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 대학생의 문화적 공감, 다문화 감수성,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최예숙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 이금주 (강릉영동대학교 간호학과)
  • Choi, Ye-Sook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
  • Lee, Kyem-Ju (Department of Nursing, Gangneung Yeongdong University)
  • 투고 : 2021.07.19
  • 심사 : 2021.08.26
  • 발행 : 2021.08.31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공감, 다문화 감수성과 문화적 역량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D시 소재의 대학교 2~4학년 간호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 대학생의 문화적 공감 평균은 3.72±0.23점, 다문화 감수성 평균은 3.14±0.27점, 문화적 역량 평균은 3.10±0.32점이었다. 문화적 공감은 다문화 감수성(r=.63, p<.001), 문화적 역량(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감수성 또한 문화적 역량(r=.4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191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2rd and 4th year of the college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The mean score of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were 3.72±0.23, 3.14±0.27, and 3.10±0.32 respectively. Cultural empath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ulticultural sensitivity(r=.63, p<.001), and Cultural competence(r=.57, p<.001). Multicultural sensitivity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ltural competence(r=.41,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develop and support programs that can provid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법무부(2019).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월보 12월호.
  2. 이내영, 어용숙, 이지원(2015).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1): 16-27.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16
  3. 법제처(2020). 국가법령정보센터, 다문화가족지원법
  4. 이나윤, 이은남, 박은영(2013). 다문화 가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1): 241-250.
  5. Dayer-Berenson, L., 손수경외 편역(2014). 간호와 다문화 역량. 수문사.
  6. 한석영(2014).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 도구 개발: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한석영, 정향인(2015).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45(5): 684-693. https://doi.org/10.4040/jkan.2015.45.5.684
  8. 김옥순(2010). 청소년의 문화간 역량 연구. 청소년학연구, 17(9): 151-172.
  9. 한수진, 정진경(2012). 초등학생의 다문화경험과 문화간 감수성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16(1): 173-194.
  10. 오원옥(2011).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 17(4): 222-229.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4.222
  11. 김정연(2014).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다문화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5(1): 5-34.
  12. Ridley, C. R., Lingle, D. W. Cultural empathy in multicultural counseling: a multidimensional process model. In P. B. Pedersen, J. G. Draguns, W. J. Lonner, & J. E. Trimble(Eds.), SAGE Publshing, 1996, pp.21-46
  13. 강혜승, 이현지, 박보하, 이연경(2019).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능력 및 소명의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243-252.
  14. 양선이, 임효남, 이주희(2013).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2): 183-19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83
  15. 민성혜, 이민영(2009).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1(1): 183-206.
  16. 조미경, 신이나, 이예진, 장은혜, 정혜린, 차경민(2015). 일개 대학 간호학생들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12(2): 106-114. https://doi.org/10.16952/pns.2015.12.2.106
  17. 김성태(2016). 다문화학생과 함께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정서공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 한국엔터네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0(6): 281-290.
  18. Wang, C. S., & Law, K. S.(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 An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19. Chen, G. M., & Starosta, W. J.(1996).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 synthesis. Communication Yearbook, 19: 353-383. https://doi.org/10.1080/23808985.1996.11678935
  20. 김옥순(2008). 한.중 예비교사들의 문화간 감수성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18(1): 193-217.
  21. 박홍주, 김남희(2017).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공감능력 및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4): 487-498.
  22. 김경하(2020).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공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8): 241-247. https://doi.org/10.5762/KAIS.2020.21.8.241
  23. 김미숙, 신동수(2016).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8(6): 3437-3450.
  24. 정미선, 문은식(2013).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이해 및 태도의 관계. 육아정책연구, 7(2): 245-262.
  25. 김영숙, 한미영(2018).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감수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0(4): 2145-2159. https://doi.org/10.37727/jkdas.2018.20.4.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