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인식과 수용방식 연구 : 에스파(aespa) 팬덤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Metaverse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 Focusing on the Case of K-pop Idol 'aespa' Fandom

  • 김수현 (창원대학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
  • 유지연 (창원대학교 문화테크노학과)
  • Kim, Soo-Hyun (Department of Culture and Technology Convergenc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 Ji-Yun (Department of Culture Technolog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9.23
  • 심사 : 2021.10.25
  • 발행 : 2021.10.31

초록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새로운 경험을 즐기려는 MZ세대의 영향력 확장과 함께 메타버스는 이제 디지털 뉴딜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로 꼽힐 만큼 국가 정책에서부터 마케팅 및 교육 영역에 이르기까지 단기간 내 국내 주요 트렌드 화두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아티스트가 활동하는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메타버스는 예외 없이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간 메타버스에 대한 논의가 주로 기술이나 기술적인 대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는 최초로 가상과 현실 세계가 통합되어 연결되어 있는 아이돌 그룹인 에스파 사례를 통해 수용자들은 메타버스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 및 수용 방식을 탐색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인 디시인사이드 내 에스파 갤러리에서 에스파 AI 멤버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았고, 인터넷 민속지학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상멤버를 바라보는 관점을 크게 세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는 첫째,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동일시해서 수용하는 유형, 둘째,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별도로 인식해 가상멤버를 멤버가 아닌 아바타 혹은 콘셉트로 인식하는 유형, 세 번째는 가상 멤버나 가상 세계를 현실과 분리시켜 인식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메타버스 콘텐츠를 활용함에 있어 이질감없는 기술적 구현, 현실과 가상을 이어주는 연결성 강화, 디지털 콘텐츠로서의 법적 보호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With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attention on Metaverse has been soared throughout media and publications. Recently the entertainment industry is also changing to actively utilize the virtual world with artists working through Metaverse platforms. With the recent high interests on Metaverse,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how the public perceives and accepts Metaverse experiences. While research on Metaverse has been mainly focused on specific technologies or technical objects,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how fans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Metaverse through newly debuted idol group 'aespa', composing of 4 human members and 4 AI avatar members that integrate real and virtual world. For thi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reaction and recognition of fans by exploring online community 'DC Insi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ctions of fans in the early days of aespa's debut, the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AI members of aespa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first, the type of equating and accepting the real and the virtual world; second, the type of recognizing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separately and recognizing the virtual member as an avatar or concept, not a genuine member; and finally, a type of recognizing virtual worlds separately from re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that Metaverse contents may have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형. 위드코로나 시대, 대한민국 길을 묻다. http://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10101848256090993/2021.10.20.
  2. 이건한. 재미와 경제 다 잡은 메타버스, 차별화 위한 3요소.3C는?. http://www.bloter.net/newsView/blt20210060223/2021.10.20.
  3. 홍성용. "강남 땅 8만원에 샀어요" 가상현실서 땅 투자까지... Z세대 온라인 놀이터 '메타버 스' 300조 시장 된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4/324320/ 2021.04.05.
  4. 강영운. '1억 조회' 돌파 걸그룹 에스파, 4인 조라더니... "아바타 4명 추가요". https://n.news.naver.com/ariticle/009/004756858/2021.10.17.
  5. 최현정. 에스파, 비교불가한 'SMCU의 시작'.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65/0000004820/2021.10.17.
  6. 강신규(2021). 가상과 현실 사이에 놓인 아이돌: K/DA와 에스파(aespa)를 중심으로. 문화과학, 105: 212-225.
  7. 네이버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메타버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ld=6226822&cid=43667&categoryld=43667/2021.10.20.
  8. 고선영, 정한균, 김종인, 신용태(2021). 메타버스 개념과 발전방향. 정보처리학회지, 28(1): 8.
  9. John Smart, Jamais Cascio, Jerry Paffendorf (2007). Metaverse Roadmap 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4 https://metaverseroadmap.org/overview/2021.06.25.
  10. 손강민, 이범렬, 심광현, 양광호(2006). 웹 2.0과 온라인 게임이 만드는 매트릭스 월드: 메타버스. ETRI CEO Information, 47:4.
  11. 류철균, 안진경(2007). 가상 세계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게임산업저널, 2007(1): 30-47.
  12. 서성은(2008). 메타버스 개발동향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450-1457.
  13. 김상균(2020). 메타버스-디지털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14. 한혜원(2008). 메타버스 내 가상 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9(2): 317-323.
  15. 송원철, 정동훈(2021).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정보화정책채널, 28(3): 3-22.
  16. 황경화, 정주연, 권오병(2021). 가상 세계형 메타버스 지속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2021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통합학술대회, 43-46.
  17. 최경호(2020). VR 체험 콘텐츠 기술 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513-523.
  18. 한상열(2021). 메타버스 플랫폼 현황과 전망. FUTURE HORIZON, 19-24.
