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e Indicators of Freshmen in 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과학기술원 신입생 핵심역량 지표 개발 연구

  • Shin, Tae Seob (Department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Gahyu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eonju Kijeon College) ;
  • Kang, Tae Hoon (Department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Park, Juh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ung, Jae 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Oh, Eun Hye (Department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won, Min Jae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신태섭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 김가현 (전주기전대학 유아교육과) ;
  • 강태훈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 박주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
  • 정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 오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 권민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Received : 2021.08.09
  • Accepted : 2021.09.27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icator of core competency of freshmen of 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ST). Through the document analysis and the expert survey, core competency indicators that include 5 core competencies and 15 sub-competencies (a total of 48 items) were developed. Then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experts in measurement and statistics and secondary education. Also, by using students' responses, reliability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and construct validity were tes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core competency indicator is reliable and valid in measuring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students in 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 admission processe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DGIST 출연금(학사사업비)의 위탁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청소년핵심역량). (2021.05.10). https://nyc.kywa.or.kr/youth_activity/youth_activity01.jsp
  3. 권순구(2020). 혁신교육과정 기반 핵심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129-152.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29
  4.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https://doi.org/10.17927/TKJEMS.2014.26.4.687
  5. 권희경 외(2020). 2020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가현 외(2020).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공학교육연구, 23(5), 76-85. https://doi.org/10.18108/JEER.2020.23.5.76
  7. 김기헌 외(2009).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I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8. 김아영 외(2019). 혼자쓰는 연구논문: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9. 김정민.김인숙.권재기(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32(3), 357-382.
  10. 김지원(2019).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11. 남궁지영 외(2015).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 조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류완영 외(2012). 졸업생 3C 역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결과보고서. 한양대학교.
  13. 문정순(2020). 대학생 핵심역량척도 개발. 인문사회, 11(6), 3255-3266.
  14. 박수정.송영수(2016). 대학 특성화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2), 79-107.
  15. 박영신 외(2017).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9(4), 567-595.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4.567
  16. 박지회.신안나(2019).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성인계속교육연구, 10(3), 89-116.
  17. 백평구(2013).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교양교육연구, 7(3), 349-387.
  18. 소효정.이지향.이혜란(2017). 이화핵심역량진단평가 개발을 위한 정책과제 최종보고서. 이화여자대학교.
  19. 송창용 외(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안종배(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7(1), 21-34.
  21. 엄유경(2020). 성인 여자대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S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연구, 26(2), 49-77.
  22. 옥현진.오은하.김종윤(2018).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국어교육연구, 41, 81-112.
  23. 유정애.차은주(2016). 중등학교 학생선수 핵심 역량 요수 및 지표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55(5), 237-248.
  24. 윤명희.김진화(2008). 청소년의 생활역량 진단척도 개발과 프로그램 설계를 통한 효과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9(2), 173-197.
  25. 윤성혜(2017). 대학생용 세계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척도 개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6. 이경호.안선회(2014).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0(1), 141-173.
  27. 이경희 외(2010).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57-71. https://doi.org/10.18108/JEER.2010.13.6.57
  28. 이서연(2021). 대학생의 공감과 대학생활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정서역량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9. 이성자.임은미(2021). 대학생용 공동체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22(1), 177-200.
  30. 이현영 외(2012). 공과대학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3), 439-469..
  31. 진미석(2013).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3(1), 105-127.
  32. 천정웅(2009).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 활동: 역량개발의 이론, 정책, 실천. 청소년행동연구, 14, 31-49.
  33. 최상덕(2014).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I(RR 2014-16). 한국교육개발원.
  34. 한국교육개발원(2015). 세계시민교육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35.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19(1), 161-177.
  36. 한국과학기술원법 [시행 2020. 11. 20] [법률 제160222호, 2020. 5. 19., 일부개정]. https://www.law.go.kr/법령/한국과학기술원법
  37. Clark, L. A., & Watson, D.(1995). Constructing validity: Basic issues in objective scale development. Psychological Assessment, 7(3), 309-319. https://doi.org/10.1037//1040-3590.7.3.309
  38. Hair, J. F. et al.(2000).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Pearson.
  39.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40.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41. Rychen, D. S., & Salganik, L. H. (eds.)(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OECD.
  42. Spencer, L. M., & Spencer, P. S. M.(2008).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Jersey: John Wiley & Sons.
  43. UNESCO(2012).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 2011. UNESCO Instiue for Staist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