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Quality Assessment Criteria for Statement Analysis Reports and Testimony

한국 진술분석 보고서 및 증언에 대한 질적 평가 기준

  • Song, Seungju (Department of Soci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Minchi (Department of Soci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송승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
  • 김민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 Received : 2021.07.30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Statement analysis is a technique that examines the credibility of a statement by scientifically analyzing problem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content of the statement. The statement analysis report is prepared, submitted, and used for legal judgments when there is a suspicion of sexual abuse for children(under 13 years of age)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it is usually difficult to secure physical evidence nor eyewitnesses. However,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a statement analysis report or testimony are not available in Korea. Although forensic expert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are providing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for preparing forensic assessment reports, qualitative analysis research studies for forensic reports revealed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missing or poorly described essential information and lack of logical connection between evaluation results and forensic opinions. Therefore, forensic evaluation guidelines and forensic reports submitted to the courts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Structured Quality assessment of eXpert testimony (SQX-12) developed in Sweden were examined to suggest the Korean version of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statement analysis report and testimony. This criteria can be used to improve effectiveness of forensic reports within criminal justice system and used as a guideline to assess the quality forensic reports or expert testimony prepared by experts. However, this criteria do 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statement itself.

진술분석은 진술 내용을 기반으로 진술에 나타나는 문제, 심리적 특징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진술의 신빙성을 밝히는 분석 기법으로, 물적증거의 확보가 어려운 아동(13세 미만) 및 장애인 성폭력 피해 의심사건이 발생했을 때 법적 판단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술분석 보고서와 같은 법심리학적 평가 보고서의 질적 우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외국의 법심리학적 보고서에 대한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서에 필수적인 내용이 누락되거나 빈약하게 기술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하고, 법심리학적 의견과 평가결과 간의 논리적 연결성 부족 등 보고서의 질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공통으로 발견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지침들과 법정에 제출된 법심리학적 보고서 분석을 통해 법심리학적 보고서의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스웨덴의 전문가 증언의 구조화된 질적 평가도구(Structured Quality assessment of eXpert testimony; SQX-12)를 재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한계를 종합해 한국에서 사용 가능한 '한국 진술분석 전문가 보고서 및 증언에 대한 질적 평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질적 평가 기준의 제시는 사법적 판단 시 법심리학적 보고서의 법적 효용성을 높이고, 전문가가 보고서와 전문가 증언의 질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준들에 의해 보고서가 충실히 작성되었다고 해서, 진술 내용 자체의 신빙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우예 (2017). 형사절차상 사회과학적 증거의 증명력과 증거능력에 대한 연구: 미국의 논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34, 199-232.
  2. 강우예 (2020). 피고인에게 불리한 아동 진술의 신빙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진술의 증거법적 성격과 의미. 형사법연구, 32(4), 171-205.
  3. 공정식, 류경희 (2017). 아동과 지적장애인 범죄피해 진술의 신빙성 평가기준-국내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13(3), 11-24.
  4. 곽금주, 이승진 (2006). 아동 증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13-40.
  5. 김면기 (2018). 과학적 증거의 판단기준과 적용과정에 대한 이해: 최근 논란이 된 사례들을 중심으로. 형사정책, 30(3), 205-239. https://doi.org/10.36999/KJC.2018.30.3.205.
  6. 김민희, 이승진 (2019). 성범죄 피해 지적장애인의 진술에 대한 법원의 신빙성 판단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6도14989 판결 및 하급심 판결을 중심으로 -. 형사법의 신동향, 63, 272-302.
  7. 김상준 (2016). 법과 심리 과학의 역사적 발전과정-형사법학과 형사재판실무에 대한 기여의 관점에서. 형사법 실무연구II 133집, 서울: 법원도서관, 317-387.
  8. 김지영, 최수형, 이권철, 이진국, 김강원, 최정규 (2018). 장애인 범죄피해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357.
  9. 김한균, 윤해성, 박윤석, 김면기, 유승진, 정교일, ..., 차종진 (2018). 첨단 과학수사 정책 및 포렌식 기법 종합발전방안 연구 (I).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891.
