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through Space Creation for Culture and Arts: With a Focus on Korean Literary Villages

문화예술의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 특성 연구 : 국내 문학촌을 중심으로

  • 안혜진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이승하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 Received : 2021.05.22
  • Accepted : 2021.06.21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literary villages and book towns by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place marketing for culture and art spac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aim is to point out the practicability of literary villages, moving away from building halls of fame for individual writers and artists and toward creating whole villages functioning as the centers of their local cultural scene, as well as suggest ways for contributing to regional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programs. To this end, "Kim Yujeong Literature Village," "Lee Hyo-seok Culture and Art Village," and "Hwang Soon-Won Sonagi Village"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their actual operational status was explored.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literary villages would function well as the centers of their local community if meaningful and interesting content is continuously developed with quality enhancement. This suggests a positive impact of place marketing, an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open a new paradigm of local culture by differentiating from other cultural industries and securing a position as a new industrial sector. To this end, the paper suggests approaches such as small local literary groups with direct or indirect links to the literary village, or application of space and related works in the literary village with local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다각적 측면에서 문화예술공간의 장소마케팅적 가능성을 살펴 지역과 문학촌의 발전 가능성을 논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문학촌이 개별의 관(館)에서 탈피하고 지역문화 가치의 중심인 촌(村)으로 기능하는 가능성을 짚어보는 것이며, 나아가 지역활성화 및 문화예술사업발전의 기여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유정문학촌', '이효석문화예술촌', '황순원문학촌소나기마을'을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고 그 운영 실태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문학촌이 유의미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그 질을 높인다면 지역 사회의 중심축으로 충분히 기능할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시사하며, 이러한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여타의 문화산업과 차별화시키고 신산업으로의 입지를 확보해 지역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지역 내 문학 소모임 등을 문학촌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계하여 진행하거나 공간 활용과 문학촌 내 관련 작품과 지역 교육을 연계하는 등의 접근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경보(2006), 황순원 '소나기마을' 조성사업 착공, 뉴시스, 2006.11.30.
  2. 곽효환 외 14명 (2008), 김유정 문학의 재조명, 서울: 소명출판.
  3. 구정민(2017), 문학관 설립사업 중기 과제로 전환, 강원도민일보 2017.11.08.
  4. 국립국어원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자료검색일 2021.05.17.)
  5. 김선기(2013), 문학관 운영의 실천적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진군시문학파기념관 운영방식을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43, 105-121.
  6. 김영석(2018), [평창] 평창효석문화제 경제효과 '151억', 강원일보 2018.11.08.
  7. 김종년(역), 김유정 전집 2, 김유정(2003), 서울: 가람기획.
  8. 김유정문학촌(http://www.kimyoujeong.org, 자료검색일 2019.06.30.)
  9. 김종우(2014),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문학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대구문학관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8(1), 253-277. https://doi.org/10.16937/JCP.28.1.201401.253
  10. 김지은(2014), 특별기획-오영수문학관의 미래를 그린다. 작가 대표작품에 초점... 올해 '전국최우 수문학관' (7)작품 속으로 들어가는 체험형 문학관, 황순원문학촌, 울산매일신문, 2014.11.10.
  11. 김형국(2002), 고장의 문화판촉: 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 서울: 도서출판 학고재.
  12. 류재일 (2012), 김유정 소설 속 옛 춘천 '문학마을'로 재탄생, 강원일보, 2012.08.16.
  13. 문화체육관광부(2017), 국립한국문학관 추진 경과 및 향후 계획- 문체부, 국토부, 서울시 관계자를 포함, 문학계,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문학관 부지 문제 논의 예정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보도일자 2017.11.23.
  14. 박소연(2007), 문학 콘덴츠를 활용한 지역마케팅, 문화정책논총 18, 167-191.
  15. 박승희(2016), 로컬리티 문화 표상과 지역 문학관의 재구성-대구문학관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72, 409-433.
  16. 박영주(2006), 문화관광정책, 지역경제, 거버넌스의 Match -전라남도 기초자치단체의 관광개발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1), 143-164.
  17. 박일우(2017), 문학텍스트의 공간구현을 통한 도시브랜드구축에 관한 연구-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의 서사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16(3), 137-159.
  18. 서덕희(2020), 질적 연구의 '원형'으로서 사례 연구의 방법론적 성격: 사례와 연구자의 대칭적-되기, 교육인류학연구 23(4), 1-29. https://doi.org/10.17318/JAE.2020.23.4.001
  19. 소나기마을(http://www.sonagi.go.kr, 자료검색일 2019.09.25.)
  20. 신경식.서아영(역), 사례연구방법, Robert K. Yin(2005), 서울: 한경사.
  21. 오민근(2011), 지방자치시대의 문화산업 지역활성화를 위한 공간적 관점에서, 미술세계 2011년 2월호, 70-75.
  22. 정윤경(2018), 문학관광자원으로 본 문학관의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13), 139-174.
  23. 채근병(2020), 문학 진흥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문학관 네트워크 조직 및 운영 방안 연구, 지역과 문화 7(2), 57-84.
  24. 오석기.김형기(2010), [역사속의 강원인물] 인간미 넘치는 소설 속 인물들... 그들은 곧 이효석 자신이었다, 강원일보, 2010.12.24.
  25. 오석기(2018), 국립한국문학관 결국 서울 건립 가닥, 강원일보 2018.11.05.
  26. 윤학로.김점석(2005), 프랑스 문학관의 운영현황과 전망, 한국프랑스학논집 51, 415-434.
  27. 이경숙.권기창(2019), 장소성 강화를 위한 무섬별리문학관 공간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지역과 문화 6(1), 29-56.
  28. 이무은(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41(1), 39-57.
  29. 이효석문화예술촌(http://www.hyoseok.net, 자료검색일 2019.07.17.)
  30. 이효재(2008),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 탐색-장소마케팅의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0(3), 743-766.
  31. 최혜실(2004), 文學作品의 테마파크화 過程 연구-'소나기마을'과 '만해마을'을 中心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32(4), 285-306.
  32. 한국문학관협회(www.munhakwan.com, 자료검색일 2019.05.05.)
  33. 조연근(역), 학원 한국문학전집 15 황순원, 황순원(1991), 학원출판공사.
  34. Holcomb, B.(1993), RevisioningPlace: De-andRe-constructing the Imageofthe Industrial City, Selling Place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Oxford : Pergamon Press.
  35. Kearns, G. and Philo, C.(1993), Selling Places: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Oxford : Pergamon Press.
  36. Kotler, P., Hamlin, M. A., Rein, I. & Haider D. H.(2001), Marketing Asian Places, John Wiley & Sons(Asia), Singap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