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Online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

  • 김혜영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고승석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양순정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윤방우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Kim, Hye Young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Goh, Seung-Suk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Yang, Soon Jeong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Yoon, Bang Woo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Tak, Jinkook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투고 : 2021.05.11
  • 심사 : 2021.06.15
  • 발행 : 2021.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행동 변화과정 모형(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등, 2019)을 기반으로 하여, 식습관 개선 성공 요인(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과 선행 연구에서 습관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방법들을 토대로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식습관 개선을 희망하며 수도권에 거주 중인 19세 이상 성인 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20명을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제외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nline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 The online coaching program was based on the model of habit behaviors change process(Tak et al., 2019) and the success factors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Choi et al., 2020), and previous research showing the effects of habit change. Participants were 20 adults, se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over the age of 19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nd participated one-on-one coaching program. Data of 17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weight, dietary habits, eating behaviors, dietary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at two times(pre and po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s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except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 dietary habits, eating behaviors, dietary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ime interval,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for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A2A01025407). 이 논문은 2021년도 광운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강문희 (2010). 일 간호대학생의 식이행동과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1), 126-134. https://doi.org/10.5932/JKPHN.2010.24.1.126
  2. 국립국어연구원 (2012).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권선영, 한장일, 정영진 (2008). 영양전공자의 영양지식, 식이 효능감, 식행동 변화간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지, 41(6), 550-560.
  5. 권은진, 김태훈, 이윤형 (2020). 노력 유도와 긍정 피드백을 통한 동기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7(3), 287-306.
  6. 김경림 (2013). 서울, 경기지역 식품업계 직장인의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다솔, 김지민, 신지연, 김승철, 현명호 (2017). 직장인의 장시간 근무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스트레스硏究, 25(1), 17-22.
  8. 김명숙, 송미순 (2013). 고혈압 성인에게 적용한 6개월의 코칭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간호학의 지평, 10(2), 111-119.
  9. 김명희, 정은선, 김은주, 조혜경, 배윤정, 최미경 (2011). 충남 일부 지역 대학생의 야식섭취 실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1(4), 563-576.
  10. 김소리 (2017). 스트레스와 자기조절이 야식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아린 (2018). 1인 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7), 493-509. https://doi.org/10.14400/JDC.2018.16.7.493
  12. 김애경, 김정아 (2005). 성인의 생활양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7(5), 772-782.
  13. 김주희, 정경미, 전용관 (2010). 통합적 비만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체중 아동의식이 효능감과 식습관 향상이 비만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389-408.
  14. 김지현, 김유경 (2010). 식생활교육지원법과 중학교 식생활교육: 2007 개정 가정 교과서의 식생활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4), 1-13.
  15. 김현아, 김은경 (1996). 학령기 비만아동을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실시 및 효과평가. 대한영양학회, 29(3), 307-320.
  16. 김현주 (2015). 현대 사회의 음식문화와 식생활교육의 윤리적 성찰. 환경철학, 19, 171-196.
  17. 김혜련, 박수경, 김혜성 (2008). 청소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5, 71-95.
  18. 김효정, 김미라 (2015). 대학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음료 섭취 실태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5(2), 223-233.
  19. 김효정, 이임순, 김지혜 (1996). 식이행동 질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5(1), 141-150.
  20. 농림축산식품부 (사)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2016). 제1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백서. 3-34.
  21. 박명숙, 박경애 (2014). 간호학과 대학생들의 생활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식습관, 건강 관련습관, 우울, 섭식장애 및 영양소섭취량의 차이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1), 344-355.
  22. 박소현, 이은지, 장경자 (2020). 수도권 지역 20-30 대 내근직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식습관과 가 공식품류 간식 섭취 실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5(2), 143-155. https://doi.org/10.7318/KJFC/2020.35.2.143
  23. 박숙현, 정희선 (2017). 식생활 교육 추구 성향에 따른 식생활 적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기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7(3), 268-279.