  19. 노재웅. 다 같은 메타버스? SKT 이프랜드, 로블록스.제페토와 뭐가 다르나 봤더니.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94886629148960&mediaCodeNo=257&OutLnkChk=Y/2021.08.19.
  20. 이세아. 여성.소수자 없이 메타버스 혁신 없다.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883/2021.08.23.
  21. 김원호(2021). 메타버스 마케팅, 창세기: #메타버스 #메타버스마케팅연구소 #로블록스 #제페토 #스노크래쉬. 한국마케팅연구원, 55(5): 9-16.
  22. 박효길. 한국판 어벤저스 뭉친 'K-메타버스' 첫 발 떼다.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838527/ 2021.06.25.
  23. 윤기백. K팝 플랫폼 '유니버스', 4개월 만 1000만 다운로드.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0486629079424&mediaCodeNo=258/2021.06.07.
  24. 조이단, 최명길(2021).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상호작용이 동일시와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5(6): 23-33.
  25. 전준현(2021). 메타버스 구성 원리에 대한 연구: 로블록스를 중심으로. 영상문화, 38: 257-279.
  26. 이자헌, 최은용(2021). 새로운 패러다임, 메타버스 속 공연 유통. 우리 춤과 과학기술, 17(3): 51-68.
  27. 이철남(2021). 메타버스의 저작권 쟁점에 관한 연구- 디지털트윈의 공간정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영법률학회, 31(4): 463-493.
  28. 권주형, 안지현(2021). 증강 및 확장현실 기반의 마케팅 요소가 사회혁신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기업연구, 6(1): 137-153.
  29. 정광섭(2021). 메타버스 내 음악 콘텐츠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논문.
  30. 이현정(2021). AI시대, 메타버스를 아우르는 새로운 공감개념 필요성에 대한 담론. 한국게임학회논문지, 21(3): 79-89.
  31. 임태형, 양은별, 김국현, 류지헌(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체험 프로그램 사용자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 679-695.
  32. Katrina, F., Ratmond, A.(2015). What Does My Avatar Say About Me? Inferring Personality From Avatars.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41(2): 237-249. https://doi.org/10.1177/0146167214562761
  33. 정동훈(2004). 아바타(Avatar) 아이템 구매의 심리학적 분석. 한국언론학보, 48(6): 110-137.
  34. 이향재(2018).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난 가상현실의 커뮤니티와 아바타에 관한 고찰.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6(0): 21-32. https://doi.org/10.21326/KSDT.2021.26.4.002
  35. 강경희. 서울 출생, 나이는 영원히 22세... 가상인간 로지의 탄생비화.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1/08/06/7FEG4VTKYFBTZPT3VEYFZPWKCA/2021.09.07.
  36. 한국콘텐츠진흥원(2021). 콘텐츠산업 2021년 전망 보고서.
  37. 김대우(2015).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사이버가수의 진화과정.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5(12): 261-295.
  38. 김초영, 한혜원(2020). 게임 캐릭터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파타피직스 연구-K/DA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5): 69-78. https://doi.org/10.5392/JKCA.2020.20.05.069
  39. BAZZAR. MCU만큼 흥미로운 '에스파'의 세계관. https://www.harpersbazaar.co.kr/ariticle/55537/2021.10.16.
  40. 심윤지. "가상 아이돌은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 SM 걸그룹 '에스파'가 던진 질문.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011081144001/2021.10.16.
  41. 아트인사이트. 메타버스 시대 + 아이돌 = 가상아이돌?.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55574/ 2021.10.17.
  42. 권지현, 김명혜(2014).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 구성원 유형화를 통한 인터넷팬 커뮤니티 권력관계 특성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18(3): 5-48.
  43. 유지연(2020). 허구와 현실을 오가는 은밀한 공동체로서의 온라인 팬덤 사례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18: 77-118.
  44. 조은별. 에스파 "우리는 8인조 걸그룹...아바타 세계관 공부했어요".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105010003556/2021.08.28.
  45. 강신규(2021). 디지털 실감기술과 아이돌 산업의 결합. 미디어 이슈 & 트렌드, 44: 19-30.
  46. 이종수(2008). 미국 드라마 수용의 즐거움과 온라인 팬덤 한국의 <프리즌 브레이크> 팬카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3): 213-254.
  47. 한저, 이현석(2020). 가상밴드 K/DA에 대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특성.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3(1): 74-84.
  48. 남현우(2021). XR 기술과 메타버스 플랫폼 현황. 방송과 미디어, 26(3): 30-40.
  49. 강나훔. 가상 아이돌 키워라...IT.게임 '메타버스戰'.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90109383710897/2021.09.03
  50. 공미나. 새로운 형태의 K팝...메타버스 열풍 속 쏟아지는 가상 아이돌. https://star.mt.co.kr/stview.php?no=2021083115550580449/ 2021.09.03.
  51. 이기종. 카이스트-SM엔터테인먼트, 셀럽과 아바타가 만나는 '미래 엔터테인먼트 세상' 만든다.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718/2021.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