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해 끝 무인도 '격렬비열도'의 문화자원 분석

Analysis of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Gyeokryeolbi Yeoldo at the End of the West Sea in South Korea

  • 김정섭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학과)
  • Kim, Jeong-Seob (Department of Cultural Industry and Ar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0.12.21
  • 심사 : 2021.01.25
  • 발행 : 2021.01.31

초록

이 연구는 서해 끝 절해고도 무인도인 격렬비열도의 문화자원을 탐구해 섬의 이미지·스토리텔링 구축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격렬비열도는 2020년 영토수호 여론에 힘입어 정부의 공적 관리 절차가 시작되었다. 이 섬은 화산활동으로 7천만 년 전에 생겨나 1백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제주도의 탄생사보다 깊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섬의 문화자원을 규명해 섬의 정체성 구축의 핵심 콘셉트로 삼기 위해 민속지학 연구방법을 적용해 2018년 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3년간 격렬비열도가 속한 태안지역 주민등 관계자 면접, 섬 탐방 등을 실시하였다. Valentin(2001)과 남치호(2007)의 자원분류 모델을 적용해 섬의 문화자원을 분석한 결과, 섬에서 발견된 '유형문화자원'은 주로 한중 문물 교류의 길목이자 생명을 수호하는 영지(靈地)를 상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된 섬의 '유형문화 자원'은 생명 수호, 안전, 용맹, 로맨스 이미지에 집중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격렬비열도를 문화적 장소성이 뚜렷한 섬으로 이미지텔링 및 스토리텔링 하여 새 단장할 경우 정체성 구축의 핵심 콘셉트는 '사랑의 추억을 재생하게 하는 환황해(環黃海) 중심의 문화생태섬'으로 제안할 수 있다.

The extremely isolated uninhabited island at the end of the West Sea in South Korea called "The Gyeokryeolbi Yeoldo" has recently begun to be managed by the government under the influence of public opinion demanding the island to be strictly protected. The island was created 70 million years ago by volcanic activities. So it is older than the birth history of Jeju Island,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born about a million years ago. This study has focused on providing the basis for imagetelling and storytelling of the Gyeokryeolbi Yeoldo, known for its important value by exploring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island. For the research, the ethnography including in-depth local interview and on-site investigation have been applied for 3 years from February 2018 to December 2020 in Taean, Chungnam Province, where the island is located. To analyze the cultural resources of this island, the resource classification model has been designed and used, which is modified from Valentine (2001) and Chi-ho Nam (2007). As a result, the "tangible cultural resources (TCR)" including various remains found on the island were mainly symbols of cultural bridge in the history of Korea-China exchange, and the spiritual land of life-saving. Also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CR)" extracted from the island were focused on the images of life protection, safety, bravery, and romance. Based on this study, the core concept of identity to be applied when refurbishing the island with a prominent cultural placeness( "sense of place") can be proposed as "a cultural ecological island centered on the Circular Yellow Sea that ruminates memories of love."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에 도움을 주신 태안군 안면도, 가의도 주민을 비롯한 모든 관계자 여러분들께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참고문헌

  1. 권영현, 이인배(2012). 격렬비열도의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고찰. 충남발전연구원.
  2. 최홍길(2016.7.7.~7.10.). 독도교육 이렇게 하면 더 효과적. 환황해권(環黃海圈) 해양교류와 미래 발표 자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조직위원회.
  3. 서선택, 신호수, 이종수(2016). 독도 노래의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6): 1-9.
  4. 이하영, 강준남(1977). 서해 격렬비열도 일대 지질.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2: 33-52.
  5. 한상복, 전경수(1977). 격렬비열도의 인류학적 조사보고: 도민(島民) 생활의 사회문화적 특성.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2: 131-155.
  6. Tylor, E. B.(1871).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Language, Art, and Custom (2 volumes; London: John Murray, 1920) NY: Dover Publications, Inc.
  7. Willams, R.(1958). Culture and Society 1780-1950. London: Chatto and Windus.
  8. 김정섭(2017). 한국대중문화예술사. 한울아카데미.
  9. 김용남, 정낙현(2019). 지역문화 자원으로 본 안동중앙극장 인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1): 69-79.
  10. Rumelt, R. P.(1984). Toward a Strategic Theory of Firm, In R. B. Lamb(Ed.), Competitive Strategic Management, 556-570, NY: Prentice Hall.
  11. Lockett, A., Morgenstern, U. & Thompson, S. (2009). The Development of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A Critical Appraisal.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11(1): 9-28. https://doi.org/10.1111/j.1468-2370.2008.00252.x
  12. Penrose, E. T.(1959).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NY: Wiley
  13. Wernerfelt, B.(1984). A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5: 171-180. https://doi.org/10.1002/smj.4250050207
  14. 한승욱, 김아연(2012). 지역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 조성의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강원도 정선군 아트 인 빌리지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20-124.
  15. Valentin, E. K.(2001). SWOT Analysis from a Resource-based View.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9(2): 54-68. https://doi.org/10.1080/10696679.2001.11501891
  16. 남치호(2007). 문화자원과 지역정책. 대왕사.
  17.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18. 송희영(2020). 장소성 재현과 지역문화 콘텐츠의 정체성 확립: '극단 벅수골'의 통영 지역자원 활용 창작극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8: 57-75.
  19. Philo, C. & Kearns, G.(1993). Selling Places: The City as Culture Capital, Past and Present, Pergamon Press.
  20. 두정완(2019). 지역개발을 위한 장소 마케팅 전략탐구-경남 거제 지심도 중심으로. 한국도서연구, 31(1): 65-82.
  21. 이재환, 이진형, 황두현(2016). 섬 관광 성공 요인- 증도와 청산도의 비교연구. 관광학연구, 40(2): 159-179.
  22. Stock, F.(2009). The Borat Effect.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5(3): 180-191. https://doi.org/10.1057/pb.2009.12
  23. Kotler, P., Haider, D. & Rein, I.(2002).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Free Press.
  24. Harris, M.(1968). The Rise of Anthropological Theory: A History of Theories of Culture. New York: T. Y. Crowell.
  25. Creswell, J.W.(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Sage Publications, Inc.
  26. 내무부(1996). 한국도서백서. 내무부
  27. 박춘석(2002). 조선왕조실록: 태안편. 에스티엔.
  28. 한상복, 전경수(1977). 격렬비열도의 인류학적 조사보고: 도민(島民) 생활의 사회문화적 특성.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2: 131-155.
  29. 시안 편집부(2010). 섬은 한 편의 시다. 시안, 13(2): 28-45.
  30. 김택근(2020.11.21.). 김택근의 묵언- 서해 끝에 격렬비열도가 있다.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