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군 단위 지역 중학생 대상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Reading-Based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ounty-level City

  • 김석원 (강원대학교 행정.심리학부 심리학 전공) ;
  • 정은경 (강원대학교 행정.심리학부 심리학 전공)
  • 투고 : 2021.04.28
  • 심사 : 2021.06.14
  • 발행 : 2021.06.30

초록

본 연구는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지방 군 단위 지역 중학생의 국어수행과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코칭 모델을 적용한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지방 군단위 지역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은 심리적 변인과 국어수행 점수를 통해 이루어졌다. 심리적 변인은 사전, 사후, 추후에 측정되었고 국어수행은 실험집단에 대하여만 사전, 사후 수행이 측정되었었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심리적 변인에서는 학습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과 달리 사전측정값보다 사후측정값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도 지속되었다. 미래지향시간관은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국어수행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verifying the effects born by reading-based learning coaching programs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 reading-based learning coaching program applied alongside a coaching model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o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a local county-level city.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measured three times: prior to the program, immediately following the end of the program, and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Korean language performance was only measured twice: prior to the program and following the end of the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exhibited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ores of learning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after the program. As well, these changes lasted for up to one month after the program. The future time perspective didn't show an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an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performance in terms of Korean language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9).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조간보도자료. (2019. 11. 29).
  2. 교육부 (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조간보도자료. (2019. 12. 4).
  3. 권점례, 장경숙, 가은아 (2014). 초등학교 교과별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국어, 수학,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명희 (2012).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선, 손병덕 (2019).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종단 매개효과: 긍정적 청소년발달 (PYD) 이론의 발달자산모형 적용. 청소년학연구, 26(12), 425-453.
  6. 김보라 (2017).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진로인식,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8. 김종운, 정보현 (2012).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146-165.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2.146
  9. 김하나, 김혜연 (2015).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제주도 지역아동센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 코칭연구, 8(1), 59-78.
  10. 남영은 (2003). 교과연계 독서지도를 통한 문학작품 읽기 능력 신장 방안.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7년 국민 독서실태조사. 서울: 한국출판연구소.
  12. 민세홍, 김미영, 정현옥 (2010).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진로·학습코칭 시스템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169-194.
  13. 박순희, 이은경, 오명화 (2017). 학습코칭이 보건관련 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5(3), 315-319.
  14. 박지영 (2016). 자기주도적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동기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태연, 도미향 (2015).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코칭연구, 8(3), 91-107.
  16. 백영수 (2011).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정화 (2015). ACT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취약청소년의 수용과 미래시간전망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손정표 (2015). 신독서지도방법론. 대구: 태일사
  19. 오아량 (2020).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미연 (2013). 학습코칭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수란 (2015).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임언, 정윤경, 상경아 (2001).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보고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임언, 서유정, 김인형 (2012). 커리어넷 진로성 숙도검사 활용안내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4. 전중원, 김정섭 (2019).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15(1), 43-59.
  25. 정은경 (2020). 코칭심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6. 정철상 (2020). 청소년의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675-684.
  27. 조성진 (2009). 코칭이 자기효능감, 성과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조성진 (2014).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코칭능력개발지, 16(1), 87-96
  29. 최영임, 임정섭, 김교헌 (2013). 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429-454..
  30. 최화영 (2015).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결과 보고서, RRE 2010-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분석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20. 12. 22)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의 원인분석과 대응방안, 연구보고서 2015-22.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한기현 (2006). 다중지능 독서 프로그램이 독서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한상춘 (2017). 대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현주 등 (2005).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 연구(I): 예비검사 개발, 실시 및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8. De Bilde, J., Vansteenkiste, M., & Lens, W. (2011).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Learning and Instruction, 21(3), 332-344.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10.03.002
  39. De Volder, M. L., & Lens, W (1982).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s a cognitive-motivational 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3), 566-571. https://doi.org/10.1037/0022-3514.42.3.566
  40.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41. Husman, J., & Shell, D. F. (2008). Beliefs and perceptions about the future: A measurement of future time perspectiv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2), 166-175. https://doi.org/10.1016/j.lindif.2007.08.001
  42.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ed Press.
  43. Lewin, K. (1951). Field theory in the social sciences: Selected theoretical papers. New York: Harper.
  44. Passmore, J. (2003). Goal-Focused Coaching. The Occupational Psychologist - special issue Coaching Psychology, 49, 30-33.
  45. Passmore, J. (2007). An integrative model for executive coaching.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59(1), 68. https://doi.org/10.1037/1065-9293.59.1.68
  46. Zimbardo, P. G., & Boyd, J. N. (2014). Putting Time in Perspective: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Time Perspective Theory; Review, Research and Application,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