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가사상과 현대중국의 법제강화

  • Received : 2021.11.08
  • Accepted : 2021.12.13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鄧小平1978年12月在中央工作會議閉幕會上的講話中提出民主和法制問題以后, 中國共産党着力加强法制建設。最近習近平上台以后, 看來中共正試圖進一步收緊法律。中國傳統思想包括諸子百家長期存在, 對社會的各个領域都産生了影響。我認爲中國人對現代法制的認知基础是受一定的法家思想影響的。本文探討了新中國成立以來中共的加强法制的過程及与法家思想關連性。主要探討了毛澤東时代最高領袖的權力和法家思想中的統治術, 改革開放以來社會秩序的建立和法家思想尋求的大一統, '新时代中國特色'和法家思想的与时俱進的歷史觀。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도 인천대학교 일반교수연구과제의 교내 연구비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임.

References

  1. ≪鄧小平文選≫, 北京: 人民出版社, 1994.
  2. ≪韓非子≫, 北京: 中華書局, 2010.
  3. 한국철학연구회 편역, ≪철학소사전≫, 서울:동녘, 1990.
  4. 陳奇猷, ≪韓非子新校注≫, 上海:上海古籍出版社, 2000.
  5. ≪習近平談治國理政≫, 北京: 外文出版社, 2014.
  6. 한비, 김원중 역, ≪한비자≫, 서울: 현암사, 2003.
  7. 풍우란, 정인재역, ≪중국철학사≫, 서울: 형설출판사, 1989.
  8. 해리슨 E. 솔즈베리, 박월라.박병덕 역, ≪새로운 황제들: 모택동과 등소평 시대의 중국≫, 서울:다섯수레, 1993.
  9. 중국현대철학연구회, ≪처음 읽는 중국 현대철학≫, 서울: 동녘, 2016.
  10. 廖蓋隆 편, 정석태 역, ≪중국공산당사≫, 서울: 녹두, 1993.
  11. 전병곤, <중국의 사회주의 법제화 구상과 영향>, ≪국제지역연구≫ 제8권:제2호, 2004.
  12. 이계명, <「資治通鑑」硏究>, ≪역사학연구≫ 12권:0호, 1998.
  13. 정인재, <中國思想의 構圖에서 본 文化大革命; 이른바 儒法鬪爭論을 中心으로>, ≪東亞硏究≫제26집, 1993.
  14. 이대희, <한비자 주도편(主道篇)에 나타난 지도자의 리더십 특성>, ≪한국행정학보≫제51권: 제2호, 2017.
  15. 윤석민, <「韓非子」 '利'의 사회적 관계 동인과 '法'의 비폭력>, ≪陽明學≫ 제37호, 2014.
  16. 차종천, <법가사상에 나타난 행위와 사회통제의 특징>,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6.
  17. 이승환, <사회규범의 공공성에 대한 법가의 인식: 한비자(韓非子)의 '인.의'(仁.義) 비판을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14권: 1호, 2003.
  18. 한상돈, <중국 사회주의법치의 발전과 과제>, ≪저스티스≫, 2017.
  19. 김윤권, <중국 정부행위의 제도화: 인치에서 법치로>, ≪한국행정학보≫제43권: 제4호, 2009.
  20. 김종태, <毛澤東의 歷史觀-古代史觀과 法家史觀을 중심으로>, ≪중국문제≫2권:1호,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