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s in the change of household labor in the middle-aged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

  • Lee, Hyun Ah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이현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Received : 2020.12.04
  • Accepted : 2021.01.29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in household labor among middle-aged generations who are facing dynamic changes in the middle of their life cycle.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study that examines and analyzes related data. Specifically, it aims to analyz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generations and trends in household labor, which are revealed through Time Use Survey, market trend reports, newspaper articles, and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housework is an unpaid activity performed by and for family members, and is an activity that can be replaced by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from the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e rapid growth of the home appliance market that replaces housework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industrialization, and how the change of technology affected the efficiency of housework. In additi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generations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family structure, form, and family value.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housework and changing trends of middle-aged generation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generation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edict future market trend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ies that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gener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 한 가운데에서 역동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고 적응해나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목한 중년세대는 코호트별로 베이비붐세대나 X세대를 포함하고, 연령별로는 40-50대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기본적으로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통해 가사노동시간의 추이를 분석하고, 각종 시장조사자료, 연구보고서, 신문기사 검색을 통해 가사노동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가사노동이란 가족원에 의해 가족원을 위해 수행되는 무보수의 활동으로 시장에서 재화나 용역을 구입함으로써 대체될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는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급속하게 성장한 가전시장과 가사대체 상품 및 서비스가 가사노동 효율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세대와 다른 특징을 가진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트렌드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시장동향을 예측하고 중년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옥.김정숙(2009).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5:3, 17-39.
  2. 구혜령.이기영(2000). 상품특성에 대한 태도와 가사노동 상품대체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39-51
  3. 권정윤.김난도(2019). 소비자학 분야에서의 세대의 개념, 범주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30(5), 77-99.
  4. 김난도.권혜진.김희정 (2008). 트렌드코리아 2009, 서울: 미래의창.
  5. 김난도.전미영.최지혜.이향은.이준영.김서영.이수진.서유현.권정윤(2019). 트렌드코리아 2020. 서울 : 미래의창.
  6. 김난도.전미영.최지혜.이향은.이준영.이수진.서유현.권정윤.한다혜(2020). 트렌드코리아 2021. 서울 : 미래의창.
  7. 김덕호(2020). 세탁기의 배신, 서울 : 뿌리와 이파리.
  8. 김문기(2014). 디자인기획과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김문태(2019). 가사노동 효율화와 산업의 변화.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금융포커스, 9(21), 4-7.
  10. 김선우(2013). 한국, 미국, 스웨덴의 소비문화 비교-성별,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4(3), 183-210.
  11. 김성희(1996). 가정기기 도입에 따른 가사노동의 변화 - 현대과학기술에 의해 생산된 가정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성희(2002). 한국여성의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의 역사. 서울 : 신정.
  13. 김애순 역(1998).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Daniel J. Levinson(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서울 : 세종연구원.
  14. 김우성.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15. 김정은.구혜경(2017). X 세대 기혼여성소비자의 생애사적 관점에서의 소비생활 탐색. 소비문화연구, 20(4), 19-49.
  16. 김종근(2014). 대한민국 사회문화 트렌드 분석. 문화산업 연구, 14(1), 45-56.
  17.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9). 2019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보고서. 농림축산식품부.
  18. 뉴스1(2020.10.13.). 코로나로 가족관계 나빠져, 경제적 어려움 자녀돌봄부담이유 http://jeju.news1.kr/news/articleView.html?idxno=51059
  19. 동아일보(2016.11.30). 4050은 자기관리 '뉴노멀 중년'.. 30대는 여행즐기는 '얼리 힐링'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61129/81589032/1
  20. 디지털데일리(2020.10.16.). '가시비(價時比)'가 뭐지?...여가 시간 찾아주는 생활가전 '인기' http://m.ddaily.co.kr/m/m_article/?no=203268
  21. 디지털타임스(2021.1.14.). [CES 2021] '코로나 뉴노멀' 홈라이프 초점... 소비자 건강.위생 맞춤 관리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11502100232781001
  22. 매일경제(2015.1.8.) 다시 돌아온 X세대...우리 40대가 달라졌어요.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5/01/24173/
  23. 매일경제(2019.12.16.). "나를 위해선 아낌없이 쓴다"...올해 '미코노미' 열풍 https://www.mk.co.kr/news/home/view/2019/12/1053256/
  24. 문숙재(1988). 가정생산-가사노동의 생산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 서울 : 신광출판사.
  25. 문숙재.정지영(1991). 가사노동 서비스 영역의 사회화와 그 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9(3), 131-152.
  26. 문숙재.홍성희(1989).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가사노동 사회화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6(3), 153-169.
  27. 박준형.류법모.오효정(2018) 시계열 기반 국내 기록관리학 토픽 트렌드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1), 2018, 29-47.
