참여기관의 오너십 확장, 협력 과정의 순서 재배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정책 운영의 환경과 조직, 협력 방식에서 한계를 가져 협력 중심의 포괄적인 법률적 안정성 구축, 전담 조직의 전략적 개편, 중간 지원 조직의 역량 강화와 지원, 분야별로 개별적·다자간 협의체 운영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배.정준호, 2016, 다중흐름모형(MSF)을 활용한 문화재 환수과정 분석 - 북관대첩비 환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0권 1호 .
  2. 강임산, 2009, 문화유산의 가치와 기업의 참여: 1문화재 1지킴이 운동 기업 참여 사례,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pp.19-23.
  3. 고재욱.신기원.황인옥.최승완, 2017, 자원봉사론, 동문사.
  4. 국토통일원, 1973, 문화재 보호와 민족 주체성 확립, 국토통일, pp.162-163.
  5. 관계 부처 합동, 2018a, 자원봉사활동 진흥을 위한 제3차 국가기본계획(2018-2022).
  6. 관계 부처 합동, 2018b, 정부 혁신 종합추진계획.
  7. 김민주.윤성식, 2016, 문화정책과 경영, 박영사.
  8. 김행선, 2012,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과 문화통제, pp.110-112.
  9. 문화공보부, 1972, 문화재 보호와 우리의 자세 .
  10. 문화공보부, 1974, 문예진흥 제1차년도 사업추진 중간실적, 문예진흥 1권 6호, pp.20-21.
  11. 문화재청, 2001, 문화재연감 2001, pp.576-578.
  12. 문화재청, 2002, 문화재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기본계획, pp.81-82.
  13. 문화재청, 2003, 문화재연감 2003, pp.623-624.
  14. 문화재청, 2005, 문화재연감 2005, pp.275-278.
  15. 문화재청, 2006, 문화재연감 2006, p.249.
  16. 문화재청, 2007, 문화재 보존을 위한 민간참여 운동의 현황과 과제(국제심포지엄).
  17. 문화재청, 2011, 문화재청 50년사 (본사 편), p.49.
  18. 문화재청, 2017, 2017 문화재지킴이 사업 모니터링 보고서, p.171.
  19. 문화재청, 2018, 문화재보호 거버넌스 활성화 협력체계 구축 연구, pp.139-144.
  20. 문화재청, 2019a, 문화유산 미래 정책 비전.
  21. 문화재청, 2019b, 2019년 문화재지킴이 지원사업 모니터링.
  22. 문화재청, 2019c, 2019년도 문화재청 정책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p.103.
  23. 박광무, 2010, 한국문화정책론, 김영사, p.149.
  24. 배봉준.윤영채.한치흠, 2019, 협력 거버넌스 : 이론과 실제, 대영문화사.
  25. 삼성경제연구소, 2016, 한국의 제3섹터, pp.93-99.
  26. 손오달, 2017, 문화재 보존과 활용을 위한 민간참여 확대방안 연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7. 오유림, 2019, 문화재 환수.반환 활성화를 위한 뉴 거버넌스 구축 연구 : 궁내청 소장 도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윤은기, 2016, 재난과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 문화재 방재를 중심으로, 문화재방재학회 논문집 Vol.1 No.1, 문화재방재학회.
  29. 은재호.오수길, 2009,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대영문화사, pp.19-23.
  30. 이명석, 2017, 거버넌스 신드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31. 이여경.심경미.차주영, 2018, 지역의 공유 가치 창출을 위한 기업 사회공헌 활동과 공공사업 연계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pp.161-162.
  32. 이현경.손오달.이나연, 2019, 문화재에서 문화유산으로: 한국의 문화재 개념 및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비판, 문화정책논총 제33집 3호, pp.19-21.
  33. 이희정.최성은, 2015, 역사문화환경 정비에서의 갈등 해소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0권 3호.
  34. 인사혁신처, 잃어버린 국외문화재를 되찾는 다자간 민관협력, 2018 적극행정 우수사례집, pp.91-97.
  35. 장영기, 2017, 기업 사회공헌, 문화재와의 만남, 역사문화.
  36. 전국경제인연합회, 2011, 전경련 50년사, pp.812-817.
  37. 전국경제인연합회, 2016, 2016년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38. 정무성, 2016, 기업 사회공헌과 NPO 중간지원조직, 자원봉사의 NEW 패러다임, 지문당, pp.275-290.
  39. 정길영.정요한, 2017, 자원봉사론, 동문사.
  40. 조일형, 2017, 문화재 재난관리를 위한 협력의 영향요인 분석, 문화재방재학회 논문집 Vol.2 No.2, 문화재방재학회.
  41. 주성수, 2018, 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 한양대학교출판부.
  4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문화기본법 제정안 연구, pp.49-57.
  43. 한국메세나협회, 2014, 경제와 예술, 20년지기 스토리, pp.20-57.
  44. 한승준, 2013,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운영 및 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논총, 서울여자대학교.
  45. 한창묵, 2017, 국내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8-69.
  46. 행정안전부, 2017, 2017 자원봉사활동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p.18.
  47. 행정안전부, 2019, 자원봉사 민관협력체계 개편을 위한 방안 연구, pp.46-50.
  48. Ansell Chris and Gash Alison, 2007,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
  49. Helen Sulivan and Chris Skelcher, 2002, Working Across Boundaries: Collaboration in Public Services, New York: Palgrave.
  50. Stephen Goldsmith and William D. Eggers, 2005, Governig by Network: The New Shape of Public Sector, Brookings Institut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