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교, 부사관 갈등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nflict resolution between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 투고 : 2021.05.24
  • 심사 : 2021.06.29
  • 발행 : 2021.06.30

초록

장교와 부사관은 군 조직을 이끌어가는 간부들이다. 매년 5천여명의 초임장교들이 임관하며 전후방 각지에서 임무수행을 하고 있다. 장교는 규정, 부사관은 경험의 효율성을 두고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초임장교들은 경험과 나이가 많은 부사관들로부터 권위가 실추되고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상황을 경험하고 있다. 부사관들은 계급으로만 지휘하려는 초임장교들에 대한 불만을 갖고 있다. 장교, 부사관의 갈등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일부 초임장교가 경험이 쌓이게 되면 해소되는 상황이었다. 최근 참모총장의 언행을 문제삼아 주임원사들이 반발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장교와 부사관 갈등의 원인을 고찰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are the leaders of the military. Every year, more than 5,000 first-time officers are commissioned and perform their duties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There is a conflict between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over the efficiency of experience. First-time officers are experiencing experience and a loss of authority from older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a failure to obey orders. Noncommissioned officers have complaints about first-time officers who want to direct only by class.Conflicts between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have existed in the past, but some first-time officers were resolved when they gained experience. Recently, the chief executives protested against the Chief of Staff's words and actions. I would like to study the cause of conflict between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uggest sol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선일보, 2021.1.16.일자 "참모총장이 인격권 침해".
  2. 조선일보, 2021.1.19.일자 장교 부사관 갈등에 서욱 "관계 재정립하라"지시.
  3. 육군보병학교, "부대관리", pp 6-10, 2010.
  4. 육군부사관학교, "부대관리', 195-202, 2010.
  5. 김태현, "부사관 리더십 특성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4-36. 2010.
  6. 노진철, "육군장교양성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9-28, 2010.
  7. 양충식, "육군초급장교의 정예화 방안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303-327, 2016.
  8. 박문상, "부사관의 역할 정체성, 모호성, 갈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46, 2013.
  9. 서봉환, "지휘관의 갈등관리유형이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29, 2012.
  10. 최현주외1, "직업군인(부사관)의 소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72호, pp2776-2779. 2012.
  11. 최병권, "복무환경이 장기복무 간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89-40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