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진희, 구미옥. (2020).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4), 369-38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4.369
- 김경혜, 김경덕. (2008). 간호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스트레스 지각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김천과학대 논문집, 34, 21-29.
- 김동희. (2012).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이행. 글로벌건강과 간호, 2(1), 26-33.
- 김미강. (2001). 대학생의 식행동이 식이섭취 실태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김영희, 정미숙, 이정애. (2002).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16(2), 285-303.
- 김정숙, 강숙. (2020).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421-430.
- 김효신. (2016). 바디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건강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 김희선, 오의금, 형희경, 조은실. (2008).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3), 506-520.
- 류호경, 윤진숙. (2000). 청년기 여성의 체형과 체중조절 경험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과 건강상태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5(3), 444-451.
- 박소영, 구상미. (2020). 간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10(1), 158-168.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1.158
- 박주영, 우정희, 김주은. (2018).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165-175. https://doi.org/10.14400/JDC.2018.16.1.165
- 박정이, 김남이. (2020). 간호사의 그릿,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325-333.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325
- 백경화, 조미옥. (2020).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6), 363-371. https://doi.org/10.14400/JDC.2020.18.6.363
- 송경자, 이미숙. (200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지각적, 태도적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7(2), 97-110.
- 신정훈. (2016).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수주과 비만도 분류에 따른 건강생활습관 차이검증. 한국스포츠학회지, 14(1), 325-337.
- 안효자, 윤경순, 이기현. (2020). 가족 중 흡연자가 있는 대학생의 그릿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4(3), 217-229.
- 이승주, 박주영. (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2), 269-276.
- 이양구. (2018). 체육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자기관리와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 한국융합학회, 9(1), 161-169.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61
- 이인숙, 양윤미. (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01-31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01
- 이정림. (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1), 245-264.
- 이채경, 박혜선. (2017).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인식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 및 건강증진실천 비교연구. 한국사회안전학회지, 12(2), 115-130
- 임은진, 하준호, 이계정. (2017).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가 다이어트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1), 501-511.
- 장혜선. (2014).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서경대학교.
- 조명곤. (2007).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와 건강증진행위, 건강통제행위, 삶의 질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세종대학교.
- 최윤숙, 김미영. (2020).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109-119. https://doi.org/10.5762/KAIS.2020.21.7.109
- 한영인, 김정미. (2018).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3), 399-409. https://doi.org/10.5762/KAIS.2018.19.3.399
- 황광원 (2017). 그릿(Grit)의 인성교육 적용 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 허은주. (2020).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에 따른 그릿, 건강증진행위 차이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2), 57-65.
-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Cash TF, Pruzinsky, T. (2002). Body Image: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Duckworth AL, Peterson C, Matthews MD, Kelly D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 Green LW, Raeburn J. (1990).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health promotion: definitions and challenges. In N. Bracht(Ed.). Health promotion at the community level (pp. 29-44.). Newbury Park, CA:Sage.
- Lee RL, Locker AJ. (2005).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Public Health Nursing, 22(3), 209-220. https://doi.org/10.1111/j.0737-1209.2005.220304.x
- Rojas JP, Reser JA, Usher EL, Toland MD. (2012).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ademic grit scale. 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 Walker NS, Sechrist KR, Pender NJ. (1987).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s. Nursing Research, 36(2), 7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