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search funds from Gwangju University in 2021.
References
- 김재승(2017).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무용열정, 무용일탈 및 진로의식성숙도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숙영(2018). 무용전공자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147-159.
- 김현숙, 김선정(2001). 무용 참가와 대학생활 적응도와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31: 5-16.
- 이숙정, 유지현(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 이은희(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1): 25-48.
- 장현진, 정윤경, 김민경, 류지영(2017).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지원: 대학진로교육 현황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주희진, 조규판(2017).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의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능력과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 행동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 491-508.
- Super, D. E.(1954). Career patterns as a basis for vocation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 12-20. https://doi.org/10.1037/h0061989
- 이유리, 김남중(2013). 여자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적응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8): 97-120.
- 이유민(2014).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윤희(2017).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30(2): 41-61.
- 정유진, 변상해(2017).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6): 225-23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225
- 김용구(2014). 대학생의 자기관리 역량이 대학생활만족도와 목표관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J. Block, and A. M.(2016).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gy, 70(2): 349-361.
- 류현숙, 김지영(2018).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193-201.
- 이경선,남현우(2011).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0: 233-256.
- 박지연(201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김송화(2011).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소희(2018). 대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구(2011). 사회과학 연구조사 방법론의 이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접근, 비엔앰북스.
- 채서일(2006).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 한국교육개발원(2011).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분석(III):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정익중, 이봉주, 임진영, 황매향, 김경애, 이은지(2008). 교육 소외 아동청소년의 교육 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 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04): 425-444.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812
- 이경선, 남현우(2011).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 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0: 233-256.
- 안세영(2008).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 성숙도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혜숙(2007).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 태도 성숙도 및 학교생활 적응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