  28. 사이언스올(2010.6.28.). 기술공학분야 20세기 이후 10대 사건 4: 가사노동을 줄여준 해결사, 가전기기, https://www.scienceall.com/가사노동을줄여준해결사가전기기
  29. 산업통상자원부(2017.7.28). 젊은 40대, '나는 영포티일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cardnewsView.do?newsId=148840347
  30. 삼성경제연구소(2011). 뉴시니어세대의 3대 키워드, SERI 경영 노트 96호.
  31. 서울경제(2020.3.22.). 올 HMR시장 키워드는 '가시비(價時比)' https://www.sedaily.com/NewsVIew/1Z0AQWFLEU
  32. 안옥희(1993). 도시주부의 성역할 태도와 가정관리에 대한 가치의식이 가사노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1(4):1-23.
  33.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2018). 가정 간편식(HMR) U&A 관련 조사. 마크로밀엠브레인.
  34.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2020). 2020 가사노동 및 가사 대행 서비스 관련 인식조사. 마크로밀엠브레인.
  35. 연합뉴스(2020.5.21.). 코로나19에 맞벌이부부 가사육아 시간 약2배로 증가 https://www.yna.co.kr/view/AKR20200521124400009?input=1195m
  36. 연합인포맥스(2021.1.15.). 집콕시대 가전호황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27461
  37. 이기영(1987). 가사노동의 상품대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기영.구혜령(1999). 가사노동의 사회화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17(1), 167-178.
  39. 이기영.김외숙(200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방송대출판부.
  40. 이기춘.이은영.이기영.황인경.김민자.김영옥(1989). 산업사회의 소비자행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2), 115-132.
  41. 이미숙(1991). 가사노동 사회화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승신.김기옥.김경자.심영.정순희(2003). 가계경제분석, 서울 : 신정.
  43. 이은희.김경자.이성림.유현정.차경욱.이영애.이준영(2015).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2), 197-227. https://doi.org/10.15790/cope.2015.11.2.197
  44. 장은령(2000).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에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정성지(2013). 중년 여성 소비자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가 의복 만족도와 의복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1), 84-94. https://doi.org/10.5805/SFTI.2013.15.1.084
  46. 조선비즈(2021.1.11.) 코로나로 온라인 가공식품 구매 3배 증가_주로 간편식 구입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11/2021011102348.html?utm_source=urlcopy&utm_medium=share&utm_campaign=biz
  47. 조희금.김선미.이승미.성미애.진미정.이현아(2014). 중년기 기혼남녀의 100세 사회 가족생활 전망과 가족정책에의 함의점. 가정과삶의질연구, 32(1), 151-166.
  48. 중앙일보(2010.4.12.). 나는 없고 가족만 있는 베이비붐세대. https://news.joins.com/article/4105825
  49. 중앙일보(2020.5.20.). 코로나로 판 키운 가정간편식...이번엔 '국.탕.찌개 전쟁' https://news.joins.com/article/23781551
  50. 진미정.성미애.손서희.유재언.이재림.장영은(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3), 447-461. https://doi.org/10.6115/fer.2020.032
  51. 차승은(2007). 생활시간자료를 통해 본 중년의 일상유형: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과 시간압박. 한국인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135-154.
  52. 차승은(2015).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시간압박감과 관련요인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5), 37-53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37
  53. 통계청a(2010.4.12.).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통계청 보도자료.
  54. 통계청b(2010.5.7.).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통계청 보도자료
  55. 통계청(2017.4.25.). 세상과 통하다 "지금은 아재시다, 대세는 영포티(Young Forty)" https://blog.naver.com/hi_nso/220991681211
  56. 통계청(2019). 가계생산 위성계정 1999-2014. 통계청.
  57. 통계청(202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통계청.
  58. 포춘코리아(2020.5.27.). CJ제일제당 "HMR, 코로나19 영향으로 성장에 날개"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80
  59. 한국경제(2020.01.16.). 설 연휴, 2030은 여행, 4050은 가사 노동 줄여주는 상품관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1161258Y
  60. 한국일보(2016.1.8.) 한국사회 변화의 열쇠 '영포티(Young Forty)' 입력 2016.01.08. 04:4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1080484706045
  61.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5-29.
  62. 현대카드.현대캐피탈 뉴스룸(2019.11.20.). 집안일을 아웃소싱하다: 현대카드 결제데이터로 본 가사서비스의 사회학 https://newsroom.hcs.com/front/board/%EC%A7%91%EC%95%88%EC%9D%BC%EC%9D%84-%EC%95%84%EC%9B%83%EC%86%8C%EC%8B%B1%ED%95%98%EB%8B%A4
  63. eMFORCE(2019). 간편식 시장 트렌드 리포트. eMFORCE 데이터랩.
  64. Reid, M.(1934). Economics of Household Produc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65.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75(299),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