  24. 박진선, 이윤정, 박문경, 정영희 (2020). 간호대 학생의 식습관에 대한 건강행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및 동기의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599-609.
  25. 박해미 (2017).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4(2), 393-412.
  26. 박효은, 배연희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2010-2012)를 활용한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의 식습관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0), 168-181.
  27. 서은영, 이승림 (2018). 남녀대학생의 식행동과 스트레스 영향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1(3), 186-195. https://doi.org/10.15434/KSSH.2018.31.3.186
  28. 서은희 (2019). 만성질환예방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4(2), 235-251.
  29. 신미경 (2019). 대학생의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체형 불만족도와 식이행동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9(12), 98-103.
  30. 신은경, 민하영 (2019).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공적 자의식, 신체만족도와 이상식이행동 간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4(3), 1-19.
  31. 성희은, 김은주 (2017).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생애목표가 기본심리욕구와 내재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2), 347-368.
  32. 신정훈, 박장진 (2016). 국제신체활동질문지 (IPAQ)를 이용한 고령자의 신체활동 수준이 식습관과 자가 건강 관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3), 189-197.
  33. 안나영, 김기진 (2011). 청소년 운동선수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를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13(1), 277-282.
  34. 안서현, 김성영 (2020). 평택지역 대학생의 성별 식습관 및 생활습관 비교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30(2), 117- 128.
  35. 안정선, 송시한, 문상은, 김세진, 이정은 (2018). 식습관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조사 연구: 심층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3(3), 202-215.
  36. 오민환, 홍경의, 김성은 (2019). 서울 및 경기지역 고등학생의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 식습관 및 식이자기효능감의 관계.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2(3), 297-309. https://doi.org/10.4163/jnh.2019.52.3.297
  37. 오수연 (2017). 나 혼자 산다!. 마케팅, 51(1), 56-61.
  38. 우리진, 김성영 (2015).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 생의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식행동.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4(1), 66-75. https://doi.org/10.3746/JKFN.2015.44.1.066
  39.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 (2015). 고등학생의 그릿 (Grit) 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22(10), 367-385.
  40. 유옥경, 박수희, 차연수 (2007). 전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남. 여 학생의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2(6), 665-672. https://doi.org/10.7318/KJFC.2007.22.6.665
  41. 유지수, 정정인, 박창기, 강세원, 안정아 (2009).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4), 594-601. https://doi.org/10.4040/jkan.2009.39.4.594
  42. 유현주 (2010). 주.야간근로자의 식습관, 식행동 및 식품섭취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43. 윤성하, 오경원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식생활평가지수 개발 및 현황. 주간건강과 질병, 11(52), 1764-1772.
  44. 윤정원 (2002). 고등학생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및 식이 자기효능감의 영향.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미혜 (1996). 서울지역 초등학교 어린이의 식생활 실태 조사: 식습관 기호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이민규 (2007). 비만인 사람의 체중 조절을 위한 건강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59-75.
  47. 이연옥 (2011). 청소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재련, 엄영호 (2004). 외식소비자의 건강메뉴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0(2), 16-29.
  49. 이지은 (2020). 성인의 식습관과 영양지식이 기능성식품 섭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현숙 (2018).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 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9), 345-352. https://doi.org/10.15207/JKCS.2018.9.9.345
  51. 이현희, 김미리혜 (2009). 여대상의 식이행동과 우울 및 불안 연구: 기분 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5, 1-7.
  52. 임경철 (2016). 청소년의 치아부식 실태와 식이행동 요인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877-896.
  54. 전승규 (1984). 바람직한 식습관. 식품과 영양지, 5(3), 1.
  55. 정경아 (2016). 예비 초등교사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3), 95-114.
  56. 정경화, 전나미 (2019).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생활습관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1(1), 62-69.
  57. 정미경 (2003).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방법. 연세대학교 교육개발센터학습기술워크샵: 공부도 기술이다.
