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고려대학교 공과대학과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 강민석.김명랑(2014).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 측정도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521-545.
- 강소연(2021). 2020년 1학기 공과대학 교수와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 공학교육연구, 24(2), 20-28. https://doi.org/10.18108/JEER.2021.24.2.20
- 강소연.이현경(2021). 공과대학 교수를 위한 비대면 온라인 공학수업 가이드북. 경기: (주)아이비엘.
- 김동심.이명화(2019).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교육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845-867.
- 김미량 외(2018). 정보교육을 위한 교재의 이해와 활용(3판). 서울: 교육과학사.
- 김선연.조규락(2010). 대학교수의 교육역할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4), 575-599.
- 김영희(2020). 대학생의 COVID-19로 인한 학업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2), 278-290.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278
- 김은경(2020). 비대면 수업에서 공학 팀프로젝트 수행 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2), 255-264. https://doi.org/10.14702/jpee.2020.255
- 김주영.박정환(2020). 대학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전환 경험 분석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연구. 교육공학연구, 36(3), 839-871.
- 남영옥(2020).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3), 975-997.
-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 배영임.신혜리(2020). 코로나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이슈&진단, 416, 1-26.
- 신선애(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공학교육 방향 탐색. Ingenium, 28(1), 30-36.
- 심재창(2020). "C 프로그래밍 언어" 온라인 강의 및 소통방법. 한국공학교육학회 Webinar: 공대 교수가 알려주는 온라인 우수교육사례: 이론.실습.프로젝트 교육(2020. 07. 30).
- 이재진(2006). 이-러닝 (e-learning) 교수.학습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모형 및 준거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0, 75-91.
- 이정기.김정기(2014).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e러닝에 대한 평가, 이용동기, 이용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4, 76-111.
- 임경화(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플랫폼을 활용한 공학교육의 활성화. 대한기계 춘추학술대회, 2020(12), 1274-1278.
- 임정훈.김미화.이세현(2021).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1), 281-311.
- 정영란.한승연.박종선(2016). 한-아세안 사이버 대학 교수자들의 이러닝 수업의 성공 요인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공학연구, 32(4), 955-986.
- 정재삼.임규연(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2), 107-135.
- 정재원.허정은.박효원(2020).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탐색. 공학교육연구, 23(6), 60-67. https://doi.org/10.18108/JEER.2020.23.6.60
- 정향기(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 주영주.김지연(2003).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 및 역량에 관한 탐색, 교육과학연구, 34(1), 19-39.
- 최명숙.이애화(2017). 스마트 학습을 위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서울: 학지사.
- 최훈(2006). 모바일 컴퓨팅 서비스에서 중요 사용 품질 도출에 대한 정성적 연구: 모바일데이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10), 17-24.
- 한송이.남영옥(2020).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요인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 1129-1149.
- 한승연.임규연(2012).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모델링. 교육방법연구, 24(4), 837-86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4.837
- 한형종(2020).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69-79.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069
- Adnan, M., & Anwar, K.(2020). Online learn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students' perspectives. Journal of Pedagogical Sociology and Psychology, 2(1), 45-51. https://doi.org/10.33902/JPSP.2020261309
- Bennett, S., & Lockyer, L.(2004). Becoming an online teacher: Adapting to a changed environ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41(3), 231-244. https://doi.org/10.1080/09523980410001680842
-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 Cheawjindakarn, B., Suwannatthachote, P., & Theeraroungchaisri, A.(2012).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online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Creative Education, 3, 61-66.
- Chiasson, K., Terras, K., & Smart, K.(2015). Faculty perceptions of moving a face-to-face course to online instruction. Journal of College Teaching & Learning, 12(3), 321-240. https://doi.org/10.19030/tlc.v12i3.9315
- Choi, H. J. & Park, J. H.(2006). Difficulties that a novice online instructor faced: A case study.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7(3), 317-322.
-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 87-105. https://doi.org/10.1016/S1096-7516(00)00016-6
- Goodyear et al.(2001). Competences for online teaching: A special repor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9(1), 65-72. https://doi.org/10.1007/BF02504508
- Govindasamy, T.(2002).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Learning; Pedagogical consideration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4(3-4), 287-299. https://doi.org/10.1016/S1096-7516(01)00071-9
- Hodges, C. et al.(2020).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Educause Review, 27, 1-12.
- Lang, M., & Costello, M.(2009).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ory student learning via on-line discussion boards. Research, Reflections and Innovations in Integrating ICT in Education. m-ICTE 2009 Conference, Lisbon, Portugal..
- Mishra, A., Jha, S., & Nargundkar, R.(2021). The role of instructor experiential values in shaping students' course experience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30(6), 898-915. https://doi.org/10.1108/JPBM-11-2019-2645
- Papp, R.(2000).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distanc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America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AMCIS) 2000. Retrieved August, 19, 2021, from https://aisel.aisnet.org/amcis2000/104.
- Rahiem, M. D.(2020). The emergency remote learning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indonesia amidst the COVID-19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Teaching and Educational Research, 19(6), 1-26. https://doi.org/10.26803/ijlter.19.6.1
- Rizun, M., & Strzelecki, A.(2020). Students' acceptance of the Covid-19 impact on shifting higher education to distance learning in Po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8), 6468. https://doi.org/10.3390/ijerph17186468
- Rotas, E., & Cahapay, M.(2020). Difficulties in remote learning: voices of philippine university students in the wake of COVID-19 Crisis. Asi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5(2), 147-158.
- Terras, K. L.(2017). Transforming the teacher: Examining personal transformations of faculty redesigning courses from face-to-face to online. Journal of Transformative Learning, (4)1, 33-49.
- Thach, E. C., & Murphy, K. L.(1995). Competencies for distance education professional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3(1), 57-79. https://doi.org/10.1007/BF02300482
- Volery, T. & Lord, D.(2000).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nline educ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14(5), 216-223. https://doi.org/10.1108/09513540010344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