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Learning Competency Scales : Focused on CTL Learning Program

대학 교수학습센터(CTL) 학습지원프로그램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 A대학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1.11.18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learning competency scales customized for learning programs conducted by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at A University. To achieve this purpose, a preliminary study was set up, which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basic competency, intensity competency, application competency) and 13 learning competency factor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visional learning competency scal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university students in September 2020,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organiz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3 learning competency was reduced to 10 as the three competency groups were maintain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was found to be good,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firmed learning competency factors, all 10 factors showed a good level of .7 or more. The learning competency scal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new programs of CTL learning program.

본 연구는 A대학 교수학습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에서 수행하고 있는 학습지원프로그램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3개 역량군(기초역량, 심화역량, 활용역량)과 13개 학습역량 요인으로 구성된 잠정적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설정하였다. 잠정적 학습역량 진단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020년 9월에 A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정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본역량, 심화 역량, 활용역량 3개 역량군은 유지되면서 13개 학습역량이 10개로 축소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CTL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도구 10개 영역, 44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학습역량 요인의 신뢰도(Cronbach' α)를 분석한 결과, 10개 요인 모두 .7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습역량 진단도구는 CTL 학습지원프로그램의 성과평가와 신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원빈, 최화숙(2019). 대학생용 학습역량 진단도구 (H-LCT)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호), 907-930.
  2. 양정모(2019). 비교과 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3(4), 71-93.
  3. 엄미리, 최원주, 송윤희(2018). 역량 인식을 통한 대학생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탐색.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175-181.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175
  4. 최완수, 김주환, 이상호(2018). 체육교육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2), 115-127.
  5. 김미진, 최규혁, 여현진(2015). 영상콘텐츠 분야 대학교육 을 위한 역량평가모형의 개발과 검증.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3), 11-18.
  6. 손은령, 김연중(2010). 대학생용 학습행동 검사도구 개발. 상담학연구, 11(2), 873-890. https://doi.org/10.15703/KJC.11.2.201006.873
  7. 변영계, 강태용, 조현준(2004). Web 을 활용한 대학생 들의 학습기술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42, 107-136.
  8.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9. 양흥권(2015). 학업성취 우수 대학생의 학습 역량 사례연구. 교육문화연구, 21(1), 103-140.
  10. 신혜성(2018). 학습역량 강화 비교과교육 참여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정서, 학습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배을규, 홍경진, 이민영(2017). 대학 교수학습 센터(CTL)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경력몰입의 관계 에서 경력관리행동의 매개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 15(1), 141-166.
  12. Colby, R. L.(2017). Competency-based education: A new architecture for K-12 schooling.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13. 양흥권(2016). 대학생용 학습역량 검사도구 개발 연구. 평생교육.HRD연구, 12(1), 29-64.
  14. 김소영(2019).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9(5), 109-129. https://doi.org/10.34226/gcl.2019.9.5.109
  15. 김은영, 방상옥(2020). 대학생 학습역량 검사 도구 개발 연구. 교육문화연구, 26(3), 437-460. https://doi.org/10.24159/JOEC.2020.26.3.437
  16. 김미성, 송윤숙, 박윤경(2019).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역량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9(1), 83-100. https://doi.org/10.34226/gcl.2019.9.1.83
  17. Hartig, J., Klieme, E., & Leutner, D. (Eds.). (2008). Assessment of competencies in educational contexts. Hogrefe Publishing.
  18. 김지숙(2016). 대학생의 학습역량 진단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7(2), 97-125
  19. 김계수(2007). Amos 7.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