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sideration Research on 'Sangkwan' in 『Jeokcheonsucheonmi』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상관론(傷官論)」의 고찰연구(考察硏究)

  • Yi, Bo-Young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 Kim, Ki-Seung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이보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 김기승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Received : 2021.06.02
  • Accepted : 2021.06.30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Sangkwan' in 'Jeokcheonsucheonmi' among Myeongri classical theory as a guideline, and is a consideration research on past 'Sangkwan' in the rest of Myeongri classical theory. The first words about 'Sangkwan' in the original text is that the interpretation is very difficult when Sangkwan looks at 'Jeongkwan'. When we say 'Jeongkwan', it contains the interpretation on the person who should take on the heavy responsibility of the state in the monarchy,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how it can be easily interpreted by neglecting it because 'Sangkwan' have a bad effect on 'Jeongkwan'. Unlike modern times, in the past, there was no other way but to become government officials to be successful socially and accumulate wealth. There should be big difference in standard of fortune and success in an era where success conditions and opportunities were difficult to be given. That is, it was though in the past that 'Sangkwan' which has a bad influence on 'Jeongkwan' have a detrimental effect awfully. However, in today's scientific society, the use of 'Sangkwan' which has a bad influence on 'Jeongkwan' has come to light in a wide variety of plac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lay a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of re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ti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classical 'Sangkwan'.

이 연구는 명리고전 이론서 중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상관론(傷官論)」을 지침삼고 그 외 명리고전에 나타난 과거 상관론에 관한 고찰 연구이다. 원문에서 상관(傷官)에 대한 첫마디는 "상관견관과난변(傷官見官果難辨)"이라 하였다. 정관이라 함은 왕정국가 사회에서 국가의 중책을 맡게 되는 속성을 지닌 인물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는데 그것을 해치는 것이 상관(傷官)이니 어찌 소홀히 쉽게 풀이할 수가 있는가라는 염려가 담겨져 있다. 현대와 달리 과거에는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재물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은 관직에 나아가는 길 이외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성공할 여건과 기회가 주어지기 어려운 시대에 길흉과 성공의 기준이 현대와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즉 과거는 관(官)을 극하는 상관(傷官)은 몹시 해로운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현 과학사회에서는 관의 극을 향하던 상관의 쓰임이 매우 다양한 곳에서 빛을 보게 되었다. 하여 본 연구는 고전의 상관론 고찰을 통하여 시대에 맞는 재해석과 활용방법에 대한 확장성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萬民英 著, 「三命通會」, 臺北:武陵出版有限公司, 2009.
  2. 徐升編著, 「淵海子平評註」, 臺北:武陵出版有限公司, 2006.
  3. 沈孝瞻 原著, 徐樂吾 評註, 「子平眞詮評註」, 臺北:武陵出版有限公司, 2009.
  4. 任鐵樵 增註, 袁樹珊 選輯, 「適天髓闡微」, 臺北:武陵出版有限公司, 2011.
  5. 張楠 著, 「命理正宗-神峰通考」, 台北:進源文化事業有限公司, 2012.
  6. 김기승.김현덕, 「적천수천미」, 다산글방, 2017.
  7. 김기승, 「과학명리」, 서울: 다산글방, 2016.
  8. 김기승.나혁진, 「명리학사」, 다산글방, 2017.
  9. 만민영 저, 박일우 편저, 「삼명통회」, 명문당, 1973.
  10. 만민영 지음, 김이남, 이명산 공역, 「삼명통회」, 서울: 삼하출판사, 2011.
  11. 서승저, 심재열 편저, 「연해자평정해」, 명문당, 1966.
  12. 임철초 증주, 원수산 선집, 김동규 역, 「적천수천미」, 명문당,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