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rriage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of Unmarried Workers

부모의 지원과 조직문화, 결혼지원정책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Hwang, In J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 황인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 Received : 2020.09.20
  • Accepted : 2020.12.07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arental, workplace, and policy variables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of unmarried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to come up with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hese workers' intention of marriage.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rom 480 participant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measuring tools in this study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technical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8.0. Results : First, unmarried workers' willingness to marry was higher above the averag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married workers' intention of marriage were revealed based on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total assets, and debt status.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also found with parents' economic levels and the possibility of parental support for housing and marriage expenses. The differences in response based on employment patterns, job satisfaction,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were also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policy variables and marriage intentions also showed the necessity of a funded housing policy and a marriage preparation policy. Third, based o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personal, parental, and workplace variable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unmarried workers' willingness to marry, it is clear that gender, age, and the likelihood of parental support for housing and marriage expenses have a significant impact.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nded housing policy were also significant contributors. Conclusion : The study found that the funded housing polic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unmarried office workers' willingness to marry. Additionally, the possibility of parental support for housing and marriage expenses and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t work were found t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unmarried workers' willingness to marry.

본 연구는 미혼직장인의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결혼의향을 상승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속변수인 결혼의향은 결혼의향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경제자원은 월평균소득과 자산총액을 측정하였고, 부모의 지원은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 도구를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만족도는 김혜영, 선보영과 김상돈(2010)의 근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족친화조직문화는 Tomson, Beauvais & Lyness(1999)의 도구 중 방묘진(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결혼지원정책필요성은 김혜영 외(2010)의 도구에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을 추가로 구성해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적절성 확인을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총 480부 자료를 IBM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직장인 결혼의향의 유의미한 차이는 성별, 연령, 교육기간, 자산총액, 부채유무로 나타났고, 부모경제수준과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도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와 직무만족도, 가족친화조직문화에 따른 결혼 의향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정책 관련 변인에 따른 결혼의향 차이는 자금주택정책필요성과 결혼준비정책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연령,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이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가족친화조직문화와 자금주택정책필요성도 유의미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자금주택정책필요성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모의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과 직장의 가족친화조직문화도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 향상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2. 고용노동부(2019). 배우자출산휴가급여 시행지침, 개정법률설명 자료.
  3. 권소영.강시은.엄세원.박지수.이재림(2017). 청년 남녀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세대관계 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4), 3-25. https://doi.org/10.21321/jfr.21.4.3
  4. 권중돈.김동배(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학지사.
  5. 김근주(2018). 근로시간법제의 현황과 과제. 월간노동리뷰, 159, 9-21.
  6. 김기연.신수진.최혜경(2003).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87-99.
  7. 김명희(2017). 일본과 싱가포르의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법과 한국에의 시사점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1), 553-561.
  8. 김문길.김태완.임완섭.정은희.김재호.안주영.김성아.이주미.정희성.최준영(2017).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 분석과 정책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보고서, 2(8), 285-301.
  9. 김성준(2015).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 노동경제논집, 38(4), 57-81.
  10.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 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11. 김영란.장혜경.이윤석(2018).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16.
  12. 김예리(2008).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관련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석(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14. 김중백(2013).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社會科學硏究, 39(1), 167-189.
  15.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35. https://doi.org/10.22862/KJSR.2011.12.2.001
  16. 김혜영.선보영.김상돈(2010).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 2010(18), 1-277.
  17. 박주희(2016). 가족가치관과 사회적 지지자원에 대한 기대가 남녀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96-207.
  18. 박주희(2017). 취업미혼남녀의 결혼지원정책 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및 수도권 결혼적령기 취업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1-15.
  19. 박지수.이재림(2016).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청년의 결혼 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16(10), 262-263.
  20. 박혜민(2017).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혜민.전귀연(2018). 미혼남녀의 정서적.당위적.기능적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4), 53-80. https://doi.org/10.21321/jfr.22.4.53
  22. 방묘진(2004).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직장-가정갈등과 직장 및 가정생활에 미치는 경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보건복지부(2019).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8.
  24. 서정연(2018). 미혼남녀의 결혼의지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논총, 69, 371-393.
  25. 어성연.조희금.고선강(2010). 전문직 미혼 남녀의 만혼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1-19.
  26. 왕석순.전주람.류경희(2015). 30-40대 싱글여성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 분석. 인구교육의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7(2), 35-51.
  27. 원아름(2015).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원아름.박정윤(2016).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가 결혼 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4(1), 145-166.
  29. 유계숙(2008). 가족친화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36.
  30. 유계숙.최연실.성미애 편역(2003).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Pauline G. Boss, William J. Doherty, Ralph LaRossa, alter R. Schumm, Suzanne K. Steinmetz. 서울 : 도서출판 하우.
  31. 윤소영(2013).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한 가족경영학의 실천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8-30.
  32. 은기수(1999).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생애사건연쇄분석. 한국인구학, 22(2), 47-71.
  33.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34.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 간 자원이전 :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137
  35. 이은혜(2015).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한 직업능력개발정책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정은(2017).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이지나.황명진(2018). 미혼남녀의 결혼에 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논총, 71, 117-151.
  38. 임선영.박주희(2014).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39. 임소진.어성연(2011).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29-147.
  40.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 3 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
  41. 정기선 (2009).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통계청. 통계개발원(편). 한국의 사회동향, 48-54.
  42. 정영금(2008).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일-가정 균형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14.
  43. 조진영(2016). 30대 미혼성인의 가족주의 가치관, 부모관계 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3(1), 59-86.
  44. 조희금(2003). 가족자원경영 측면에서 본 건강가정육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3-56.
  45. 주휘정.김민석(2018). 청년층의 결혼 이행 여부에 대한 경제적 배경 요인의 영향.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8(2), 59-88.
  46. 진달래(2013).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관한 연구: 직장의 가족친화제도와 결혼장려관련정책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진달래.고선강(2013).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관한 연구: -직장의 가족친화제도와 결혼장려 관련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59.
  48. 최필선.민인식(2015). 청년층의 취업과 임금이 결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 이산시간 해저드 모형의 응용. 한국인구학, 38(2), 57-83.
  49. 탁현우(2017). 저출산 대책-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지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2017 학술발표논문, 2,013-2,036.
  50. 통계청(2019). 한국의 사회지표 2018.
  51. 통계청(2019). 혼인.이혼 통계 2018.
  52. 한국노동연구원(2018). 2016년 OECD 회원국의 취업자.임금근로자 연간근로시간. http://stats.oecd.org.
  5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54. 한영선(2015). 미혼 취업여성의 일자리 특성과 부모의 경제적 자원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5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96-215.
  55. 허창덕(2012).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재활복지, 16(2), 57-80.
  56. 홍성희(2019). 여성베이비부머의 결혼기 자녀에 대한 자원 이전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61-78.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2.004
  57. 홍성희(2020). 20-30대 남녀의 결혼제도 인식과 결혼의향. 한국가족자원영학회지, 24(1), 1-19.
  58. 홍은영(2011). 미혼성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0. Bronfenbrenner .U.(1995).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S nature and design.
  61. Thompson, C. A., Beauvais, L. L, & Lyness, K. S. (1999).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3), 392-415. https://doi.org/10.1006/jvbe.1998.1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