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남식.신은주.성정현(2002). 여성조건부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9, 23-50.
- 강수운(2017).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강수운.이동훈(2019).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3), 749-777. DOI : 10.23844/kjcp.2019.08.31.3.749.
- 경승구.이용갑(2018). 단기.장기 자활사업 참가자의 취.창업 의지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6), 679-690. DOI : 10.5392/JKCA.2018.18.06.679.
- 고영희(2014). 빈곤아동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민숙.윤영석.김근식(2012).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6(3), 435-454. DOI : 10.18398/kjlgas.2012.26.3.435.
- 권용신(2009). 자활서비스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교성.강철희(2003).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2, 5-32.
- 김남영(2003). 가족지지가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간호와 질병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도희(2008). 결혼이민 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미숙.이창식(2012). 시설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자립 의지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2), 636-641. https://doi.org/10.5762/KAIS.2012.13.2.636
- 김미옥(2001). 장애아동 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 9-40.
- 김부강(2013). 저소득여성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선경(2012). 저소득 자활참여 여성의 우울감과 자활 의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세원(2005). 자활사업 대상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승의(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 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용석.이재완.한영미.김묘정.정한샘.최현정.이석호(2015).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지간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7(1), 143-163. DOI : 10.20970/kasw.2015.67.1.006.
- 김정희(2019).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4), 57-73. DOI : 10.22626/jkfrma.2019.23.4.004.
- 나구원(2011). 자활사업 프로그램 유형이 참여자의 자활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노희경(2004). 자활사업 참여자의 근로의욕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민효숙(2006). 유방암 환자를 위한 단계적 가족참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경숙.박능후(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 조사 및 자활 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 박명혜(2009). 부부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서윤(2013). 다문화가정의 가족탄력성과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 남성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선영(2013). 저소득층의 긍정적 정서 및 우울감과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 및 조절 역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0, 189-214. DOI : 10.16975/kjfsw.2013.40.007.
- 박영란.강철희(199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91-116.
- 박정애(2015).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지현(2009).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현미.장석진(2013).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 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1), 1-21. DOI : 10.21479/kaft.2013.21.1.1.
- 변규란.이정은.최수찬(2007). 모자보호시설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공식.비공식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 139-166. DOI : 10.16975/kjfsw.2007.21.005.
- 보건복지부(2012). 2012년 자활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2021). 2021년 자활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 성미애.진미정.장영은.손서희(2020). 코로나19에 따른 1인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3-20.
- 성예현(2013). 빈곤여성가장의 자립의지 영향 요인.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인한.박장호.김리자(2012).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차이: 남성과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7(3), 457-474. DOI : 10.18205/kpa.2012.17.3.008.
- 엄태영.김동기.허미경(2008).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지지가 여성자활근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전지역가사.간병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 1-24.
- 우준희(2010). 근로연계복지로서 한국 자활지원사업의 한계와 가능성. 대한정치학회보, 17(3), 19-48.
- 이래혁.김승아.노혜진(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사회 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자활후원 기관협회 자활사업논문 공모전 자료집, 6-39.
- 이상록(2003).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21, 105-136.
- 이상미(2009). 정신지체아동 아버지의 가족탄력성과 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석환.장소현.최동국.이용갑(2014). 건강인식 기준 자활사업 참여자 집단들의 자활의지 영향 요인 비교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133-156.
- 이성휘.박정윤.김양희.장영은.어성연(2009). 빈곤 가정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305-316.
- 이인수(2004).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정신장애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21-239.
- 이진석(2017). 긍정적 가족관계가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4, 195-217. DOI : 10.17997/SWRY.54.1.8.
- 이희윤(2011).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스트레스 인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희윤.박정윤.조유현(2013). 가족탄력성이 가족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39-56.
- 임성철.이채원(20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1형 당뇨 청소년의 질병관리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32, 235-260. DOI : 10.16975/kjfsw.2011.32.008.
- 장덕희.김정은(2017).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8(2), 295-312. DOI : 10.22143/HSS21.8.2.16.
- 장용언(2015).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2(3), 127-156.
- 장용언.서정열.황현주(2014).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도시연구, 15(1), 149-162.
- 정원오.김진구(2005).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8, 35-67.
- 지이레(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진로결정 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별.이성규(2019). 사회적지지와 노숙인의 자활의지간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사회사업, 47(1), 119-146. DOI : 10.24301/MHSW.2019.03.47.1.119.
- 최은숙.이태연(2015). 시설청소년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7), 445-468.
- 최은주(2007). 빈곤 여성가구주의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종희(2010). 사회적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하춘광.석희정(2015).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63-80.
- 한국자활복지개발원 누리집(2021). https://www.kdissw.or.kr/menu.es?mid=a10601070000.
- 한상진.김용식(2007). 사회적 배제과정과 자활의 측면들: 울산동구 빈곤층의 생애과정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7(1), 139-172. https://doi.org/10.22914/JLP.2007.7.1.005
- 홍은숙(2018). 가족탄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3(2), 1-22. DOI : 10.15861/kjse.2018.53.2.1.
- 황보람.이진열.김영진.최은미(2015).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희망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정책, 42(1), 265-292. DOI : 10.15855/swp.2015.42.1.265.
- Amy, L. E.(2000). Situational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cessful transitions from welfare to work.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 : 10.1037/0022-3514.51.6.1173.
- Epstein, N. B. Baldwin, L. M. & Bishop, D. S.(1983).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2), 171-180. DOI : 10.1111/j.1752-0606.1983.tb01497.x.
- Gay, S. & E. Borus.(1980). Validating performance indications for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15(1), 29-48. DOI : 10.2307/145345.
- Hamberg, D. A.(1967). A perspective on coping behavior. Seek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in major transi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7(3), 277-284. DOI : 10.11621/pir.2013.0311
- Hawkins, R. L.(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 leave welfare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Ph. D. Dissertation. Brandeis University.
- Hawley, D. & DeHaan, L.(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es, 35, 283-298. DOI : 10.1111/j.1545-5300.1996.00283.x.
- Masten, A. S.(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DOI : 10.1037/0003-066x.56.3.227.
- McCubbin, H. I., Thompson, E. A., Thompson A. I. & Futrell J. A.(1999). The dynamics of resilient famil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Inc.
- Mossholder, Kevin W.(1980). Effects of externally mediated goal setting on intrinsic motivation: A laboratory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5(2).
- Valentine, L. & Feinauer, L. L.(1993).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female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1(3), 216-224. DOI : 10.1080/01926189308250920.
-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 Wilson, William J.(1987). The truly disadvantag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DOI : 10.1207/s15327752jpa52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