  58.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59. 조영현, 정여주 (2016). 비만아동을 위한 개인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7(4), 111-141.
  60. 조인숙, 류현숙, 박인혜, 강서영 (2007).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비만도와 식생활태도, 식습관 및 운동습관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3(4), 399-406.
  61. 조정훈, 장준복, 이경섭, 한지영 (2004). LIPODREN 및 이침을 이용한 과체중 및 비만 치료에서 식사일지작성과 병원운동 치료의 임상적 유용성 관찰. 대한한방비만학회지, 4(1), 213-219.
  62. 조지예 (2011). 남녀 대학생의 식습관과 BMI 분류로 인한 식생활 및 건강상태 연구와 영양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3. 조진숙 (2013). 한국 성인의 식습관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 조진숙, 탁진국 (2018). 긍정심리기반 의사소통향상 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존중, 배려, 소통,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2(2), 45-62. https://doi.org/10.51457/KJCP.2018.12.2.2.45
  65. 진양호, 유경한 (2010). 일부 경기지역 대학생의 식습관과 외식행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5), 687-693.
  66. 채범석, 김을상 (1998). 영양학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67. 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19). 식습관 개선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74-174, 8월 22일-24일.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
  68. 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 중년여성 식습관 개선을 통한 체중조절 성공 경험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4), 667-698.
  69. 최미경, 김정미, 김종군 (2003). 서울시내 직장인의 식습관과 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1), 45-55.
  70. 최숙희 (2017). 간호여대생의 자아존중감, 식이자기효능감, 생활스트레스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366-374. https://doi.org/10.5762/KAIS.2017.18.6.366
  71. 최정은, 김영국 (2012). 대학생들의 영양 지식, 식이 자기효능감 및 식습관과 메뉴선택행동과의 관계. 외식 경영연구, 12(6), 249-275.
  72. 탁진국 (2019).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73. 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류소형, 박소영, 유진수, 이애경, 이정아, 최경화, 한석빈 (2019). 생활습관 변화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76-176, 8월 22일-24일.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
  74. 탁진국, 권혜란, 류소형, 서은영, 이연희, 이정아, 조진숙, 최경화, 황지연 (2019). 한국인의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지역과 세계, 43(1), 179-214.
  75. 탁진국, 조지연, 정현, 조진숙. (2017). 대학 신입생 주도성 향상을 위한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24(8), 55-81.
  76. 한정균, 임성문 (2011).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 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관계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609-622.
  77. 허윤경, 심기현 (2016). 수도권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식생활 태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9(5), 735-745. https://doi.org/10.9799/KSFAN.2016.29.5.735
  78. 홍미애, 최미숙, 한영희, 현태선 (2010).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부모의 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5), 593-602.
  79. Adriaanse, M. A., Gollwitzer, P. M., De Ridder, D. T., de Wit, J. B., & Kroese, F. M. (2011). Breaking habits with implementation intentions: A test of underlying proces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7(4), 502-513. https://doi.org/10.1177/0146167211399102
  80. Bandura, A. (1991). Self-regulatory mechanisms governing the impact of social comparison on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941-95. https://doi.org/10.1037/0022-3514.60.6.941
  81. Bandura, A. (1997). The anatomy of stages of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JHP, 12(1), 8-10. https://doi.org/10.4278/0890-1171-12.1.8
  82. Bandura, A & Cervone, D.(1986) Differential engagement of self-reactive mechanism governing the motivational effect of goal system.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38(1), 92-113. https://doi.org/10.1016/0749-5978(86)90028-2
  83. Bandura, A., & Jourden, F. J. (1991). Self-regulatory mechanisms governing the impact of social comparison on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6), 941-951. https://doi.org/10.1037/0022-3514.60.6.941
  84. Carey, K. B., Neal, D. J., & Collins, S. E. (2004). A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Addictive Behaviors, 29(2), 253-260. https://doi.org/10.1016/j.addbeh.2003.08.001
  85. Charter, R. A. (1999).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precise estimates of reliability, generalizability, and validity coefficients.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1(4), 559-566. https://doi.org/10.1076/jcen.21.4.559.889
  86. Charter, R. A. (2003). Study samples are too small to produce sufficiently precise reliability coefficients.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30(2), 117-129. https://doi.org/10.1080/00221300309601280
  87. Clark, M. M., Abrams, D. B., Niaura, R. S., Eaton, C. A., & Rossi, J. S. (1991).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5), 739-744. https://doi.org/10.1037/0022-006X.59.5.739
  88. De Ridder, D. T., Lensvelt-Mulders, G., Finkenauer, C., Stok, F. M., & Baumeister, R. F. (2012). Taking stock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of how trait self-control relates to a wide range of behavi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6(1), 76-99. https://doi.org/10.1177/1088868311418749
  89.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90. Diener, E., Emmons, R, Larsen, R.,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1105-1117.
