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itizen Archivist' Training Program

  • 이도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 투고 : 2021.06.30
  • 심사 : 2021.07.19
  • 발행 : 2021.07.30

초록

기록학계에서 민간기록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면서 민간기록의 가치와 기록전문가들의 입장에서 민간기록을 어떻게 수집하고 관리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론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후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개념적 논의가 진행되며 공동체의 관점에서 공동체 구성원 스스로가 기록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것과 더 나아가 기록의 민주화와 기록주권에 논의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각 지역에서는 마을 만들기 사업들이 시작되고 기록활동을 하는 지역 구성원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과 공동체 아카이브를 지원하는 관의 역할과 제도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학계에서는 지역 기록활동을 하는 주체와 그들의 실천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각 지역에서 실행되는 교육이나 아카이빙 활동 현황들이 발표되고 있다. 또한 현장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기록 교육 프로그램들을 활발하게 진행하며 기록활동가를 양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논문은 지속가능한 기록활동가를 양성하기 위해 그들의 정체성을 살피고 양성 교육 프로그램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양성교육의 목표가 교육을 통해 학습된 지식을 실천하는 기록활동가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보고, 먼저 '기록활동가'의 정체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기록활동가와 양성 교육 프로그램 주관 기관의 관련자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록활동가를 공동체의 기록을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아카이빙 활동을 하는 사람들로 이들이 공동체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주된 주체이며 핵심적 존재라고 판단한다. 더 나아가 기록활동가의 활동을 '기록자치권'을 실행하여 '기록자치'를 실현하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바라본다. 다음으로 기록활동가 양성을 위해 진행된 국내 교육 프로그램을 사례 분석하여 국내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동향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기록활동가 양성을 위한 교육이 나아가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단순히 일반 시민 대상 프로그램이 아닌 기록자치를 실현하는 기록활동가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여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으로 보고 교육과정으로써 설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s interest in private records began to develop in the research of archivists, discussions began about the value of private records and how to collect and manage private records from the standpoint of archivists. After that, the conceptual discussion on community archiv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mmunity,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ir own records, and the democratization of records and the sovereignty of records a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is trend, maeul making projects were started in each region, and citizen archivists appeared who do archives activities. and research on the role and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to support them and community archives. Recently, as research on regional record activities has begun,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nd activities in each region is being announced. in addition archives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nationwide to train citizen archivis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ir identity of their, in order to cultivate sustainable citizen archivis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he citizen archivists training program should pursue. First, we consider that the educational goal of citizen archivists training program is to train citizen archivists who practice the knowledge learned through education, and examine the identity of 'citizen archivist', the goal of training education. In this study, local archivists are regarded as local members who engage in archiving activities based on their locality, and they are judged to be the main actors and core beings in building community archives. Also the activities of citizen archivists are viewed as active and subjective beings that realize 'Archival autonomy' by implementing 'Archival autonomy'.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ases of researchable citizen archivist training programs in Korea that were conducted to foster local archivists and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Finally, the direction of citizen archivists training program for cultivating citizen archivists is presented. In this paper, I think that the citizen archivists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as a curriculum to parctice the education goal, not as public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현.김석우 (2007)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 김명훈 (2020). 가족아카이브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시론적 분석. 기록학연구 66.
  3. 김성보 외 (2016).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70년대. 창비
  4.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5.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6. 설문원 (2012).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7.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8. 손동유 (2019).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실천민속학연구 34.
  9. 손동유 (2020).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5.
  10. 원종관 (2021). 기록보다 기록 활동, 이 어려운 일. 상생협력 워크숍 청주시기록관 공동포럼 <기록과 문화도시> 자료집.
  11.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12. 이 범 (2019). 군포문화재단 우리 동네 기록학교 사례. 제11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13.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14. 이영남 (2019).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기록학연구 59.
  15. 이경래 (2015).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기록학연구 45.
  16. 조영삼 (2020). 기록자치와 지방기록원. 지방기록원 설치 확산을 위한 기록관리 학술세미나 기조발표자료집. 국가기록원.
  17. 한국일보 (2018.11.24.). "내 삶도 역사의 한 조각"기록자가 된 보통사람들.
  18. Joanne Evans.Sue McKemmish.Elizabeth Daniels.Gavan McCarthy (2015). Selfdetermination and archival autonomy : advocating activism, Archival Science 15.