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1.08.31
  • Accepted : 2021.09.21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for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17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and written exams. Results show that the gifted students recognized justification in various meanings such as proof, systematization, discovery, intellectual challenge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the preference for deductive justification. As a result of justification exam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gebra and geometry. While there were many deductive justifications in both algebra and geometry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 exists in empirical justifications: there were many empirical justifications in algebra, but there were few in geometry questions. When deductive justification was completed, the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with their own justification. However, they showed dissatisfaction when they could not deductively justify the generality of the proposition using mathematical symbol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ustification education that can improve algebraic translation ability is necessary so that gifted students can realize the limitations and usefulness of empirical reasoning and make deductive justification.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의미 인식과 수학적 정당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당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17명의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검사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들은 수학적 정당화에 대하여 입증, 체계화, 발견, 지적 도전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정당화를 인식하였고, 연역적 정당화의 선호도가 높았다. 실제 정당화 활동의 결과, 대수와 기하 문항 모두에서 연역적 정당화가 많았지만 대수 문항에서는 경험적 정당화도 많은 반면 기하 문항에서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연역적 정당화를 완성한 경우, 자신의 정당화에 만족함을 보였지만 수학적 문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명제의 일반성을 연역적으로 정당화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만족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이 경험적 추론의 유용성과 한계를 깨닫고 연역적 정당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대수적 번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당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교육부 (2015). 74호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제 2007-79호 [별책 8].
  3. 김미향 (2019). 고등학생의 증명에 대한 인식 및 증명 수행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정영우.김부윤 (2014). 기하 증명에서의 대표성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2), 225-240.
  5. 김정하 (2010).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정하 (2011).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단계에 관한 실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417-435.
  7. 김지원 (2004). 한 수학영재아의 수학적 사고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제14권 제1호.
  8. 나귀수 (1997a). 기하 개념의 이해와 적용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7(2), 349-358.
  9. 나귀수 (1997b). 중학교 2학년 기하 증명 수업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7(2), 293-302.
  10. 서동엽 (1999). 중학교 학생의 증명 능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9(1), (19 ): 183-203.
  11. 선우진.황우형 (2016).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적 정당화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2.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송상헌.정영옥.장혜원 (2006).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영재들의 기하 과제 증명에 관한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327-344.
  14. 송상헌.이경화.최남광 (2007). 수학 영재들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탐구과정(정당화 과정과 표현과정 중심으로). 학교수학, 9(4), 487-506.
  15. 이지현 (2011). 일상적 정의에서 수학적 정의로의 이행, 수학교육 50(4), 429-40.
  16. 조경희 (2003). 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 유형과 논쟁 구조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석사학위 논문.
  17. 조완영.권성룡 (2001). 학교 수학에서의 '증명'. 수학교육학연구, 11(2), 385-402.
  18. 허지연 (2006). 초등영재들의 정당화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석사 학위논문.
  19. Balacheff, N. (1987). Proving processes and situations for valid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volume 18, pages 147-176. https://doi.org/10.1007/BF00314724
  20. Balacheff, N. (1988). Aspects of proof in pupils practice of school mathematics. In D. Pimm (Ed.), Mathematics, teachers and children. London: Hodder & Stoughton. pp.216-235.
  21. Bell, A. W. (1976). A study of pupils' proof-explanations in mathematical situ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 pp.23-40. https://doi.org/10.1007/BF00144356
  22. Chazan, D. (1988). 'Proof and measurement: An unexpected misconception', in A. Borbas (ed.), Proceedings of the Twelf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eszprem, Hungary, pp. 207-214.
  23. CadwalladerOlsker T. (2011). What do we mean by mathematical proof?, Journal of Humanistic Mathematics, 1(1). 2011. 1-60. https://doi.org/10.5642/jhummath.201101.04
  24.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ative(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25. De Villiers, M. D. (1990). The role and function of proof in mathematics, Pythagoras, 24, 17-24.
  26. Harel, G., & Sowder, L. (1998). Student' proof schemes: Results from exploratory studies. Research in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III 7, 234-282.
  27. Harel, G., & Sowder, L. (2007). Toward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proof, In F.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8. Healey, L., & Hoyles, C. (1998). Justifying and proving in school mathematics. Summary of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the proof conceptions of students in the UK. University of London: Research Report Mathematical Sciences, Institute of Education.
  29. Healey, L. & Hoyles, C. (2000). A study of proof conceptions in algeb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4), 396-428. https://doi.org/10.2307/749651
  30. Hersh, R. (1997). What is mathematics, Reall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1. Krutestk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l children. The Univ. of Chicago Pres.
  32. Lee, K. H. (2005).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ometrical Reasoning and Informal Prof, In Helen L.C. & Jil, L.V. (Eds.), Proc. 29th Conf. of the Int.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3. p. 241-248).
  33. Marrades & Gutierrez (2000). Proofs produced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learning geometry in a dynamic computer environmen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Vol 44, pages 87-125). https://doi.org/10.1023/A:1012785106627
  34. McCrone, S, S., & Martin, T. S. (2004). Assessing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geometric proof. Canadian J 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4, 223-242. https://doi.org/10.1080/14926150409556607
  35. Nakahara, T. (1994). Study of the Representotional system in Mathematics Education, Hiroshima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2, 59-67.
  36. NCTM. (2000). Principle and standard for sch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7. Simon, M. A. & Blume, G. W. (1996). Justif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A study of prospective elmentary teacher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5, 3-31. https://doi.org/10.1016/S0732-3123(96)900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