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원도민일보, "옥상 측정소, 미세먼지 수치 불신 높인다", 이종재 기고, 2018.11.12.
- 국민권익위원회, "「미세먼지」 관련 민원 분석", 「포용국가 사회정책 추진」지원을 위한 기획분석 보고서, 2019, pp. 1-17.
-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보, 2019.
-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월보, 2020.12.
- 김단야, 진장익, "미세먼지는 경기도민의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GRI 연구논총, 제19권, 제3호, 2017, pp. 51-68.
- 김보라, 박현선, 김상현, "크라우드펀딩 참여와 구존의도에 대한 실증적 분석: 플랫폼 신뢰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학회, 제30권, 제2호, 2021, pp. 1-27.
- 김서진, 손윤석, 강호성, 김조천, 이재효, 김규식, 김인원, "광산란법 미세먼지 측정 보정",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9, pp. 613-615.
- 김성은, 정규형, 허영희, 우종훈, 김과현,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AMOS 구조방정식 활용과 SPSS 고급 분석, 한빛미디어, 2018.
- 김용태, 이상준, "부분최소제곱모형을 위한 R프로그램의 활용: SmartPLS와 R의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2호, 2015, pp. 117-124.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117
- 김윤곤, 이가원, 허의남, "데이터 사용자를 고려한 데이터 제공 환경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논문집, 2016, pp. 993-995.
- 김판수, 김희섭, 이미숙, "고령층의 정보 활용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7권, 제1호, 2014, pp. 25-47.
- 노성호, 구정화, 김상원,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박영사, 2018.
- 뉴스 프리존, "미세먼지 정부자료 못 믿겠다", 강승호 기고, 2019.05.21.
- 대기환경보전법(법률 제177797호, 2020.12.29., 일부개정) 제2조제6호.
-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0-30호, 2020.09.07., 일부개정) 중, '환경대기 > 무기물질 및 금속 > ES 01605 환경대기 중 미세먼지(PM10) 측정방법.
-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17177호, 2020.03.31., 일부개정) 제2조 제1호.
- 박진우, 박진홍, 최진무, "대기오염확산모델을 이용한 유동인구의 대기오염 노출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제52권, 제2호, 2018, pp. 193-204.
- 서미숙, 조홍종, "미세먼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WTP 추정을 중심으로",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6권, 제3호, 2017, pp. 417-499.
- 서울특별시, "한숨 돌린 미세먼지... Q&A로 알아본 궁금증 10가지", 서울시 대표 소통 포털: 내 손안에 서울, 2019.03.07.
- 서응교,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큐와 익명성이 집단극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석부길, "구조방정식 - 구조방정식 모델의 이해",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2015, pp. 1-23.
- 손지영, 김윤신, 조용성, 이종태,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대기오염 개인노출추정 방안 소개 및 적용의 사례",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5권, 제4호, 2009, pp. 339-346. https://doi.org/10.5572/KOSAE.2009.25.4.339
- 양지환, 태성호, 이광수, "건설현장 광산란법 기반의 미세먼지 측정법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39권, 제2호, 2019, pp. 476-479.
- 연합뉴스, "미세먼지 예보와 체감 다른 이유... 측정소 80% 너무 높아", 성서호 기고, 2018.01.14.
- 연합뉴스, "여수산단 대기오염물질 측정값 조작 임직원 무더기 기소", 형민우 기고, 2020.01.15.
- 우정화, 김봉철, "SNS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CSR 메시지 공간적 거리감과 해석수준, 속성 조작가능성 표현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8권, 제8호, 2017, pp. 49-83.
- 이광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분석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9, 제13권, 제6호, 2019, pp. 69-77.
- 이데일리, "[미세먼지 공화국] 필수품인데 기준 애매한 날씨앱.마스크... 불신 키웠다", 김보경 기고, 2019.01.21.
- 이문봉, 이옥, "배달앱 서비스의 온.오프라인 품질요인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29권, 제3호, 2020, pp. 215-236.
- 이정윤, 김주현, "대전지역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Q방법론 활용", 한국인구학, 제43권, 제1호, 2020, pp. 121-151.
- 이준웅, 김성희, "미세먼지 재해 보도 프레임 분석: 구조적 주제모형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제62권, 제4호, 2018, pp.125-158.
- 임근식,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2012, pp. 47-89.
- 조용은, 유영선, 박정민, 이경형, 곽선아, 류희욱, 조경숙,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 지역별 미세먼지의 양적.질적 차이를 유발하는 인자 규명", (사)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 pp. 236-238.
- 조홍래, 정종철, "공간보간기법에 의한 서울시 미세먼지(PM10)의 분포 분석", 환경영향평가, 제28권, 제1호, 2009, pp. 31-39.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중, 2021년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 https://bit.ly/2WksCuY, 2021.08.25. 방문.
- 통계청, "국가통계 품질관리 매뉴얼(조사통계): 정기통계품질진단", 2020, pp. 1-45.
- 특허청, "미세먼지 문제는? 미세먼지 측정에서 부터!", 보도자료, 2019.04.24.
- 특허청, "연구개발 지원 확대.특허기술 활용이 미세먼지 해결의 열쇠", 보도자료, 2019.08.07.
- 특허청 공식 블로그,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은?", https://bit.ly/3AAXhmk, 2021.08.12.방문.
- 티스토리 블로그, "「품질-고객만족도 조사 설문지」", https://hujubkang.tistory.com, 2021.05.16.방문.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인증..검사 >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인증", http://www.ktr.or.kr/certification/finedust/contentsid/1843/index.do, 2021.08.06. 방문.
- 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 소개 > 에어코리아란?", https://www.airkorea.or.kr/web/contents/contentView/?MENU_NO=91&cntns_no=1, 2021.05.15. 방문.
- 환경부, "미세먼지 간이 측정기 성능인증제 시행", 보도자료, 2019.08.13.
- 환경부, "실시간 대기오염도 공개 확대", 보도자료, 2005.11.03.
-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 "수도권 대기정보 > 수도권 대기현황 > 대기측정망현황 > 대기환경기준", https://www.me.go.kr/mamo/web/index/do?menuId=543, 2021.08.13.방문.
- J Whalley, S Zandi, Chapter from the book 「Air Quality - Measurement and Modeling」: Particulate matter sampling technique and data modeling methods, IntechOpen, London, United Kingdom, 2016, pp. 29-54.
- Keil, M., Tan, B.C.Y., Wei,K.-K., Saarinen, T., Tuunainen, V. and Wassenaar, A., "Across-cultural Study on Escalation of Commitment Behavior in Software Projects", MIS Quarterly, Vol. 24, No. 2, 2000, pp. 299-325. https://doi.org/10.2307/325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