  10. 대검찰청 (2019). 대검찰청예규. https://www.spo.go.kr/site/spo/ex/board/View.do?cbIdx=1304&bcIdx=985772.
  11. 박상기 (2016). 성범죄 피해아동의 진술의 신빙성 판단 기준 - 독일법원판결을 중심으로 -. 피해자학연구, 24(1), 197-219.
  12. 박종선 (2013). 전문가 의견조회의 성과와 발전 방언: 판검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형사법의 신동향, 41, 86-117.
  13. 박종선 (2016).「진술분석」10년의 성과와 개선방향 - 대검예규 '진술분석 규정'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17(2), 257-276. https://doi.org/10.16960/JHLR.17.2.201606.257
  14. 박주상 (2007). 경찰의 성폭력 범죄 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4(1), 105-128.
  15. 박지선, 강상훈 (2013). 성범죄 피해 아동의 기억력 및 증언 능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피해자학연구, 21(1), 163-189.
  16. 이미선 (2018). 성폭력 피해아동 진술신빙성 판단에 있어서 평가자간 신뢰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2), 67-83.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2.004
  17. 이미선 (2020). 지적장애인 성폭력 사건 특성과 법원의 판단. 한국심리학회지: 법, 11(2), 211-239. https://doi.org/10.53302/KJFP.2020.07.11.2.211
  18. 이미선 (2021). 지적장애인 성폭력 사건 재판에서 전문가 참여제도 활용 실태. 한국심리학회지: 법, 12(1), 1-13. https://doi.org/10.53302/KJFP.2021.03.12.1.1
  19. 이미선, 정주은 (2020). 지적장애인 대상 성폭력 사건의 양형과 감경사유: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31(3), 67-94.
  20. 이미선, 조은경 (2015). 경찰의 아동·장애인 수사면담 지침 운용 실태 및 문제점. 한국경찰연구, 14(4), 377-402.
  21. 이상미, 김태경 (2015).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인의 진술양상. 한국장애인복지학, 30, 237-255.
  22. 이수정 (2011). 아동 및 장애인에 대한 성폭력 사건에서 경찰단계에서의 전문가 참여가 기소율과 유죄판결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5(1), 111-138.
  23. 이수정, 유진옥 (2009). 지적장애인 성폭력피해자의 진술특성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경찰연구, 9(2), 161-184.
  24. 이승철 (2013).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이 진실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CBCA와 RM의 활용.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도
  25. 이창훈, 박미단 (2016). 진술분석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종합모델. 한국범죄심리연구, 12(2), 95-120.
  26. 이혜숙 (2005). 성폭력 피해아동의 법정증언 능력에 대한 연구. 교육실천연구, 4(2), 141-161.
  27. 조은경 (2004).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 타당도 분석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79-91.
  28.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21. 05. 28). https://www.stop.or.kr/modedg/contentsView.do?ucont_id=CTX000090&srch_menu_nix=l3vdU8Xo#tab5.
  29. 한유화, 박광배 (2016). 한국진술분석 활용현황: 서유럽국가들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법, 7(3), 137-156. https://doi.org/10.53302/KJFP.2016.11.7.3.137
  30. 홍유진, 김시업 (2017). 아동 대상 성범죄의 전문가 참여제도에 관한 고찰 - 아동 진술의 확보와 분석에서의 개입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5(4), 285-320.
  31.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990). Guidelines for the Clinical Evalu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Sexual Abuse. Retrieved from https://www.aacap.org/aacap/policy_statements/1990/Guidelines_for_the_Clinical_Evaluation_for_Child_and_Adolescent_Sexual_Abuse.aspx.
  3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Guideline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s in Child Protection Matters. American Psychologist, 68(1), 20-31. https://doi.org/10.1037/a0029891
  33. Borum, R., & Grisso, T. (1996). Establishing standards for criminal forensic reports: An empirical analysis. Bulletin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 the Law, 24(3), 297-317.