  91. Fenigstein, A. (2009).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In M. R. Leary & R. H. Hoyle (Eds.),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p. 495-511). The Guilford Press.
  92. Fuller, C., & Taylor, P. (2013). 동기강화기술 입문 [A toolkit of motivational skills: Encouraging and supporting change in individuals, 2nd]. (신성만, 이상훈, 이아람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8에 출판)
  93. Gailliot, M. T., & Baumeister, R. F. (2007). The physiology of willpower: Linking blood glucose to self-contro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1(4), 303-327. https://doi.org/10.1177/1088868307303030
  94. Goodwin, P. J., & Stambolic, V. (2015). Impact of the obesity epidemic on cancer. Annual Review of Medicine, 66, 281-296. https://doi.org/10.1146/annurev-med-051613-012328
  95. Greeno, C. G., Jackson, C., Williams, E. L., & Fortmann, S. P. (1998).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ver eat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and men: Results from a community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4(4), 415-419. https://doi.org/10.1002/(SICI)1098-108X(199812)24:4<415::AID-EAT8>3.0.CO;2-9
  96. Jackson, S., & Bourne, D. J. (2020). Can an online coaching programme facilitate behavioural change in women working in STEM field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5(1), 20-36. https://doi.org/10.53841/bpsicpr.2020.15.1.20
  97. Javed, A., Mukhtar, S., Majeed, I., Afzal, M., & Gilani, S. A. (2019). Self-care habit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t university of lahor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and Management, 6(2), 47-53.
  98. Job, V., Dweck, C. S., & Walton, G. M. (2010). Ego depletion-Is it all in your head? Implicit theories about willpower affect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Science, 21(11), 1686-1693. https://doi.org/10.1177/0956797610384745
  99. Kandiah, J., Yake, M., Jones, J., & Meyer, M. (2006). Stress influences appetite and comfort food preferences in college women. Nutrition Research, 26(3), 118-123. https://doi.org/10.1016/j.nutres.2005.11.010
