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aracterization' Study of a Character Actor -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 building of Lee Sung-min's 'Ri Myung-un' in the film 'The Spy Gone North'-

캐릭터 배우의 '인물창조' 연구 - 영화 <공작>에서의 이성민의 '리명운' 성격구축을 중심으로 -

  • Oh, Youn-Hong (Department of Theatre & Media Performance, College of Art, Dongyang University)
  • 오윤홍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 Received : 2021.06.23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e present thesis is a study about a character actor's characterization from the concept of 'star persona'. Conducted in 2020, this is a follow-up study about a personality actor's characterization. Lee Sung-min was selected due to his wide acting spectrum among domestic actors and his brilliant expression of differing characters as a character actor. The study discusses characterization methods for character actors on the basis of his role of high-ranking North Korean bureaucrat 'Ri Myung-un' in the film 'The Spy Gone North'. Stanislavski claimed that character building or characterization was the pinnacle of the acting art. However, such an expression of personality requires hard work and devotion from an actor. The actor Lee Sung-min practiced the North Korean dialect in order to act the role, and added the way the elite speak in North Korea to this dialect. He achieves a style of acting that raises tensions within the drama by spitting out lines in one breath and by making the audience fixate their gaze within character solo shots for which the character's emotions and lines serve as the core, with the purpose of maximizing dramatic tension and situational reality. Continuity and angle also serve extremely important roles in terms of expressing a character's personality development, affect, and emotions. The present thesis discussed the character development methods for a character actor's role of 'Ri Myung-un' in the film 'The Spy Gone North'.

본 논문은 '스타 페르소나(star persona)' 개념 중에서 '캐릭터 배우의 인물창조'에 관한 연구다. 2020년에 이루어진 '퍼스낼리티 배우(personality actor)의 인물창조(characterization)'에 관한 후속 연구다. 국내 배우 중에서 연기 스펙트럼이 넓고 매번 각기 다른 캐릭터 구현력이 뛰어난 캐릭터 배우로서 이성민을 선정했으며, 그의 2018년도 출연작인 영화 '공작'에서의 북한 고위 관료 '리명운' 역할을 토대로 캐릭터 배우의 인물창조 방법에 관해서 논의했다. 스타니슬라브스키는 성격구축, 즉 인물창조를 배우 예술의 최고봉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격 구현은 배우들에게 각고의 노력과 헌신을 요하는 작업이다. 배우 이성민은 '리명운'이라는 역할을 연기하기 위해서 북한 사투리를 연습했고, 여기에 엘리트의 말투를 가미했다. 극적 긴장감과 상황의 사실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인물들의 감정과 대사가 중심이 되는 인물 단독 숏 안에서 시선을 고정시키며, 한 호흡으로 대사를 내뱉으면서 극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연기 방식을 구현했다. 콘티뉴이티와 앵글 또한, 인물의 성격구축과 정서, 감정 등을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공작'에서 캐릭터 배우의 '리명운'의 성격구축 방법을 논의해보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8학년도 동양대학교의 교내연구과제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산의 부장들' 이성민 "박정희 대통령役 위해 귀 분장 + 교정기 꼈다"[인터뷰②], OSEN, 2020.01.20.
  2. 배리킹(1999). 스타덤의 이론화, 스타덤: 욕망의 산업II, 시각과 언어, pp. 31-32.
  3. 오윤홍(2020). 퍼스낼리티 배우의 '인물창조'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4. 김석만(2010). 연기의 세계, 연극과 인간, p. 105.
  5. 빠트리스 파비스(1999). 연극학 사전, 현대미학사, p. 232.
  6. 빠트리스 파비스(1999). 연극학 사전, 현대미학사, p. 232.
  7. 소니아 무어(2009). p. 211.
  8. 스타니슬라브스키(2001). 성격구축, 예니, pp. 202-204.
  9. 우타하겐(1997). 산연기, 한신문화사, pp. 17-18.
  10. 스타니슬라브스키(2009). 스타니슬라브스키 연극론, 이론과 실천, p. 111.
  11. 스타니슬라브스키(2009). 스타니슬라브스키 연극론, 이론과 실천. p. 76.
  12. 안재범(2017). 배우의 역할되기, 연극과 인간, pp. 235-238.
  13. 오윤홍(2019). 장르드라마에서의 표정연기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 314-315.
  14. 김유선(2013). 영화의상, 커뮤니케이션북스, p. 83.
  15. 김유선(2013). 영화의상, 커뮤니케이션북스. p. 71.
  16. 김유선(2013). 영화의상, 커뮤니케이션북스. p. 72.
  17. 김종효, '공작' 볼수록 엄청난 디테일, 안경렌즈 농도까지 '고증+스타일 다잡았다', 컨슈머타임스, 2018.08.14.
  18. 마이클케인(1994). 마이클케인의 영화수업, 시각과언어, p. 81.
  19. 이혜림, 이성민 " '공작' 배우들의 연기만으로도 볼만한 가치 충분", 천지일보, 2018.08.05.
  20. 이주현, 씨네21, <공작> 이성민 - 연기는 언제나 어려워, 2018.07.
  21. 김철홍(2018). 배우를 위한 화술과 연기, 연극과 인간, p. 176.
  22. 메리 엘렌 오브라이언(2003). 영화연기, 연극과 인간, p. 192.
  23. 메리 엘렌 오브라이언(2003). 영화연기, 연극과 인간. p. 182.
  24. 메리 엘렌 오브라이언(2003). 영화연기, 연극과 인간. p. 184.
  25. 메리 엘렌 오브라이언(2003). 영화연기, 연극과 인간. p. 181.
  26. 안재범(2020). 연기하는 배우의 분석, 연극과 인간, p. 75.
  27. 스타니슬라브스키(2001). 성격구축, 예니, p. 200.
  28. 소니아 무어(2009). p.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