  34. Christy, A., Douglas, K. S., Otto, R. K., & Petrila, J. (2004). Juveniles Evaluated Incompetent to Proceed: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Evaluatio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5(4), 380-388. https://doi.org/10.1037/0735-7028.35.4.380
  35. Duits N, van der Hoorn S, Wiznitzer M, Wettstein RM, & de Beurs E. (2012). Quality improvement of forensic mental health evaluations and reports of youth in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35, 440-444. https://doi.org/10.1016/j.ijlp.2012.09.018.
  36. Fisher, M. H., Baird, J. V., Currey, A. D., & Hodapp, R. M. (2016). Victimisation and Social Vulnerabil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Review of Research Extending beyond Wilson and Brewer. Australian Psychologist, 51(2), 114-127. https://doi.org/10.1111/ap.12180.
  37. Fogden, B. C., Thomas, S. D., Daffern, M., & Ogloff, J. R. (2016). Crime and victimisation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case linkage study. BMC psychiatry, 16(1), 1-10. https://doi.org/10.1186/s12888-015-0706-4
  38. Frasier, L. D., & Makoroff, K. L. (2006). Medical evidence and expert testimony in child sexual abuse. Juvenile and Family Court Journal, 57(1), 41-50. https://doi.org/10.1111/j.1755-6988.2006.tb00113.x
  39. Gudjonsson, G. H., & Henry, L. (2003). Child and adult witness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mportance of suggestibility. 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8(2), 241-252. https://doi.org/10.1348/135532503322363013
  40. Gumpert, C. H., Lindblad, F., & Grann, M. (2002). A systematic approach to quality assessment of expert testimony in cases of alleged child sexual abuse. Psychology, Crime & Law, 8(1), 59-75 https://doi.org/10.1080/10683160208401809
  41. Kohnken, G. (2004). Statement Validity Analysis and the 'detection of the truth'. In P. Granhag & L. Stromwall (Eds.), The Detection of Deception in Forensic Contex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Lindblad, F., & Lainpelto, K. (2008). When superior courts reach different conclusions in the same child sexual abuse cases - is there a lesson to be learned?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 ender Profiling, 5(3), 171-187. https://doi.org/10.1002/jip.84
  43. Nicholson, R. A., & Norwood, S. (2000). The Quality of Forensic Psychological Assessments, Reports, and Testimony: Acknowledging the Gap Between Promise and Practice. Law and Human Behavior, 24(1), 9-44. https://doi.org/10.1023/A:1005422702678
  44. Otto, R. K, DeMier, R., & Boccaccini, M. (2014). Forensic Reports and Testimony: A Guide to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sychologists and Psychiatrists. John Wiley & Sons.
  45. Pezdek, K., Morrow, A., Blandon-Gitlin, I., Goodman, G. S., Quas, J. A., Saywitz, K. J., & Brodie, L. (2004). Detecting Deception in Children: Event Familiarity Affects Criterion-Based Content Analysis Rating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1), 119-126. https://doi.org/10.1037/0021-9010.89.1.119
  46. Rebecca, J., & Ronald, R. (2015). Learning Forensic Assessment: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47. Robbins E., Waters J., & Herbert P. (1997). Competency to stand trial evaluations: a study of actual practice in two stat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Psychiatry and the Law, 25(4), 469-483.
  48. Robinson, R., & Acklin, M. (2010). Fitness in paradise: Quality of forensic reports submitted to the Hawaii judiciary.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33(3), 131-137. https://doi.org/10.1016/j.ijlp.2010.03.001
  49. Skeem, J, L., Golding, S, L., Cohn, N, B., & Berge, G. (1998). Logic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s of Competence to Stand Trial. Law and Human Behavior, 22, 519-547. https://doi.org/10.1023/A:1025787429972
  50. Stacey, R. B. (2005). Report on the erroneous fingerprint individualization boming case. Forensic Science Communications, 7(1). Retrieved from https://archives.fbi.gov/archives/about-us/lab/forensic-science-communications/fsc/jan2005/special_report/2005_special_report.htm.
  51. Vrij, A. (2005). 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A qualitative review of the first 37 studies.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1(1), 3-41. https://doi.org/10.1037/1076-897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