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on the Will to Be Self-Suffici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김정희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J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Joong-Ang Sangha University)
  • 투고 : 2021.06.13
  • 심사 : 2021.07.09
  • 발행 : 2021.08.31

초록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강원도 소재 지역자활센터에 참여하고 있는 20~70대 283명이다. 통계분석은 IBM SPSS18을 통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Baron & Kenny(1986)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수들과의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자활의지는 돌봄가족, 가구소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탄력성은 연령대, 결혼상태, 건강상태, 가구유형, 돌봄가족, 주택소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지지는 연령대, 결혼상태, 건강상태, 가구유형, 돌봄가족, 부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돌봄가족이 있을수록, 가족탄력성과 가족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자활의지 수준이 높았다. 셋째,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가족탄력성과 자활의지 관계에서 가족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대안으로 가족탄력성과 가족지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family resilience of participants in self-sufficiency programs relates to their willingness to be self-sufficient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3 people in their 20s to 70s who are participating in a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in Gangwon-do.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18, with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and regression, and mediating effects analyzed following Baron & Kenny(198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conducted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and major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to be self-sufficient in terms of the caregiving family and household income. Family resilienc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group, marital status, health condition, household type, caregiving family, and homeownership, while family support differed significantly in age group, marital status, health condition, household type, caregiving family, and debt. Second,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 of self-sufficiency of those participating 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and found that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 the presence of caregiving famili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level of will to be self-sufficient. Third,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 following Baron & Kenny(1986) have shown that family support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the will to be self-sufficient. Thus, we have verified that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as an alternative to improving the level of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남식.신은주.성정현(2002). 여성조건부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9, 23-50.
  2. 강수운(2017).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강수운.이동훈(2019).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3), 749-777. DOI : 10.23844/kjcp.2019.08.31.3.749.
  4. 경승구.이용갑(2018). 단기.장기 자활사업 참가자의 취.창업 의지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6), 679-690. DOI : 10.5392/JKCA.2018.18.06.679.
  5. 고영희(2014). 빈곤아동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권민숙.윤영석.김근식(2012).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6(3), 435-454. DOI : 10.18398/kjlgas.2012.26.3.435.
  7. 권용신(2009). 자활서비스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교성.강철희(2003).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2, 5-32.
  9. 김남영(2003). 가족지지가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간호와 질병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도희(2008). 결혼이민 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미숙.이창식(2012). 시설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자립 의지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2), 636-641. https://doi.org/10.5762/KAIS.2012.13.2.636
  12. 김미옥(2001). 장애아동 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 9-40.
  13. 김부강(2013). 저소득여성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선경(2012). 저소득 자활참여 여성의 우울감과 자활 의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세원(2005). 자활사업 대상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승의(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 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김용석.이재완.한영미.김묘정.정한샘.최현정.이석호(2015).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지간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7(1), 143-163. DOI : 10.20970/kasw.2015.67.1.006.
  18. 김정희(2019).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4), 57-73. DOI : 10.22626/jkfrma.2019.23.4.004.
  19. 나구원(2011). 자활사업 프로그램 유형이 참여자의 자활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노희경(2004). 자활사업 참여자의 근로의욕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민효숙(2006). 유방암 환자를 위한 단계적 가족참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박경숙.박능후(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 조사 및 자활 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23. 박명혜(2009). 부부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서윤(2013). 다문화가정의 가족탄력성과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 남성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박선영(2013). 저소득층의 긍정적 정서 및 우울감과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 및 조절 역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0, 189-214. DOI : 10.16975/kjfsw.2013.40.007.
  26. 박영란.강철희(199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91-116.
  27. 박정애(2015).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박지현(2009).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박현미.장석진(2013).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 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1), 1-21. DOI : 10.21479/kaft.2013.21.1.1.
  31. 변규란.이정은.최수찬(2007). 모자보호시설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공식.비공식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 139-166. DOI : 10.16975/kjfsw.2007.21.005.
  32. 보건복지부(2012). 2012년 자활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33. 보건복지부(2021). 2021년 자활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34. 성미애.진미정.장영은.손서희(2020). 코로나19에 따른 1인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3-20.
  35. 성예현(2013). 빈곤여성가장의 자립의지 영향 요인.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송인한.박장호.김리자(2012).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차이: 남성과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7(3), 457-474. DOI : 10.18205/kpa.2012.17.3.008.
