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및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 박선숙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20.10.03
  • 심사 : 2020.11.23
  • 발행 : 2021.02.28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노인의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노인 6,2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사회활동이 유의하게 상승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활동이 늘어나면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셋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넷째, 노인의 연령규범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노인의 연령규범,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령규범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죽음준비를 하지 않는 노인이 죽음준비를 한 노인에 비해 그 영향력이 유의한 차이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or 6,288 people over 65 years old, plus their spouses and children, taken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e study found, first, that the more positive the age norms to which the older person subscribes, the more their social activities increase. Second, as these social activities increa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increases. Third, the more positive the age norms to which the older person subscribes, the mor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s.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norms of the older person and life satisfaction.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at specifically impacts the age norm-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plans to improv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are recommen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종필.윤지영(2017). 다층모형을 활용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89-98. https://doi.org/10.14400/JDC.2017.15.5.89
  2. 구혜경(2016). 우리나라 노인 정책 방향 제언을 위한 탐색적 연구: 노인 연령 규범과 희망활동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4), 101-110. https://doi.org/10.14400/JDC.2016.14.4.101
  3. 권육상(2000). 노인생활건강. 유풍출판사.
  4.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5. 길태영(2019). 한국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74(2), 193-218.
  6. 김대경.이현심(2018). 노인의 심리사회적 지지, 죽음준비도,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1), 433-441.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433
  7. 김미순.하춘광.김효순(2011). 내세관과 죽음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1), 111-136.
  8. 김미혜.정진경(2003).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4, 221-243.
  9. 김새봄.최송식.송영지(2019). 재난피해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74(2), 9-34.
  10. 김수연.원영신.김진원(2019). 노인의 운동실천이 연령 규범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2(2), 1-19.
  11. 김진숙.여익구.박희숙.김미숙(2018). 노인교육론. 공동체.
  12. 김향.윤주영(2017). 지역사회 노인의 죽음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가정간호학회, 24(3), 264-274. https://doi.org/10.22705/JKASHCN.2017.24.3.264
  13. 남기민.박현주(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0(49), 405-428.
  14. 모선희, 김형수, 유성호, 윤경아(2005). 현대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15. 문남숙.남기민(2008).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4), 1227-1248.
  16. 문정화.강민아(2017). 노인의 종사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 건강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정책, 44(1), 79-103.
  17. 박금화.최영희.남철현(2008). 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건강 만족도와 관련 영향요인.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2(3), 157-173.
  18. 박주영(2008). 죽음준비가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지은(2009).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정서 인지 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회복지실천, 8, 79-109.
  20. 신승배.박지연(2015).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아시아여성연구 54(2), 7-46.
  21. 오경환(2007).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서울시 마포구를 사례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오미나(2003).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오윤정.권윤희(2012). 일부 농촌 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37(3), 145-155.
  24. 오진탁(2004).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청림출판.
  25. 유영미.김성희(2019).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지지와 친구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1-16.
  26. 유희옥(2004). 중.노년기의 죽음 불안태도.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금룡(2001).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한국성인교육학회, 5(2), 1-22.
  28. 이금룡(2005). 한국사회이 노년기 연령규범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1), 143-159.
  29. 이승수(2010). 노인의 정치참여의식 및 이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영순(2010). 노인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준상.김향아(2017).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7-36.
  32. 전명진.문성원(2016).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노인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8(2), 153-172.
  33. 정경희.오영희.강은나.김경래.이윤경.오미애.김세진.이선희.이석구.홍송이(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정미경(2018). 일 농촌지역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간호학회지, 13(1), 3-19. https://doi.org/10.22715/KARHA.2018.13.1.003
  35. 정세희.문영규(2014).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4(4), 59-79.
  36. 정순돌.이미우.정세미(2017).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 조사연구, 18(3), 47-76.
  37. 정순둘.김수현.구미정(2014).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한국인구학, 37(1), 131-153.
  38. 조계화.김영경(2008).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176-187.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176
  39. 조희금(2019). 농촌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41-59.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2.003
  40. 최명숙(2018). 한국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참여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춘계학술대회, 36-42.
  41.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논총, 49, 233-258.
  42. 최성재.장인협(2009).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43. 최아름.정홍주(2013).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비교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3, 189-217.
  44. 한지나(2015). 노인의 연령정체성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5), 33-42. https://doi.org/10.14367/kjhep.2015.32.5.33
  45. 한지나(2017). 나이 듦에 대한 태도와 연령정체성이 노년기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2(3), 47-69.
  46. Atchley, R. C. (2001).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9th ed.). New York: Wads worth.
  47. Barbara S. L. (1996). Organizational Age Norms: Why Is It So Hard To Know One When You See One?. The Gerontologist, 36(2), 209-220. https://doi.org/10.1093/geront/36.2.209
  48. Barry, L. C, Kasl, S. V & Prigerson, H. G. (2002). Psychiatric disorders among bereaved persons: The role of perceived circumstances of death and preparedness for death.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0(4), 447-57. https://doi.org/10.1097/00019442-200207000-00011
  49. Berg, A. I. (2008). Life satisfaction in late life: Makers and predictors of level and change among 80+ year ol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othenburg, 2008.
