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ender of Mock Jurors and Defendant and Criminal Settlement on a False rape allegation judgement

판단자 및 피고인의 성별과 형사합의금 액수가 강간 무고 사건 판단에 미치는 영향

  • Kim, Yujin (Department of Soci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Minchi (Department of Soci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Received : 2021.11.12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ender and amount of criminal settlement on punitive judgment and responsibility judgment in a false rape allegation ca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06 adult men and women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experimental con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 and the gender of the defendant in the punitive judgment and responsibility judgment except sentencing judgment. In other words, participants applied heavier punishment and sentencing judgments to the defendants of the opposite gender, while lighter punishment and sentencing judgments were applied to the defendants of the same gender. However, the amount of the criminal settle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examined how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the gender of the defendant and the amount of the criminal settlement affect the judgment of the false allegation of rape case which has not yet been fully discussed in Korea.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see how the amount of criminal settlement, which has not been covered before, affects the perception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who demand criminal settle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강간 무고 사건에서 연구 참가자의 성별과 피고인의 성별, 형사합의금 액수에 따라 피고인에 대한 처벌판단과 책임 판단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남녀 4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양형 판단을 제외한 처벌판단과 책임 판단에서 연구 참가자 성별과 피고인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연구 참가자들은 이성의 피고인에게는 더욱 무거운 처벌판단과 양형 판단을 적용한 반면, 동성의 피고인에게는 더욱 가벼운 처벌판단과 양형 판단을 적용하였다. 양형 판단에서는 유의한 성차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앞서 다른 종속변인에서 나타난 결과와 마찬가지로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형사합의금 액수는 모든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아직 논의가 활성화되지 않은 강간 무고 사건에서 연구 참가자 성별과 피고인 성별, 형사합의금 액수가 사건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았으며, 재판상에서 연구 참가자 성별과 피고인 성별이 차별적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실제로 강간 피해자의 형사합의 요구에 대한 보편적 인식에 성별뿐만 아니라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형사합의금 액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 (2017). 강간통념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폭력 무고사건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경화 (2012). 성폭력 피해여성 무고죄 적용 요인 분석: 검찰 수사과정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인숙, 이건정, 김선영 (2016).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피해통념의 2차 피해적 영향 연구. 젠더와 문화, 9(2), 49-84.
  4. 기광도 (2015). 형사합의가 양형에 미치는 효과분석: 성폭력을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23(2), 203-230.
  5. 김범준 (2007). 강간범죄에 대한 위험도 인식과 가치판단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3), 57-73.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3.004
  6. 김보경, 김범준, 최종안 (2020). 판단자의 강간 통념이 강간사건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 - 강간 사건 전 피해자의 일탈행위 여부의 조절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법, 11(3), 309-327. https://doi.org/10.53302/KJFP.2020.11.11.3.309
  7. 김성돈 (2008). 새로운 범죄대응전략으로서 화해 조정체계구축(I): 형사사법체계내 형사조정제도 도입에 따른 법이론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 김수아 (2015).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2), 279-317.
  9. 김예람 (2008). 경찰의 성폭력피해자보호대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도와 통념으로 인한 성폭력피해자의 2차 피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종구, 송봉규 (2018). 강간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68(0), 115-152.
  11. 김종구 (2016). 강간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종일 (2020). 성폭력 범죄 재판에서의 '성인지 감수성'과 '피해자 다움'에 관한 검토 - 2018고합75 판결과 2018노2354 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37(4), 139-160.
  13. 김지현 (2018). 배심원의 성별과 피해아동의 연령이 성범죄 가해자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진술신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류병관 (2016). 미국 형사절차상 동성애 피해자 보호에 관한 논의. 비교형사법연구, 18(1), 295-315. https://doi.org/10.23894/KJCCL.2016.18.1.011
  15. 류화진 (2020). 국민참여재판에 의한 무고죄 판단의 문제 - 대법원 2019. 7. 11. 선고, 2018도2614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3(1), 493-521.
  16. 문현경 (2018. 12. 19). 100만원, 2000만원...비슷한 성추행에 합의금 20배 차이 왜.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220472 에서 검색.
  17. 박미랑 (2017). 법원 조직 특성에 따른 정의? - 살인미수 양형선고에 있어서 법원 조직 특성의 영향력 연구 -. 한국범죄학, 11(1), 169-197.
  18. 박미랑, 이민식 (2013). 특집: 한국사회의 강력범죄와 형사정책적 대응; 절도범죄의 양형에 있어 법적 요소와 법외적 요소의 영향. 형사정책, 25(1), 35-57. https://doi.org/10.36999/KJC.2013.25.1.35
  19. 박은정 (2019). 성인지 관점에서 바라본 성폭력 무고 실무.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 박혜경 (2015). 도덕판단과 처벌판단에서 사회 경제적 지위의 역할에 대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법, 6(1), 53-69. https://doi.org/10.53302/KJFP.2015.07.6.1.53
  21. 서은경 (2015). 한국 여성범죄자의 생애단계별 경험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성나경, 성현준, 임광현, 김성현, 김성희, 김사라, 이수정 (2019). 대학생의 젠더혐오표현에 대한 암묵적 태도 측정 - 암묵적 연합 검사(IAT)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3), 243-261.
