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Partisan Voters Dispense Reward and Punishment for Government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Partisan Blame Attribution on Trust in Government

당파적 유권자는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해 어떻게 문책하는가?: 정부의 국정 운영 평가와 정부 신뢰, 그리고 당파적 책임 귀속

  • 성예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
  • 길정아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 Received : 2021.02.24
  • Accepted : 2021.04.11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Voters' negative evaluations of government performance lower their trust in government, which functions as the reward and punishment for the government. Trust in government thus serves to promote political accountability of the representative government. However, voters build their confidence toward the party government where the ruling party is responsible for the performance. Considering this partisan nature, we empirically examine that the influence of voters' performance evaluations on governmental trust is conditional on their party identifications. While higher perceptions of political/social conflict and increasing negative evaluations of government policies and economic performance are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the relationship is contrasted between different party identifiers. For supporters of the ruling party in 2020, the negative evaluations of government performance are not likely to reduce trust in government a lot. On the contrary, those who identify with the main opposition party show the most prominent effect of negative evaluations on their dis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ust in government is affected by voters' partisan preferences, not entirely by evaluations of government performance. Such a distortion of the reward and sanction function of governmental trust might lead to the weakening of the accountability mechanism in representative democracy.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한 유권자들의 부정적인 평가는 정부 신뢰를 낮춤으로써, 이들이 정부에 대해 문책을 하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정부 신뢰는 대의 정부의 정치적 책임성을 제고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국정 운영의 주체가 실질적으로 정당 정부라는 점, 따라서 정부 신뢰가 담고 있는 당파적 속성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유권자들의 국정 운영 평가가 정부 신뢰를 낮추는 영향력이 정당일체감에 의해 차별적으로 나타날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응답자가 인식하는 정치/사회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정부 정책 평가가 부정적일수록, 경제 상황 평가가 부정적일수록 정부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는 가운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에게서는 이러한 영향력이 미미하였으나,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 지지자들에게서는 그 영향력이 가장 명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에 대한 유권자들의 신뢰와 불신의 대립이 정부의 국정 수행에 대한 평가보다 오히려 유권자들의 정치적 선호에 근거하여 발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정부 신뢰가 가지는 문책의 기능이 왜곡됨으로써 정부가 정치적 책임성을 제고할 유인이 약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3A2075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