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Idol Bias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국내 음악시장에서 두드러진 아이돌 편중 현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양영민 (경희대학교 응용예술학과) ;
  • 한경훈 (경희대학교 응용예술학과)
  • Received : 2021.09.24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Idol music, which began to gain huge popularity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in the mid-1990s, has become one of the major global contents thanks to the global popularity of K-POP. As a result, the Korean music market continues to grow, forming the world's sixth-largest music market, and domestic music agencies are focusing more on fostering idol groups and producing idol music. The global success of idol music is surprising, but this has resulted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being biased toward idol music.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phenomenon of being biased toward similar types of musicians and music content. First, just as trend-oriented cultural contents face the problem of life expectancy all the time, the "Korean Wave" is also forced to think in terms of identity and sustainability. Second, it was observed that only consumers of a certain age may cause cultural alienation of other age groups, and thirdly, various problems such as shrinking creative paths due to the size of the cost required for idol group production and the lifespan of idol musicians' art activities. This paper derives the reality of the domestic idol bias phenomen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glish-American music market and the domestic music market, which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global music market in popular music history, and verified the theory and results through an expert survey using the Likert scale. In addition, the problems caused by the idol bias phenomenon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diversity, and improvement directions were also suggested to solve this problem.

1990년대 중반부터 국내 음악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기 시작한 아이돌 음악은 현재 K-POP의 전 세계적 인기에 힘입어 주요한 글로벌 콘텐츠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로 인해 한국의 음악시장은 전 세계 6위 규모의 음악시장을 형성하는 등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국내의 음반 기획사들은 아이돌 그룹 육성과 아이돌 음악 제작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아이돌 음악의 세계적인 성공은 놀라운 것이지만, 이는 국내 음악시장이 아이돌 음악 위주로 편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연구 결과 유사한 형태의 음악인과 음악 콘텐츠로 편중되는 현상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유행에 치우친 문화콘텐츠가 줄곧 수명에 관한 문제에 직면하듯, '한류' 또한 정체성과 지속성 측면에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둘째, 특정 연령의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연령층의 문화적 소외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세 번째로 아이돌 그룹 제작에 필요한 비용의 규모로 인한 창작 경로의 위축 현상 및 아이돌 음악인의 예술 활동 수명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이 관측되었다. 본 논문은 대중음악 역사에 있어 글로벌 음악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온 영·미권 음악시장과 국내 음악시장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아이돌 편중 현상의 실태를 도출하였으며,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이론과 결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아이돌 편중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문화 다양성 이론에 입각하여 고찰해보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향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 진흥원(2020). 2019 음악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 이규탁(2016). 케이팝의 시대-카세트테이프부터 스트리밍까지. 한울아카데미. p. 107.
  3. 한자영(2011). '아이도루'와 '아이돌' 사이에서-아이돌을 통해 보는 한일 문화 교류. 아이돌-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보고서. 이매진. 1부 4장: 97.
  4. 차우진, 최지선(2011). 한국 아이돌 그룹의 역사와 계보, 1996~2010년. 아이돌-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보고서. 이매진. 2부 1장: 113.
  5. 김현정. 아이돌 그룹의 신 모델연구-진화형 아이돌 그룹 '동방신기'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6. 이승연, 장민호(2019). K-pop 음악의 글로벌 성공 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1-15.
  7. 고규대(2020). K-POP 공연 예술의 합작 투자에 의한 해외 진출 사례 분석 및 전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191-200.
  8. 박준흠(2008). 한국 대중음악의 현재 지형. 문화과학학술지. 문화과학 53. 315-322.
  9. 한류국제문화교류진흥원(2019). 2019년 한류 나우(Hallyu Now) - 3+4월호 Vol.29. 한류국제문화교류진흥원. 9-10.
  10.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20). 2020 해외한류실태조사 요약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17-18, 46.
  11. 이경록(2016). K-Pop의 문제점과 대책: 아이돌 중심의 장르편중 문제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43.
  12. 임가희. 지드래곤 소신 발언 "한국 음악시장 빠르게 돌아간다." https://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45024/ 2021.10.13.
  13. 김은구. "K팝 미래 밝지만 아이돌 중심에서 장르적 다양화 갖춰야".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0806609435832&mediaCodeNo=258/ 2021.10.13.
  14. 오경하. [오팀장의 별별엔터테인먼트] 가요계 장르의 편중, 멸망은 피하자. http://theviewers.co.kr/View.aspx?No=644699/2021.10.13.
  15. 두산백과. 문화획일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25716&cid=40942&categoryId=32856/ 2021.9.18.
  16. 김봉석. "문화는 전쟁 중, 획일화에 맞서 다양성 추구해야".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237/ 2021.9.18.