  100. Lally, P., & Gardner, B. (2013). Promoting habit formation. Health Psychology Review, 7(1), 137-158.
  101. Lally, P., Cornelia H. M. van Jaarsveld., Potts, H. W., & Wardle, J. (2010). How are habits formed: Modelling habit formation in the real world.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6), 998-1009. https://doi.org/10.1002/ejsp.674
  102. Lawrance, L., & McLeroy, K. R. (1986). Self-efficacy and health education. Journal of School Health, 56(8), 317-321. https://doi.org/10.1111/j.1746-1561.1986.tb05761.x
  103. Neal, D. T., Wood, W., Labrecque, J. S., & Lally, P. (2012). How do habits guide behavior? Perceived and actual triggers of habits in daily lif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8(2), 492-498. https://doi.org/10.1016/j.jesp.2011.10.011
  104. Nilsson, E., & Lodestad, S. (2014). Web coaching: An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form of meeting.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41(1), 59-66. https://doi.org/10.3233/JVR-140699
  105. Parcel, G. S., Edmundson, E., Perry, C. L., Feldman, H. A., O'Hara-Tompkins, N., Nader, P. R., Johnson, C. C., & Stone, E. J. (1995).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 -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5(1), 23-27.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5.tb03335.x
  106. Pawlak, R., & Colby, S. (2009).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and knowledge regarding healthy foods; Perception of African Americans living in eastern North Carolina.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3(1), 56-63. https://doi.org/10.4162/nrp.2009.3.1.56
  107. Quinn, J. M., Pascoe, A., Wood, W., & Neal, D. T. (2010). Can't control yourself? Monitor those bad habi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6(4), 499-511. https://doi.org/10.1177/0146167209360665
  108. Rossett, A., & Marino, G. (2005). If coaching is good, then e-coaching is. T & D, 59(11), 46-49.
  109. Schnettler, B., Miranda, H., Lobos, G., Orellana, L., Sepulveda, J., Denegri, M., Etchebarne, S., Mora, M., & Grunert, K. G. (2015). Eating habits and subjective well-being. A typology of students in Chilean state universities. Appetite, 89, 203-214. https://doi.org/10.1016/j.appet.2015.02.008
  110. Schnoll, R., & Zimmerman, B. J. (2001). Self-regulation training enhances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fiber consumption.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1(9), 1006-1011. https://doi.org/10.1016/S0002-8223(01)00249-8
  111.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112. Tin, S. P. P., Ho, S. Y., Mak, K. H., Wan, K. L., & Lam, T. H. (2011). Lifestyle and socioeconomic correlates of breakfast skipping in Hong Kong primary 4 schoolchildren. Preventive Medicine, 52(3-4), 250-253.
  113. Torres, S. J., & Nowson, C. A. (2007). Relationship between stress, eating behavior, and obesity. Nutrition, 23(11-12), 887-894. https://doi.org/10.1016/j.nut.2007.08.008
  114. Van der Weiden, A., Benjamins, J., Gillebaart, M., Ybema, J. F., & de Ridder, D. (2020). How to form good habits? A longitudinal field study on the role of self-control in habit form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11, 1-8. https://doi.org/10.3389/fpsyg.2020.00001
  115. Verplanken, B. (2006). Beyond frequency: Habit as mental construct.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5(3), 639-656. https://doi.org/10.1348/014466605X49122
  116. Winkleby, M. A., & Cubbin, C. (2004). Changing patterns in health behavior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chronic diseases, 1990-2000.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9(1), 19-27. https://doi.org/10.4278/0890-1171-19.1.19
  117. Wood, W. (2019). 해빗 [Good habits, bad habits: The science of making positive changes that stick.]. (김윤재 역). 경기: 다산북스. (원전은 2019에 출판).
  118. Wood, W., & Neal, D. T. (2007). A new look at habits and the habit-goal interface. Psychological Review, 114(4), 843. https://doi.org/10.1037/0033-295X.114.4.843
  119. Wood, W., Tam, L., & Witt, M. G. (2005). Changing circumstances, disrupting habi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6), 918-933. https://doi.org/10.1037/0022-3514.88.6.918
  1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에서 2019. 3. 29 자료 얻음.
  121. Yurdugul, H. (2008). Minimum sample size for Cronbach's coefficient alpha: a Monte-Carlo study. Hacettepe universitesi egitim fakultesi dergisi, 35(35), 1-9.
  122.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nd Health Functioning: A Self-Regulatory Perspectiv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1(1), 47-66. https://doi.org/10.1037/h0088920
  123. Zrinyi, M., Juhasz, M., Balla, J., Katona, E., Ben, T., Kakuk, G., & Pall, D. (2003). Dietary self-efficacy: determinant of compliance behaviours and biochemical outcomes in haemodialysis patient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18(9), 1869-1873. https://doi.org/10.1093/ndt/gfg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