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Recognition of Dropout In Covid-19 Non-Face-To-Face Classroom Environment

코로나19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대학생들과 교수의 학업중단 인식

  • 정진 (조선대학교 물리학과) ;
  • 최미정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21.11.22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As the university's academic management was not carried out smoothly due to COVID-19, and most of them were conducted as non-face-to-face classes, students' dropout is steadily increasing.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physics students and professors' recognition of the COVID-19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for physics education were presented. Physics students described their feelings about un-tact teaching as 'the class in which the body is comfortable but the mind is uncomfortable', 'a person who is smarter than me seems to explain a book, reading it' and 'a short clip lecture which may be comfortable but cause losses to me', while the professors also described them as 'a fully transformed class system' and 'a online class putting much burden on me'. Regarding school dropout, students said that the concerns about dropout during non-face-to-face classes were deepened about transfer or transfer. The professors said that the department atmosphere had lost vitality due to the increase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academic dropouts, and had a lot of worries because of the recruitment rate and external university evalu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COVID-19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for physics education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finding ways to enhance the sense of reality to supplement laboratory classes and giving opportunities to professors to share their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in physics.

코로나19로 대학 학사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부분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자, 학생들의 학업중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비대면 수업환경에 대한 물리학과 대학생들의 인식과 교수들의 인식, 코로나19 비대면 수업환경이 학생들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비대면 수업이 물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물리학과 학생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해 '몸은 편한데 마음은 불편한 비대면 수업', '나보다 똑똑한 사람이 책 읽어주면서 설명하는 느낌', '짧은 동영상 강의, 편하지만 손해라는 기분'이라고 하였으며, 교수들 역시 '완전 180도 바뀐 수업체계', '부담감이 많은 온라인 수업'이라고 하였다. 학업중단에 대해서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환경으로 학업중단에 대한 고민이 더욱 심화되어 전과에 대한 고민이 증가되었다고 하였다. 교수들은 비대면수업과 학업중단 증가로 활력이 사라는 학과분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코로나19 비대면 수업상황이 물리교육에 시사하는 바로 교수와 학생간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방안 모색과 실습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실재감을 높이는 수업방안 모색, 그리고 물리학 교수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 부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성광, 최미정(2021).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현장교사들이 경험한 'K-교육'에 대한 FGI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2): 179-189.
  2. 이기언, 최성광(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3): 171-182.
  3. 정주영(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교육 질제고 방안 연구. 미래교육학연구, 33: 171-192.
  4. 코로나19 '반수생 증가'로 이어지나, 한국대학 신문.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 =232864./2020.07.28.
  5. C대학 계열별 비교 및 학과평가자료. 미간행 원고, 2020.
  6. Astin, A. W.(1964).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college dropouts among high aptitud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5(4): 219- 227. https://doi.org/10.1037/h0046924
  7. Spady, W. G.(1970).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An interdisciplinary review and synthesis. Interchange, 1(1): 64-85. https://doi.org/10.1007/BF02214313
  8. Boshier, R.(1973).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dropout: A theoretical model. Adult Education, 23(4): 255-282. https://doi.org/10.1177/074171367302300401
  9. 강승호(2010).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3: 29-53.
  10. 김경희(2011).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 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8): 379-387.
  11. 임준묵(2020).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105- 115.
  12.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2016). 자연과 학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간의 구조관계 규명: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9(4): 27-47.
  13. Wilcox, P., Winn, S., & Fyvie-G, M.(2005).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0(6): 707-722. https://doi.org/10.1080/03075070500340036
  14. Choi, M. J., & Jeong, J. (2017). A study on the school dropout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focusing on Physics, mathematics and engineering students in a local private university. New Physics: Sae Mulli, 67: 991-999. https://doi.org/10.3938/NPSM.67.991
  15. 김효정, 오새내, 조명실(2020). 코로나19로 인한 전면 원격 수업 시기의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분노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4(6): 299-308.
  16. 강진호, 손성민, 한승태(2020).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397-408.
  17. 백성현(2021). 비대면 미디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4): 267-277.
  18. Allen, I. E., & Seaman, J.(2016). Online report card: Tracking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abson College.
  19. Harker, M., & Koutsantoni, D. (2005). Can it be as effective? Distance versus blended learning in a web-based EAP programme. Recall, 17(2): 197-216. https://doi.org/10.1017/s095834400500042x
  20. Morgan, D. L., & Krueger, R. A. (1998). The focus group guidebook. Sage.
  21. Freitas, M., Oliveira, J. M., & Popjoy, O.(1998). The focus group,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Journal of Education, 1(1): 1-22.
  22. Hestenes, D. (1987). Toward a modeling theory of physics instruc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cs, 55(5): 440-454. https://doi.org/10.1119/1.15129
  23. 장회익(1996). 물리교육의 과제와 개선방안. 대학교육, 122-128.
  24. 송수연, 김한경(2020).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21(4): 1099 -1126.
  25. 조광희(2013).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교과교육학 연구, 17(4): 1405-1420.
  26. 강지선(2015). 물리학습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메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Gage, N. L.(1963).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Chicago: Rand McNally.
  28. Dunkin, M. J., & Biddle, B. J. (1974). The study of teaching. Holt, Rinehart & Winston.
  29. Tinto, V. (1987).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이보경, 장수철(2008). 고등학교 과학 심화선택과목 이수여부와 대학 과학 교과목의 학업 성취도. 교육과정연구, 26(2): 191-210.
  31. 포스텍, 신입생 전원 가상현실서 수업,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1/04/24/OR4VENHFRNGS5CFQFEHCO4D354/2021.04.24
  32. Tamir, P. (1988).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2): 99-110.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11-X
  33.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34. Grossman, P., & McDonald, M. (2008). Back to th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5(1): 184-205. https://doi.org/10.3102/0002831207312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