  50. Bowling, A. (1990).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very elderly people living in a deprived part of inner Lond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1, 1003-1011. https://doi.org/10.1016/0277-9536(90)90112-6
  51. Chung, SD. & Jung, Y. (2013). "Age Norms for Older Adults among Koreans: Percep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Ageing and Society, 1-21.
  52. Esser, I. (2005). Continued Work or Retirement? Preferred Exit-age in Western European Countries. Arbetsrapport. Institutet for Framtidsstudier 9. Stockholm: Institute for Future Studies.
  53. Gilligan, T. D., & Huebner, S. (2007).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Adolescent Version.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2(1), 1-16. https://doi.org/10.1007/s11482-007-9026-2
  54. Harris, D. K. (2005). Age norms. Encyclopedia of Ageism, 14-15.
  55. Hauksdottir, A., Valdimarsdottir U., Furst, C. J., Onelov E. & Steineck, G. (2010). Health care-related predictors of husbands' preparedness for the death of a wife to cancer-a population-based follow-up. Annals of Oncology, 21(2), 354-361. https://doi.org/10.1093/annonc/mdp313
  56. Havighurst, R. (1968).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NY: David McCay Co. Inc.
  57. Hebert, R. D., Prigerson, C., Schulz, R., & Arnold, R. (2006). Preparing care givers for the death of a loved on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9(5), 1164-1171. https://doi.org/10.1089/jpm.2006.9.1164
  58. Hebert, R. S., Schulz, R., Copeland, V. C. & Arnold, R. M. (2009). Preparing family caregivers for death and bereavement. Insights from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patients. Journal Pain Symptom Manage, 37, 3-12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7.12.010
  59. Hooyman N., & Kiyak, A. (1999). Social gerontology: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Boston: Allyn and Bacon.
  60. Karpinska, K., KHenkens, K. & Schippers, J. (2013). Retention of Older Workers: Impact of Managers' Age Norms and Stereotyp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9(6), 1323-1335. https://doi.org/10.1093/esr/jct017
  61. Kubler-Ross, E. (1970).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62. Kyuers, J. A., & Bengston, V. L. (1973). Social breakdown and competence. Human Development, 16, 181-201. https://doi.org/10.1159/000271275
  63. Levy, B. R. (2003). Mind matters: Cognitive and physical effects of aging self-stereotype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8B(4), 203-211.
  64. Levy, B. R., Slade, M. D., & Kasl, S. V. (2002). Longitudinal benefit of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on functional health. Journal of Gerontology:Psychological Sciences, 57B(5), 409-417.
  65. Meier, E. A., Gallegos, J. V., Montross-Thomas, L. P., Depp, C. A., Irwin, S. A., & Jeste, D. V. (2016). Defining a Good Death (Successful Dying): Literature Review and a Call for Research and Public Dialogue. Journal of Geriatr Psychiatry, 24(4), 261-271. https://doi.org/10.1016/j.jagp.2016.01.135
  66. Moen, P., S. Sweet, & R. Swisher. (2005). "Embedded Career Clocks: The Case of Retirement Planning." In Macmillan. R(ed). The Structure of the Life Course: Standardized? Individualized? Differentiated? Amsterdam: Elsevier.
  67. Nelson, T. D., (2005), "Ageism: Prejudice against our feared future self". Journal of Social Issues, 61(2): 207-221. https://doi.org/10.1111/j.1540-4560.2005.00402.x
  68.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69. Neugarten, B., J. Moore, & J. Lowe. (1965). Age Norms, Age Constraints, and Adult Soci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6), 710-717. https://doi.org/10.1086/223965
  70. Parons, D. & Mayne, L. (2001). Ageism and work in the EU: A comparative review of corporate innovation and practice. In I. Golver & M. Branine (Eds.). Ageism in work and employment, Burlington: Ashgate, 237-254.
  71. Posthuma, R. A & Campion, M. A. (2009). Ag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Common Stereotypes, Moderato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Management, 35(1), 158-165. https://doi.org/10.1177/0149206308318617
  72. Riley, M. W., Johnson, J., & Foner A. (1972), A Sociology of Age stratification, Aging and Society 3. NY Russell Sage Foundation.
  73. Spuling, S. M., Miche, M., Wurm, S., & Wahl, H. (2013). Exploring the causal interplay of subjective age and health dimensions in the second half of life:A corss-lagged panel analysis. Zeitschrift fur Gesundheitspsychologie, 21, 5-15. https://doi.org/10.1026/0943-8149/a000084
  74. Van Solinge, H. & Henkens, K. (2007). Involuntary retirement: the role of restrictive circumstances, timing, and social embeddednes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 295-303.
  75. Weiss, E. M. & Maurer, T. J. (2004). Age Discrimination in Personnel Decisions: A Reexamina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4(8), 1551-1562.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4.tb02786.x
  76. Wurm, S., Tomasik, M. J., & Tesch-Romer, C. (2008). Serious health events and their impact on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The role of age and a positive view on ageing. European Journal of Ageing, 5, 117-127. https://doi.org/10.1007/s10433-008-00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