  23. 신선미, 정태연 (2005). 성 상품화에 대한 인식: 상품화의 유형, 대상자 및 평가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603-617.
  24. 윤덕경, 김정혜, 천재영, 김영미 (2019). 여성폭력 검찰통계 분석(II): 디지털 성폭력범죄, 성폭력 무고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5. 이서진 (2020). 범죄 심각성과 자백 여부에 따른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및 양형판단: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수연, 윤지소, 장혜경, 김수아 (2018). 여성혐오표현에 대한 제도적 대응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이예림, 박지선 (2021). 권위주의 성격과 강간 통념 수용도에 따른 청소년 성범죄 사건에서의 판단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법, 12(1), 75-97. https://doi.org/10.53302/KJFP.2021.03.12.1.75
  28. 이정원, 김혜숙 (2012). 강간사건 판단에 주변 단서들이 미치는 영향: 부부강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1), 47-73. https://doi.org/10.21193/kjspp.2012.26.1.004
  29. 이종엽 (2020). 법적판단에 있어 인지적 오류와 극복방안. 사법정책연구원.
  30. 이종인 (2007). 강간폭로, 순결, 결혼: 재미한인여성들의 사유(思惟). 한국문화인류학, 40(2), 49-91.
  31. 이지혜, 박우현, 이수정 (2014). 성폭력사건의 피해자 요인이 배심원의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25-43.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2
  32. 이지혜 (2013). 성폭력사건의 피해자 요인이 배심원의 법적판단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장다혜 (2013). 피해자 경험을 통해 본 성폭력 형사합의 관행. 젠더법학, 4(2), 143-161.
  34. 장다혜 (2012). 성폭력 '형사합의'에 관한 페미니즘 법학적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정은경 (2017). 성폭력 피해 여성의 무고피소경험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정찬영, 김현정, 김태경, 박상희 (2020).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에 대한 인식: 주체성과 판단자 성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3), 167-194. https://doi.org/10.20406/KJCS.2020.8.26.3.167
  37. 조병철, 김혜숙 (2018). 제 3자 도덕적 면허 효과: 범법자 소속 집단에 대한 지각이 관찰자의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1), 1-31.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1.001
  38. 조은경, 박지선 (2020). 강간과 폭행 사건에 서 피해자 비난의 차이: 양가적 성차별 의식과 대인 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4(1), 45-66. https://doi.org/10.21193/kjspp.2020.34.1.003
  39. 하지환 (2016). 형사합의의 개념과 문제점 고찰. 법학논총, 36(3), 301-329.
  40. 한국성폭력상담소 (2003). 법조인의 성별의식과 양성평등교육 실태 및 대안모색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41. 허민숙 (2018). 성폭력 피해자를 처벌하다. 한국여성학, 34(4), 69-97.
  42. 허민숙 (2016). 성폭력 무고의 재해석. 한국여성학, 32(2), 1-29.
  43. 홍영기 (2010). 일반인의 범죄인식이 형사사법에 미치는 영향 - 특히 배심재판을 대상으로. 고려법학, 0(57), 25-57.
  44.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45. Albonetti, C. A. (1991). An Integration of Theories to Explain Judicial Discretion. Social Problems, 38(2), 247-266. https://doi.org/10.2307/800532
  46. Anderson, C. A. & Anderson, K. B. (2008). Men who target women: Specificity of target, generality of aggressive behavior. Aggres ive Behavior, 34, 605-622. https://doi.org/10.1002/ab.20274
  47. Balasubramaniam, B. & Park, G. R. (2003). Sexual hallucinations during and after sedation and anaesthesia. Anaesthesia, 58, 549-553. https://doi.org/10.1046/j.1365-2044.2003.03147.x
  48. Bishop, D. M. & Frazier, C. E. (1984). The Effects of Gender on Charge Reduc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25(3), 385-396. https://doi.org/10.1111/j.1533-8525.1984.tb00198.x
  49. Bryden, D. P. & Lengnick, S. (1997). Rape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87(4), 1194-1384. https://doi.org/10.2307/1144018
  50. Carroll, J. E. (1997). Images of Women and Capital Sentencing Among Female Offenders: Exploring the Outer Limits of the Eighth Amendment and Articulated Theories of Justice. Texas Law Review, 75(6), 1413-1453.
  51. Chapleau, K. M., Oswald, D. L. & Russell, B. L. (2008). Male rape myths: The role of gender, violence, and sexism.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3(5), 600-615. https://doi.org/10.1177/0886260507313529
  52. Daly, K. & Bordt, R. L. (1995). Sex effects and sentencing: a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literature. Justice Quarterly, 12(1), 143-177.