  37. 엄태영.김동기.허미경(2008).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지지가 여성자활근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전지역가사.간병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 1-24.
  38. 우준희(2010). 근로연계복지로서 한국 자활지원사업의 한계와 가능성. 대한정치학회보, 17(3), 19-48.
  39. 이래혁.김승아.노혜진(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사회 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자활후원 기관협회 자활사업논문 공모전 자료집, 6-39.
  40. 이상록(2003).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21, 105-136.
  41. 이상미(2009). 정신지체아동 아버지의 가족탄력성과 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석환.장소현.최동국.이용갑(2014). 건강인식 기준 자활사업 참여자 집단들의 자활의지 영향 요인 비교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133-156.
  43. 이성휘.박정윤.김양희.장영은.어성연(2009). 빈곤 가정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305-316.
  44. 이인수(2004).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정신장애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21-239.
  45. 이진석(2017). 긍정적 가족관계가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4, 195-217. DOI : 10.17997/SWRY.54.1.8.
  46. 이희윤(2011).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스트레스 인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희윤.박정윤.조유현(2013). 가족탄력성이 가족스트레스 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39-56.
  48. 임성철.이채원(20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1형 당뇨 청소년의 질병관리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32, 235-260. DOI : 10.16975/kjfsw.2011.32.008.
  49. 장덕희.김정은(2017).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8(2), 295-312. DOI : 10.22143/HSS21.8.2.16.
  50. 장용언(2015).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2(3), 127-156.
  51. 장용언.서정열.황현주(2014).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도시연구, 15(1), 149-162.
  52. 정원오.김진구(2005).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8, 35-67.
  53. 지이레(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진로결정 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최별.이성규(2019). 사회적지지와 노숙인의 자활의지간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사회사업, 47(1), 119-146. DOI : 10.24301/MHSW.2019.03.47.1.119.
  55. 최은숙.이태연(2015). 시설청소년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7), 445-468.
  56. 최은주(2007). 빈곤 여성가구주의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최종희(2010). 사회적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하춘광.석희정(2015).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63-80.
  59. 한국자활복지개발원 누리집(2021). https://www.kdissw.or.kr/menu.es?mid=a10601070000.
  60. 한상진.김용식(2007). 사회적 배제과정과 자활의 측면들: 울산동구 빈곤층의 생애과정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7(1), 139-172. https://doi.org/10.22914/JLP.2007.7.1.005
  61. 홍은숙(2018). 가족탄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3(2), 1-22. DOI : 10.15861/kjse.2018.53.2.1.
  62. 황보람.이진열.김영진.최은미(2015).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희망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정책, 42(1), 265-292. DOI : 10.15855/swp.2015.42.1.265.
  63. Amy, L. E.(2000). Situational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cessful transitions from welfare to work.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64.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 : 10.1037/0022-3514.51.6.1173.
  65. Epstein, N. B. Baldwin, L. M. & Bishop, D. S.(1983).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2), 171-180. DOI : 10.1111/j.1752-0606.1983.tb01497.x.
  66. Gay, S. & E. Borus.(1980). Validating performance indications for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15(1), 29-48. DOI : 10.2307/145345.
  67. Hamberg, D. A.(1967). A perspective on coping behavior. Seek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in major transi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7(3), 277-284. DOI : 10.11621/pir.2013.0311
  68. Hawkins, R. L.(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 leave welfare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Ph. D. Dissertation. Brandeis University.
  69. Hawley, D. & DeHaan, L.(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es, 35, 283-298. DOI : 10.1111/j.1545-5300.1996.00283.x.
  70. Masten, A. S.(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DOI : 10.1037/0003-066x.56.3.227.
  71. McCubbin, H. I., Thompson, E. A., Thompson A. I. & Futrell J. A.(1999). The dynamics of resilient famil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Inc.
  72. Mossholder, Kevin W.(1980). Effects of externally mediated goal setting on intrinsic motivation: A laboratory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5(2).
  73. Valentine, L. & Feinauer, L. L.(1993).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female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1(3), 216-224. DOI : 10.1080/01926189308250920.
  74.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75. Wilson, William J.(1987). The truly disadvantag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6.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DOI : 10.1207/s15327752jpa52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