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oblems in TV Drama Contents Containing Sexual Socialization - Focusing on Adultery Content and Married Men and Women -

성적 사회화를 담은 TV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문제의식 고찰 - 불륜 콘텐츠와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

  • Lee, Hee-Jin (School of Communication Arts, Handong Global University)
  • 이희진 (한동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21.09.24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increasing supply and consumption of affair dramas on TV with the theme of unconventional 'infidelity', therefore, is an empirical study that reveals factors related to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about infidelity dramas that can affect the sexual socializa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rried men and women's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between couples,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motional maturity, emotional alienation, self-perception), surround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demographic background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economic level)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itical consciousness of infidelity dramas'. For the data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is conducted on married men and women(614 people), and binary logistic analysis is conducted using SPS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46% of married men and women have a relatively good level of critical awareness of affair dramas, and overall,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of married men and women about the infidelity dramas is rather low.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perception of problems such as 'excessive beautification of infidelity', 'incitement of infidelity' and 'damage of family values', however, married women are more critical than married men regarding 'explicit sexual description', indicat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Third, for married men, the level of 'self-perception' and 'marital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itical mind with infidelity dramas.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it is found that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between married couples and 'emotional alien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itical consciousness of infidelity dramas'.

본 연구는 탈관습적인 '불륜' 을 주제로 하는 불륜 드라마의 공급과 소비의 증가에 주목하면서, 기혼 남녀의 성적 사회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륜 드라마에 대한 기혼 남녀의 문제의식과 관련요인을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혼 남녀의 '불륜 드라마 비판의식 유무' 에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 개인 심리특성(정서적 성숙, 정서적 소외감, 자기지각), 주변의 환경적 특성(혼외관계 만연성),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배경(성별, 연령, 학력, 경제수준) 등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기혼남녀(614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SPSS를 이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분석(binary logis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밝혀진 내용은, 첫째, 불륜 드라마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수준의 비판의식을 가진 기혼 남녀는 46%이며, 전반적으로 불륜 드라마에 대한 기혼 남녀의 비판의식 수준은 다소 저조한 편이다. 둘째, '지나친 불륜미화', '불륜(외도)를 부추김', '가정의 가치훼손' 등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노골적 성적묘사' 에 관해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비판적인 성별특성에 따른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기혼 남성들은 '자기지각' 과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 이, 기혼 여성의 경우에는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 과 '정서적 소외' 가 각각 불륜 드라마 비판의식 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Chapin, J. R.(2000). Adolescent sex and mass media: A developmental approach. Adolescence, 35(140): 799-811.
  2. L'Engle, K. L., & Jackson, C.(2008). Socialization influences on early adolescents7 cognitive susceptibility and transition to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8(2): 353-378. https://doi.org/10.1111/j.1532-7795.2008.00563.x
  3. McLuhan, M.(2002). 미디어의 이해(인간의 확장), 박정규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 이희진(2020). 기혼 여성의 자기지각이 혼외 관계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2): 115-123.
  5. 김지영(2016). TV 드라마 속 혼외관계의 사회적 변천에 관한 연구-지상파 3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문선영(2018). TV드라마에 나타난 불륜 소재 활용방식과 담론의 변화 양상. Journal of korean Culture, 41: 157-188.
  7. 김지영, 김동규(2016). TV 드라마 속 혼외관계의 사회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6): 39-78.
  8. 이희진(2020). 이성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취약성이 본인의 혼외관계 수용성 및 개방결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203-216.
  9. Gagnon, J. H.(1990). The explicit and implicit use of the scripting perspective in sex research. Annual Review of Sex Research, 1(1): 1-43.
  10. Longmore, M. A.(1998). Symbolic interactionism and the study of sexuality. Journal of Sex Research, 35(1): 44-57. https://doi.org/10.1080/00224499809551916
  11. 이희진(2021a). 정서적 소외감과 정서적 성숙이 기혼남녀의 혼외관계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터넷음란물인식의 매개효과검증: 성별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06: 171-206.
  12. 이현규.(1998). 영상매체 시청이 청소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도신학, 1: 123-165.
  13. 문종훈, 전민재, 이창형(2019). 대학생의 스마트 폰 사용 및 음란물 접촉에 따른 불안, 성태도, 행동 비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5): 203-213.
  14. 이원준(2020).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기혼부부의 인식 관련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6): 682-694.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682
  15. 이희진(2021b). 기혼남녀의 정서적 성숙이 혼외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성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여성학연구, 31(1): 41-88.
  16. Duval, S., & Wicklund, R. A.(1972). A theory of objective self awareness. Academic Press.
  17. Silvia, P. J., & Duval, T. S.(2001). Objective self-awareness theory: Recent progress and enduring problem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3): 230-241.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0503_4
  18. Dean, D. G.(1964). Romanticism and emotional maturity: A further exploration. Social Forces, 42(3): 298-303. https://doi.org/10.1093/sf/42.3.298
  19. Smitson, W. S.(1974). The Meaning of Emotional Maturity. MENTAL HYG, 58(1): 9-11
  20. 변주혜(2002). 부부의 性연구 : 외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영숙, 이영화(2008). 혼외관계에 대한 허용도에 미치는 혼외 성경험과 성별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631-638. https://doi.org/10.5934/KJHE.2008.17.4.631
  22. 함인희(2012). 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 (Gender Gap). 여성학논집, 29: 175-210.
  23. 신성자(2017). 성역할고정관념과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이 성적외도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199-211.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199
  24. Hull, J. G.(1981). A self-awareness model of the causes and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0(6): 586-600. https://doi.org/10.1037/0021-843X.90.6.586
  25. 변혜정(2004). 성폭력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 반성폭력 운동단체의 성정치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 41-73.
  26. 장순복, 이미경(2003). 대학생의 성적자율성에 관한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2(3): 339-346.
  27. Alexander, F.(1950). Emotional maturity. Pastoral Psychology, 1(2): 49-54. https://doi.org/10.1007/BF01786113
  28. 이영화, 이영숙.(2007). 기혼 남성의 혼외관계 경험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23-533. https://doi.org/10.5934/KJHE.2007.16.3.523
  29.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1). 간통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0. 이경열, 김정희, 김동원(2003).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11-728.
  31. 이희진(2019). 영화제작인력들의 해외활동 참여욕구에 관한 연구: 이분형 로지스틱 분석 및 한계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27-37.
  32. 김진욱(2018). 트랜스미디어 시대 스토리텔링을 위한 수용자의 영화관람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3): 333-341.
  33. 백훈기(2019). 드라마의 소통을 통해 본 감정의 사회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7): 25-38.
  34. 방송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B%B0%A9%EC%86%A1%EC%8B%AC%EC%9D%98%EC%97%90%20%EA%B4%80%ED%95%9C%20%EA%B7%9C%EC%A0%95 (2020.12.28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