  17. Theodor Wiesengrund Adorno & Max Horkheimer (1995).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169-170, 174.
  18. 유네스코(2001).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 주 유네스코대표부.
  19. 유네스코(2010).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 주 유네스코대표부..
  20. 곽경전, 문화다양성.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486393/ 2021.9.18.
  21. 지금종, 세계문화다양성의 날. https://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939/ 2021.9.18.
  22. 홍종열(2014),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55.
  23. 가온차트. 2020 연간차트리뷰 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article/view.gaon?idx=18159&sgenre=opinion&search_str/ 2021.9.18.
  24. 한터차트. 음반: https://m.hanteochart.com/ranking/?type=album 음악: https://m.hanteochart.com/ranking/?type=music 음원 : https://m.hanteochart.com/ranking/?type =sound/2021.6.2.
  25. 오픈 서베이(2020).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2020. 오픈 서베이. 16.
  26.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2020 음악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144.
  27. Youtube Korea Blog. 2020년 한국 시청자들은 어떤 동영상을 가장 많이 시청했을까요? https://youtube-kr.googleblog.com/2020/12/2021.9.18.
  28. MRC & Billboard(2020). Year-End 2020 U.S Final, MRC.Billboard. MRC & Billboard.. 46-47, 49.
  29. BPI & Official Charts Company(2021). All About The Music 2021. BPI & Official Charts Company. 20~23, 53-55.
  30. 이용설(2017). 콘텐츠 커뮤니티 사용자 유형 분석과 콘텐츠 수명주기 연장전략 - 바틀의 분류학(Bartle's Taxonomy)을 기반으로-. 한국지역문화학회논문지. 지역과 문화 제4권 제1호. 113-134.
  31. 황은지(2014). 한국 레게의 전개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중음악학회논문지. 대중음악 Vol.- No. 13, 40-41.
  32. Jimmyn Parc & Nobuko Kawashima(2017). Digitation in the Music Industry: The Contrasting Business Strategies of J-pop and K-pop. http://www.globaldigitalfoundation.org/analysis-android-is-a-platform-not-a-commons-1/ 2021.9.18.
  33. 한경연예. 우타다 히카루 신곡 빌보드 핫 100 진입, 日 아티스트 중 아홉 번째.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1902015890k/ 2021.9.18.
  34.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20). 2019 한류백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116.
  35. JTBC 뉴스룸. https://www.youtube.com/watch?v=dOgkTvYxHsU&t=932s/ 2021.6.14.
  36. 蔡奎振(1995). (학계와 언론계가 뽑은)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 서울: 中央日報(중앙일보사). 175.
  37. 차우진(2012). 대중음악과 세대. 대중음악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제 2부-06. 164-165.
  38. 한국갤럽. 2020년 올해를 빛낸 가수와 가요 - 최근 14년간 추이 포함.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163/ 2021.9.21.
  39. DMC 미디어(2009). 10대 소비자 특성 - 연령별 보고서(10대). 한국광고총연합회 전문자료.
  40.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ageStatMonth.do/ 2021.6.14.
  41. RIAA(2020). Music Watch Consumer Profile 2019. RIAA
  42. 정진영. [취재X파일] "아이돌 제작.데뷔 비용 최소 10억원"...개천에서 스타 안 난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1003000053&md=20151005003411_BL/ 2021.9.21.
  43. 유덕관. 걸그룹. 10년간 200개↑ 데뷔...몇 그룹이나 떴을까?. https://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66605.html/ 2021.9.21.
  44. 이은호. 포브스 "빅뱅, 지난해 500억 벌었다". http://enter.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104096/ 2021.9.21.
  45. 길혜성. SM.YG.JYP.FNC, 2016년 총매출액 '8368억' 사상최대...실속은. https://star.mt.co.kr/stview.php?no=2017031312374514787&type=1&outlink=1/ 2021.9.21.
  46. 김소현, 주영훈. '마의 7년' 벽, 못 넘는 걸그룹... '자카르타포스트' 걸스데이 소진 탈퇴 '집중 조명'. http://kor.theasian.asia/archives/201817/ 2021.9.21.
  47. Pollstar Magazine(2019). Pollstar 2019 Year End Special. Pollstar Magazine. 27.
  48. NYC Media&Entertainment & The Boston Consulting Group(2017). Economic Impact, Trends, and Opportunities Music in New York City. NYC Media&Entertainment & The Boston Consulting Group. 17.
  49. Greater London Authority(2015). LONDON's GRASSROOTS MUSIC VENUES RESCUE PLAN. Greater London Authority. 4.
  50. 김문정, 김면(2017). K-POP 아이돌 음반의 스토리텔링 전략 사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1): 27-36
  51. 오창호. [미래포럼] 문화 다양성과 IT. https://m.etnews.com/200508300031/ 202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