  53. Denno, D. W. (1994). Gender, Crime, and the Criminal Law Defenses. The Journal of criminal law & criminology, 85(1), 80-180. https://doi.org/10.2307/1144115
  54. De Zutter, A. W. E. A., Horselenberg, R. & van Koppen, P. J. (2018). Motives for Filing a False Allegation of Rape. Archives of Sexual Behavior, 47(2), 457-464. https://doi.org/10.1007/s10508-017-0951-3
  55. Fishman, C. S. (1994). Consent, Credibility, and the Constitution: Evidence Relating to a Sex Offense Complainant's Past Sexual Behavior. Catholic University Law Review, 44, 709.
  56. Goulette, N., Wooldredge, J., Frank, J. & Travis, III. L. (2015). From Initial Appearance to Sentencing: Do Female Defendants Experience Disparate Treatment? Journal of Criminal Justice, 43(5), 406-417. https://doi.org/10.1016/j.jcrimjus.2015.07.003
  57. Hall, L. J. & Player, E. (2008). Will the introduction of an emotional context affect fingerprint analysis and decision-making?.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181(1-3), 36-39. https://doi.org/10.1016/j.forsciint.2008.08.008
  58. Hancock, K. P., Policastro, C., Crittenden, C. A., & Garland, T. S. (2021). Major Blame: Examining Male Rape Myth Acceptance across College Major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Education, 32(1), 108-125. https://doi.org/10.1080/10511253.2021.1882518
  59. Huitema, A. & Vanwesenbeeck, I. (2016). Attitudes of Dutch citizens towards male victims of sexual coercion by a female perpetrator. Journal of sexual aggression, 22(3), 308-322. https://doi.org/10.1080/13552600.2016.1159343
  60. Kanin, E. J. (1994). False rape allegation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23, 81-92. https://doi.org/10.1007/BF01541619
  61. Lu, H., Liang, B. & Liu, S. (2013). Serious Violent Offenses and Sentencing Decisions in China-Are There Any Gender Disparities?. Asian Journal of Criminology, 8(3), 159-177. https://doi.org/10.1007/s11417-012-9155-x
  62. Luke, K. P. (2008). Are girls really becoming more violent: 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Women and Social Work, 23, 38-50. https://doi.org/10.1177/0886109907310461
  63. Maurer, T. W. & Robinson, D. W. (2008). Effects of attire, alcohol, and gender on perceptions of date rape. Sex Roles, 58, 423-434. https://doi.org/10.1007/s11199-007-9343-9
  64. Ministry of Justice (2010). Providing anonymity to those accused of rape: An assessment of evidence. UK Ministry of Justice Research Series 20/10.
  65. Moulds, E. R. (1978). Chivalry and Paternalism: Disparities of Treatmen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estern Political Science Quarterly, 31(3), 416-440. https://doi.org/10.1177/106591297803100311
  66. Ott-Holland, C. J., Huang, J. L., Ryan, A. M., Elizondo, F. & Wadlington, P. L. (2014). The effects of culture and gender on perceived self-other similarity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53, 13-21. https://doi.org/10.1016/j.jrp.2014.07.010
  67. Rozin, P., Lowery, L., Imada, S., & Haidt, J. (1999). The CAD triad hypothesis: A mapping between three moral emotions (contempt, anger, disgust) and three moral codes (community, autonomy, divin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4), 574-586. https://doi.org/10.1037/0022-3514.76.4.574
  68. Ryon, S. B. (2013). Gender as social threat: A study of offender sex, situational factors, gender dynamics and social control. Journal of Criminal Justice, 41(6), 426-437. Sacco, J. M., Scheu, C. R., Ryan, A. M. & https://doi.org/10.1016/j.jcrimjus.2013.07.006
  69. Schmitt, N. (2003). An Investigation of Race and Sex Similarity Effects in Interviews: A Multilevel Approach to Relational Demograph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52-865. https://doi.org/10.1037/0021-9010.88.6.979
  70. Salerno, J. M. & Diamond, S. S. (2010). The promise of a cognitive perspective on jury delibera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7(2), 174-179. https://doi.org/10.3758/PBR.17.2.174
  71. Saunders, C. L. (2012). The truth, the half-truth and nothing like the truth.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52, 1152-1171. https://doi.org/10.1093/bjc/azs036
  72. Spohn, C., White, C. & Tellis, K. (2014). Unfounding Sexual Assault: Examining the Decision to Unfound and Identifying False Reports. Law and Society Review, 48(1), 161-192. https://doi.org/10.1111/lasr.12060
  73. Steffensmeier, D., Ulmer, J. & Kramer, J. (1998). The interaction of race, gender, and age in criminal sentencing: The punishment cost of being young, black, and male. Criminology, 36(4), 763-798.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8.tb01265.x
  74. Turchik, J. A., & Edwards, K. M. (2012). Myths about male rape: A literature review.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13(2), 211. Winters, G. M., Collins, C. M., Kaylor, L. E. & https://doi.org/10.1037/a0023207
  75. Jeglic, E. L. (2020). The Impact of Defendant Gender and Attractiveness on Juror Decision-Making in a Sexual Offense Case. Deviant Behavior,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