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Lifestyle Redesig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대학생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 개발

  • Lee, Chun-Yeop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Park, Young-Ju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gang University)
  • 이춘엽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영주 (동강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1.09.23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lifestyle redesig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college students. For program development, the Delphi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with 8 exper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lifestyle and time use, the first Delphi survey investigated the prioritization of occupations through evaluation instruments, lifestyle types, and living time survey tables. In the second Delphi survey, i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and when the content validity ratio was low, it was reconstruct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In the third Delphi survey,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the secondary content, the experts' own responses from the second time and the second average score with other experts were presented together. As a result of this study, a program with an average score of 3.88~4.00, a content validity ratio of 1.00, and a convergence of 0.00 was finally derived. In the lifestyle redesig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first step of the pre-intervention evaluation is to identify the lifestyle type, apply evaluation tools, and select occupations. In the second step, the lifestyle is redesigned by the intervention execution, and the facilitator intervenes to help college students do well their tasks.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encouraging them to practice, checking the lifestyle type change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in step 3, applying evaluation instruments after the intervention, and ending the program in the last step. This study provided a rationale for using lifestyle redesign program as an intervention to change their occupational performance patterns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life they wan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방법을 시행하였다. 라이프스타일 및 시간 사용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평가도구, 라이프스타일 유형 파악, 생활시간조사표를 통한 활동의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하였고, 내용타당도 지수가 낮은 경우에는 수정 및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2차 내용의 틀을 유지하면서 전문가 자신의 2차 때 응답과 다른 전문가와의 2차 평균 점수를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평균이 3.88~4.00점, 내용타당도 지수가 모두 1.00, 수렴도가 모두 0.00인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대학생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은 1단계 중재 전 평가로 라이프스타일 유형 파악과 범용 평가도구의 적용, 활동을 선택을 하고, 2단계는 중재실행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재설계하며 진행자가 개입하여 대학생들이 잘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3단계는 중재결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변화를 확인하며 중재 후 범용 평가도구를 적용하고, 마지막 4단계는 프로그램을 종결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는 대학생들 자신이 원하는 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그들의 수행패턴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중재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를 활용하도록 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연진, 심의경(2016). 전문대학생의 시간관리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2(2): 213-230.
  2. 최지혜(2016). 시간관리, 열의, 행복 간 구조적 관계. 교육문제연구, 29(1): 1-19.
  3. Matuska, K., & Christiansen, C.(2009). Life Balance. NJ: Slack.
  4. Farnworth, L.(2003). Pediatric issues in occupational therapy: A compendium of leading scholarship. Baltimore: AOTA Press.
  5. 김형민, 전병진(2019).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뇌졸중 노인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9(3): 21-30. https://doi.org/10.18598/kcbot.2019.9.3.03
  6. Anaby, D.R., Backman, C.L., & Jarus, T.(2010).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wo approache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7(5): 280-288. https://doi.org/10.2182/cjot.2010.77.5.4
  7. 원경아, 신윤찬, 박상미, 한아름, 박지혁(2019).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재활치료과학, 8(2): 7-30. https://doi.org/10.22683/TSNR.2019.8.2.007
  8. 고영준, 서진교(2009). 노인 생활체육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만족도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 641-651.
  9. 김외숙, 박은정(2015). 대학생의 시간전망이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141-161.
  10. Clark, F.A.(2015). Lifestyle redesign: The intervention tested in the USC well elderly studies (2nd edition). Bethesda, MD: AOTA Press.
  11. 김형민, 이재신, 전병진(2014).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1): 1-14.
  12. Serena, S.W. N., Dora, Y.L.C., Marko, K.L.C., & Kathy, K.Y.C.(2013). Long-term efficacy of occupational lifestyle redesign programme for strokes.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3: 46-53. https://doi.org/10.1016/j.hkjot.2013.09.001
  13. Clark, F., Jackson, J., Carlson, M., Chou, C.P., Cherry, B.J., Jordan-Marsh, M., Knight, B.G., Mandel, D., Blanchard, J., Granger, D.A., Wilcox, R.R., Lai, M.Y., White, B., Hay, J., Lam, C., Marterella, A., Azen, S.P.(2012).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independently living older people: Results of the well elderly 2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6(9): 782-790. https://doi.org/10.1136/jech.2009.099754
  14. Blanche, E.I., Fogelberg, D., Diaz, J., Carlson, M., Clark, F.(2011). Manualiz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Illustrations from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research program.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6): 711-719. https://doi.org/10.5014/ajot.2011.001172
  15. 배성환, 강우진, 김나영, 김지현, 조준혁, 백지영(2021).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중 양손사용 스마트폰 자판 입력과 손 기능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1): 221-228.
  16. 김경희(2016). 인터넷 환경에서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 비교.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1): 185-192.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1.185
  17. 임화순, 박은경, 고계성(2016). 대학생 여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39(3): 143-160.
  18. 김지응, 이은정(2018).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구매요인 연구: 편의점 HMR(가정식사대용)을 중심으로. 32(12): 53-66.
  19. Jackson, J., Carlson, M., Mandel, D., Zemke, R., & Clark, F.(1998). Occupational in lifestyle redesign: The well elderly study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2): 326-336. https://doi.org/10.5014/ajot.52.5.326
  20. Jackson, J., Mandel, D., Blanchard, J., Carlson, M., Cherry, B., Azen, S., et al.(2009). Confronting challenges in intervention research with ethnically diverse older adults: the USC well elderly II trial. Clinical Trials, 6(1): 90-101. https://doi.org/10.1177/1740774508101191
  21. 전병진(2011).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과 작업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통계청(202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4/index.board?bmode=read&bSeq=&aSeq=38416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2021.09.04.
  23. Lawshe, C.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4. 안진성(2011). 델파이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 1): S1- S48.
  26. 김영근(2005). 효율적 작업수행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분석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2): 51-61.
  27. 신윤찬, 박지혁(2020).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가능성: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8(2): 1-12.
  28. 여성가족부(2017).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https://www.data.go.kr/data/15055031/fileData.do 2021.09.04.
  29. 항상 알바하는 대학생 매년 증가.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2792021.09.04.
  30. 최선하, 안영미, 임미영(2016). 남녀 대학생의 생활환경과 건강행태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3(1): 55-71.
  31. 서보경, 성명희(2020).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인터넷게임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습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653-664.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653
  32. 김명미, 손준호(2019). 대학생의 생활습관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253-262.
  33. Martins, B.G., da Silva, W.R., Maroco, J., & Campos, J.(2021). Eating behavior of Brazilian college students: Influences of lifestyle, negative affectiv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28(2): 781-799. https://doi.org/10.1177/0031512520983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