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Self-resiliency on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Yoo, Seung-Ok (Department of Basic Liberal, Gwangju University)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ffective career coaching method to help university students to choose suitable career in transition to society. The subjects were 250 students enrolled in G University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 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emale students were more compared to male ones, mos of them were in 4th grade and specialized in public health and had no relig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 self-resiliency and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elf-manage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determination, confidence, and preparednes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p<.001).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controllability, positiveness, and soci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silienc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determination, confidence, and preparednes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p<.05, p<.01, p<.001). Considering that the self-management and self-resiliency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demanded for the university teachers to examine the measures to increase self-management and self-resiliency of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직업세계로 이행할 때 진로성숙을 높여 적합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G대학의 재학생 250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4학년이 많았으며, 전공은 보건계열이 종교는 무교가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생의 자기관리 및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는 자기관리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p<.001).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자아탄력성은 진로성숙도에 중요한 요인임에 따라 대학에서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자기관리와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지도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search funds from Gwangju University in 2021.

References

  1. 김재승(2017).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무용열정, 무용일탈 및 진로의식성숙도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이숙영(2018). 무용전공자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147-159.
  3. 김현숙, 김선정(2001). 무용 참가와 대학생활 적응도와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31: 5-16.
  4. 이숙정, 유지현(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5. 이은희(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1): 25-48.
  6. 장현진, 정윤경, 김민경, 류지영(2017).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지원: 대학진로교육 현황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주희진, 조규판(2017).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의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능력과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 행동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 491-508.
  8. Super, D. E.(1954). Career patterns as a basis for vocation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 12-20. https://doi.org/10.1037/h0061989
  9. 이유리, 김남중(2013). 여자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적응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8): 97-120.
  10. 이유민(2014).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윤희(2017).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30(2): 41-61.
  12. 정유진, 변상해(2017).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6): 225-23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225
  13. 김용구(2014). 대학생의 자기관리 역량이 대학생활만족도와 목표관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J. Block, and A. M.(2016).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gy, 70(2): 349-361.
  15. 류현숙, 김지영(2018).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193-201.
  16. 이경선,남현우(2011).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0: 233-256.
  17. 박지연(201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김송화(2011).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소희(2018). 대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구(2011). 사회과학 연구조사 방법론의 이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접근, 비엔앰북스.
  21. 채서일(2006).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2. 한국교육개발원(2011).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분석(III):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3. 정익중, 이봉주, 임진영, 황매향, 김경애, 이은지(2008). 교육 소외 아동청소년의 교육 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 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24.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04): 425-444.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812
  25. 이경선, 남현우(2011).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 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0: 233-256.
  26. 안세영(2008).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 성숙도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혜숙(2007).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 태도 성숙도 및 학교생활 적응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