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Record Production System for Dataset : Focused on Case Study of KR Asset management system

데이터세트 생산시스템 기능요건 연구 KR 재산관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 류한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백영미 (국가철도공단 기록물관리) ;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1.09.26
  • Accepted : 2021.10.20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records produced by various systems designed for work are difficult to manage on a case-by-case basis, requiring separate procedures to identify and evaluate data-sets. Identified data set records are apprasal and transferred to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r disposed of. In this process, sufficient records management elements must be reflected in the production system itself in order to adhere to the principles of record management. In this paper,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production system to accurately identify and safely manage data-sets were derived and applied based on the case of the KR property management system.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on functional requirements of production systems will be added to lead to the creation of standards for functional requirements of data set production systems.

업무를 위해서 설계된 다양한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행정정보데이터 세트 기록은 건 단위로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로 데이터세트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식별된 데이터세트기록은 평가를 거쳐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하거나 폐기 등의 처분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록관리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생산시스템 자체에 충분한 기록관리요소가 반영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세트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생산시스템의 기능요건을 도출하고 KR 재산관리시스템의 사례를 토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생산시스템 기능요건의 연구가 더해져 데이터세트 생산시스템의 기능요건 표준의 도출까지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20a). 2020년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체계 구축 최종보고서.
  2. 국가기록원 (2020b).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 매뉴얼(기록관리 지침).
  3. 국가기술표준원 (2010). KS X ISO16175-3 : 문헌정보 - 전자사무환경에서 기록에 대한 원리 및 기능요건 - 제3부: 업무시스템의 기록관리지침 및 기능요건.
  4. 국가기술표준원 (2020). KS X ISO15489-1 : 문헌정보-기록관리-제1부: 개념과 원칙.
  5. 김형주, 김수현 (2017). 기록관리 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의 정부산하공공기관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2), 35-56.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2.035
  6. 류한조 (2012).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능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79-94.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1.079
  7. 설문원 (2019). 기록이란 무엇인가? : 활동의 고정적 재현물로서의 개념 탐구. 「기록학연구」. 59, 5-46.
  8. 설문원 (2020). 디지털 전환 시대의 공공기록정책: 기록자산으로서의 정보의 관리. 「기록학연구」. 63, 5-36. https://doi.org/10.20923/kjas.2020.63.005
  9. 오세라, 이해영 (201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2), 51-76.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051
  10. 오진관 (2019). 기록관리시스템 설계모형과 기능요건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왕호성, 설문원 (2017).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3-47.
  12. 이규철 (2016).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이해와 고려사항. 「2016년 기록관리 표준.거버넌스 포럼 자료집」
  13. 임진희 (2008).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의 실무적 해석, 「기록학연구」. 18, 139-178. https://doi.org/10.20923/kjas.2008.18.139
  14. 전보배, 설문원 (2019). 기록 평가에 관한 국제표준의 적용방안 분석: ISO 15489-1과 ISO/TR 21946을 중심으로. 「기록관리학회지」. 19(4). 115-137.
  15. 최기쁨, 이젬마, 오효정 (2021). 전자기록의 증거적 가치 수립을 위한 기능요건에 관한 연구: 미국 eDiscovery 적용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8(2), 201-22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201
  16. 행정안전부 (2019). 공공기관 데이터 자원 보존 개선방안 연구 : 최종보고서.
  17. DLM Forum (2011). MoReq2010(Modular Requirements for Records Systems Volume1 Core Service & Plug-in Modules Version1.1)
  18. ISO (2018). ISO/TR 21946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Appraisal for managing records
  19. NAK 6:2021(v1.4).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20. NAK 7:2021(v1.4).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